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한 경제학의 시대 - 한계에 다다른 자본주의의 해법은 무엇인가?
찰스 아이젠스타인 지음, 정준형 옮김 / 김영사 / 2015년 2월
평점 :
품절




우리는·······지나친 풍족함을 누리면서도, 부족함을 경계하고 ‘경제적 안정’을 갈망하면서·······불안 속에 산다.·······결핍의식에 따른 반응이다.(49쪽)


이처럼 결핍은 대부분 환상이며, 문화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우리는 결핍을 진짜처럼 받아들인다.(52-53쪽)


경제적으로 자유로운 낙원이란 다가서면 저만치 멀어지는 신기루며, 그런 낙원을 추구하는 삶은 노예의 삶·······이다.·······우리는 그런 추구를 ‘탐욕’이라 부르지만, 정확히 말하면 결핍의식에 따른 반응이다.(49쪽)


이미 충분히 풍요로운데도 늘 모자란다고 생각하면서 불안에 떤다[포怖]. 결핍의식이 낳은 감정/정서적 이상 상태다. 이 흔들림은 불교의 가르침처럼 고요히 흔들리지 않는 것[정定]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불안을 있는 그대로 느끼면서 결핍의식이라는 환상을 꿰뚫고 고요 가운데 흔들리는 것[정중동靜中動]으로 해소된다.


결핍이 환상인데도 실재에 터한 이치라는 착오[치癡]에 빠진다. 결핍의식이 낳은 이성/인지적 이상 상태다. 이 오류는 불교의 가르침처럼 깨달음[慧혜]에 이르는 것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오류를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면서 결핍의식이라는 환상을 꿰뚫고 진실에 앙칼지게 직면하는 것[화쟁和諍]으로 해소된다.


경제적으로 자유로운 낙원이란 신기루임에도 한사코 붙잡으려 한다[탐貪]. 결핍의식이 낳은 의지적 이상 상태다. 이 집착은 불교의 가르침처럼 제어[계戒 또는 인욕忍辱]하는 것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집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결핍의식이라는 환상을 꿰뚫고 풍요의 실재로 나아가는 것[진욕進辱]으로 해소된다. 진욕은 우리를 풍요의 실재 속에서 하나로 살게 한다[공共].



* 이 정리는 불교의 삼독, 삼학, 육바라밀 가르침을 토대로 삼아 잘못을 고치고 모자람을 채워 넣은 것이다. 부분적 오류와 부족이 있지만 찰스 아이젠스타인이 뒤섞어 말한 내용을 불교는 명석하게 해준다. 반대로 불교가 놓친 깊은 맥락을 찰스 아이젠스타인이 예리하게 지적해준다. 결핍의식과 분리, 그리고 돈 이야기로 이어지는 이치 사슬을 차례로 따라가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