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카루스 이야기
세스 고딘 지음, 박세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의 개념대로라면 아티스트는 우리와 다른 사람들이다. 우리처럼 입고, 행동하고, 일하지 않는다. 회의에 참석할 필요도 없고, 콧대가 높고, 몸에 문신을 새기고, 재능을 갖고 태어난 사람들이니까. 그러나 우리는 이제 과거의 통념이 달라졌다는 것을 안다. 아티스트란 기존 질서에 도전하는 용기와 통찰력, 창조성과 결단력을 갖춘 사람임을 말이다. 충성으로 보상을 받고 있다면 충성스런 사람이다. 복종으로 보상을 받고 있다면, 복종적인 사람이다. 능력으로 보상을 받고 있다면, 능력 있는 사람이다. 이제 사회는 아트를 하는 사람에게 보상을 한다. 그래서 지금 당장 아트를 시작해야 한다." (pp.201-2) 

 

 

그리스 신화 속 이카루스 이야기에 착안한 이 책에서 저자는 독자들에게 아티스트가 되라고 말한다. 여기서 아티스트란 종래의 예술가 개념을 넘어서 '기존 질서에 도전하는 용기와 통찰력, 창조력과 결단력을 갖춘 사람'을 뜻하며, 기존 질서란 종신 고용이 보장되는 대기업 위주의 산업 구조 또는 수직적인 명령과 복종만이 있는 관료제를 의미한다. 즉 기존의 산업 및 조직 구조를 탈피해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 사람만이 앞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이라는 의미다. 

 

 

말이 쉽지 , 엄격한 체계와 질서가 있는 직장에서 나 홀로 아티스트가 된다는 건 결코 쉽지 않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읽는 내내 현실성 없다, 뜬구름 잡는 소리같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하지만 사례가 없지는 않다. 오디션 합격만을 기다리지 않고 버스킹을 하든 유튜브에 동영상을 올리든 해서 유명해진 뮤지션, 신춘문예 등단만을 꿈꾸지 않고 블로그에든 트위터에든 꾸준히 글을 써서​ 책을 낸 작가를 여럿 알고 있다. 하지만 이런 예술 분야가 아닌 직장에서 아티스트가 된다는 게 쉬운 일일까? 평범한 직장인이 책만 믿고 덜컥 이를 실천했다가는 당장 내일 회사에서 자리가 없어지지 않을까?

 

 

저자는 아트를 기반으로 하는 오늘날의 경제가 감정노동을 요구한다고 말하는데, 이 감정노동이라는 것도 마냥 좋게만 볼 수는 없다. 재화나 서비스를 팔기에 급급하지 않고 고객의 감정을 만족시키며 인간적인 배려와 신뢰로 일을 한다는 게 말이야 쉽지만, 막상 그 일을 수행하는 노동자의 입장에서 보면 까다롭고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결국 이 또한 노동자의 창의성보다는 무한한 희생과 끝없는 경쟁을 요구하는 것이 아닐까? 시스템이 아닌 인적 네트워크, 즉 인맥이 좌우하는 사회라는 것이 공정한 지도 의문이다. 아트도 좋고, 변화도 좋고, 창의성도 좋지만, 이상과 현실, 이론과 실제의 간극은 좀처럼 좁히기가 어려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