사람이 인연을 맺고 가꾸는 일에 표준이란 있을 수 없습니다. 더없이 아름답게 만나 정성을 기울여도 ‘부잣집 업 나가듯’ 사라지는 인연이 있습니다. 기억조차 나지 않을 정도로 무심코 지나치다가 나중에 천하 인연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처음 제게 왔을 때, 그가 시종 짓고 있었던 표정만으로 생각한다면 뭔가 처음부터 어긋난 만남이 틀림없었습니다. 첫날만 그런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 후로도 네 번은 먼 산보고, 졸고, 동문서답하고, 몸 꼬고·······도대체 자신이 여기 왜 오는지 모르겠다는 자세로 일관했습니다.


여섯 번째 날, 그는 벼락 맞은 듯 돌연 방향을 바꾸었습니다. 그는 그 때까지 제가 내준 글쓰기 같은 과제들을 마지못해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순간, 자신의 선입견 너머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는 능동적·적극적으로 숙의에 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가 겪는 고통은 자신과 타인의 경계 설정이 잘 되지 않는 데서 왔습니다. 영유아기 전후 엄마와 맺는 애착관계 형성에 작지 않은 단절이 있었습니다. 닿음에서 느끼는 일치감·친밀감, 떨어짐에서 느끼는 단절감·소외감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감정 기복이 심했습니다. 너무 가까워서 무경계인 듯 느껴지는 상황도, 멀찌막이 떨어져 소통 없이 냉대당하는 상황도 못 견뎌했습니다. 전자는 형이, 후자는 아버지가 대상이었습니다. 어머니가 중재적 위치에 있기는 했지만, 스스로 약하다고 느꼈습니다. 그가 방어기제로 작동시킨 것은 자해였습니다.


저는 과제로 그에게 글쓰기를 제시했습니다. 데면데면 글을 쓰다가 어느 구비에서 홀연히 들이닥치는 자각이 있었습니다. 격분의 언어를 넘어, 자해를 넘어, 분노가 몸을 통해 조절되고 있다는 사실을 느낀 것입니다. 격분이 일으키는 폭력적 언어 대신 분노를 표현하는 일상어가 가능해졌습니다. 자해 행위도 멈추었습니다. 형과도 아버지와도 화해했습니다.


12번째 숙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사전 협의 없이 저와 그는 숙의 종결 의견에서 일치를 보았습니다. 이런 경우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몇 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어엿한 의대생이 되어 제 앞에 나타났습니다. 당당한 자신감이 온 몸에 배어 있었습니다. 됐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