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총 6부로 구성된다. 2부는 중국의 외교와 정치에 관한 내용이다. 이 책이 출간된 1974년만 해도 지금의 중국은 '중공', 대만은 '국부'라고 불렸다. 저자는 이 '명칭'에 관해 언급하며 중국 외교론, 중국 정치론의 포문을 연다.


옛날 공부자(孔夫子)는 그가 만약 제왕이 되면 맨 처음에 무엇을 하겠느냐는 제자의 물음에 대해서 "세상 사물의 이름을 정확하게 쓰도록 가르치겠다"고 대답했다고 한다. (중략) 우리 사회의 여러 가지 사정으로 해서 중공문제를 논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기초적인 것은 용어의 문제이다. 이 글에서 자주 쓰이게 될 중공(中共)이라는 낱말과 중화(中華)인민공화국이 라는 말은 하나의 존재와 대상을 지칭한다. 그러나 중공이라는 표현과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개념은 아주 다르다. 그 내용이 어떻게 다르냐는 것은 개개인의 교육, 의식 수준 등 여러 가지 요소로 차이가 생기게 마련이다. (51~52쪽) 

70년대 중국(중공) 하면 문화대혁명이 떠오르는데, 대내적으로는 혼란스러웠어도 대외적으로는 많은 시도가 이루어졌고 대체적으로 성공했다. 대표적인 것이 1970년 4월 24일 최초의 인공내성 발사 성공이다. 이로써 중공이 경제, 과학, 군사 및 정치면에서 착실하게 '강대국'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한 중공은 유엔에 가입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고 1971년 마침내 유엔에 가입한다. 


중국(중공)의 부상은 대만(국부)에는 위기다. 1971년 중국이 유엔에 가입함과 동시에 대만은 유엔에서 축출되었으며, 많은 나라들이 대만과의 국교를 끊었다. 한국은 중국과 수교하지 않고 대만과 국교 관계를 유지하다가 1992년 8월 노태우 정부 때 중국과 수교를 맺고 대만과 단교했다.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내실을 다지며 때를 보는 중국의 외교술은 지금과 거의 다르지 않다. 국제사회의 주역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제3세계 국가들에 대한 대외원조를 멈추지 않고, 정치적 마찰이 있어도 경제적 관계는 지속하지만 대만과의 관계에 있어서만큼은 단호한 태도를 보이는 것도 오늘날과 같다. 


저자는 중국에 대해 "전형적인 수정주의라고 규탄하는 유고슬라비아와도 통상협정을 갱신할 만큼, 중공에 대한 적대적 행위를 일삼지 않는 국가와는 이데올로기와 사회체제의 차에 구애됨이 없이 적극적으로 무역의 확대에 힘쓰는 신축성 있는 자세이다." 라고 평가한다. 저자가 살아계셨다면 현재 중국이 한국의 사드 배치를 두고 무역 보복을 하는 것을 두고 어떤 평을 했을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