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성, 인간의 재능
앤서니 스토 지음, 이유진 옮김 / 심심 / 2018년 9월
평점 :
절판




"인간이 공격성이라는 중요한 재능을 갖지 못했다면, 결코 지금처럼 세상을 장악하지 못했을 것이고 심지어 하나의 ‘종’으로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주장한 이는 영국의 정신과 의사이자 세계적인 정신분석학자인 앤서니 스토다. 앤서니 스토가 1968년에 출간한 책의 한국어판 <공격성, 인간의 재능>에는 저자가 공격성을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일단 공격성은 정의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어다. 타인에게 비난을 퍼붓고 폭력을 휘두르는 성질도 공격성에 포함되지만, 젖병을 달라고 얼굴이 새빨개지도록 울어대는 아기도, 절도죄를 저지른 사람에게 30년 형을 선고하는 판사도, 자신에게 무관심한 배우자의 애정을 되찾기 위해 갖은 수를 쓰는 사람도 공격적이라고 볼 수 있다. 저자는 이러한 넓은 의미의 공격성을 긍정적으로 본다. 공격성은 모든 살아 있는 생물체의 특성으로 보이는, 성장하고 삶을 파악하고자 하는 타고난 경향에서 비롯된다. 베스트셀러 <미움받을 용기>에 등장하는 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에 따르면, 공격성의 다른 이름은 권력에의 의지, 우월성 추구, 완벽 추구, 상승 추구다.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는 공격성이 화, 분노, 증오 등으로 바뀌는 경우다. 인간의 선천적인 본능인 공격성이 부모와의 대립이나 그로 인한 독립에의 욕구, 형제자매와의 경쟁, 또래집단 내부에서의 갈등, 사회와의 마찰 등을 통해 적당하게 분출되고 조절되는 경우에는 괜찮다. 하지만 공격성 자체를 부정당하거나 과도하게 공격성이 억눌러질 경우에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부모가 훈육이라는 이름으로 아이가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할 기회조차 박탈하거나, 반대로 부모가 아이가 일탈적인 행동을 할 때에도 아무런 재제를 하지 않을 경우 아이는 공격성을 억누르거나 제대로 표출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하게 된다. 


공격성이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의 예로는 소수자 또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증오를 들 수 있다. 어느 지역 또는 사회에나 다수 또는 주류인 사람들이 소수 또는 비주류인 사람들을 배제하고 차별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서구 사회의 유대인, 인도의 불가촉천민, 일본의 부락민 등이 그렇다. 저자는 증오의 실체는 결국 투사이며, 사회적 약자를 증오하는 말은 결국 사회적으로 우월한 지위에 있는 사람들의 열등감 또는 콤플렉스의 발현이라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