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우리였던 날들을 기억해요 - 우리였던 기억으로 써 내려간 남겨진 사랑의 조각들
박형준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이를 한 살 한 살 먹을수록 감성이 점점 무뎌짐을 느낀다. 때는 귀가 터져라 들었던 사랑 노래도 이제는 시큰둥하고, 예전 같으면 가슴 설레며 봤을 게 분명한 멜로 영화도 이제는 눈길이 가지 않는다. 사랑보다 삶이 시급하고, 남보다 내가 더 귀하게 여겨지는 까닭일까. ​ 


그래서일까. 1994년생. 올해로 스물여섯 살이 되는 박형준의 책 <우리가 우리였던 날들을 기억해요>를 읽는 내내 참 많이 부러웠다. 이제 겨우 한 번의 사랑과 이별을 경험했을 뿐인데, 아직도 여전히 그 시절의 일을 하나씩 하나씩 헤아리며 소중한 추억으로 간직하는 저자의 모습이 딱 그 시절 내 모습 같았다. 아이도 어른도 아닌 어정쩡한 상태로 어정쩡한 연애를 하고 어정쩡한 이별을 한 후 여전히 어정쩡하고 서툰 모습으로 하루하루를 살아내고 있다는 것도.


이 책은 저자가 이별 후에 본 열다섯 편의 영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브런치에서 연재한 위클리 매거진 <어쩌면 우리도 영화처럼>과 <우리라는 이름이었던 날들>을 통해 공개된 글이 다수 있다. 저자가 본 영화의 목록은 <뷰티 인사이드>,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그녀>, <가장 따뜻한 색, 블루>, <라이크 크레이지>, <파수꾼>, <한 공주>, <맨체스터 바이 더 씨>, <1987>, <이터널 선샤인>, <컨택트>, <라라랜드>, <더 테이블> 등이다.


영화 <가장 따뜻한 색, 블루>를 보고 쓴 글에서 저자는 '찰나의 사랑조차 될 수 없'는 이별의 고통을 이야기한다. 영화에서 엠마와 아델은 이별 후 다시 마주 앉는다. 아델은 엠마에게 더 이상 나를 사랑하지 않느냐고 묻고, 엠마는 이제 다시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고 차갑게 답한다. 영화 <봄날은 없다>의 명대사 "어떻게 사랑이 변하니?"가 떠오르는 장면이다. 한때는 나를 붙잡고 달콤한 사랑을 속삭였던 입으로 이별을 고하는 상대를 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 장면이 그저 영화 속 한 장면처럼 느껴지지는 않을 것이다. ​ 어떤 사랑은 변하지만, 어떤 사랑은 인위적으로 기억을 지워도 다시 생성된다.


영화 <이터널 선샤인>의 커플을 보면 알 수 있다. 남자 주인공 조엘은 헤어진 여자친구가 자신에 관한 기억을 지운 걸 알고 자신도 여자친구에 관한 기억을 지운다. 헤어지기 전 분노와 증오로 가득했던 기억을 지운 덕분일까. 조엘은 우연히 만난 클레멘타인을 보고 다시 설레고 또 한 번 사랑에 빠진다. 이 영화의 제목이 '이터널 선샤인', 즉 영원한 햇살인 건, 심한 먹구름이 잠깐 가려도 따뜻한 햇살은 항상 그 자리에 있었고, 있으며, 영원히 있으리라는 뜻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