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의 독서 중독자들 사계절 만화가 열전 13
이창현 지음, 유희 그림 / 사계절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익명의독서중독자들 #책스타그램

어디선가의 책소개에서 보고 마음속 위시리스트에 담아놨던 책, 애니메이션센터에서 눈에 띄길래 앉은 자리에서 완독. 원래 말풍선을 읽는 것보다 그림을 읽는 게 더 오래 걸리는지라 만화책을 읽는 게 굉장히 느린 편이지만, 만화 자체는 부담없이 느슨하게 그려져 있어 쉬이 읽혔다. 책과 독서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깨알같은 개그와 함께 나름 완결된 서사도 있어 전반적으로 기대 이상이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베스트셀러나 자기개발서를 혐오하고 저자 소개나 목차가 흐트러진 책은 기피한다. 서론이 일목요연하게 체계를 잡지 못하는 책 역시 피한다. 독서가 꼭 소설에 한정될 필요도 없단 건 굳이 말할 필요도 없다. 맥락없이 남용되는 닳고닳은 클리셰도 안 쓰니만 못하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가치없다 판단하는 책은 불쏘시개로 불살라 버리거나 전투기를 소환해 폭격해 버리는 단호함과 과격함도 갖췄다.

세상에, 이런 취향이라니. 친구하고 싶다. 이들에게도 마찬가지였을 거다. 적당히 현실적이고 초현실적인 작중 세계에서도 지극히 현실적인 부분은, 이들 개개인은 '요새 무슨 책을 읽는지' 물어보는 친구 하나 없이 지극히 사적이고 개인적인 독서생활을 하고 있더란 것. 이들의 모임 역시 만나서 책을 읽거나 특정 책의 소감을 나누기보다는 그저 독특한 우정을 나눌 뿐이다. 물론 책을 읽듯 서로를 읽어내리며 어디로 튀는지 모를 스토리를 결말로 이끌어내지만.

어쩌면 책읽기와 그 경험을 나눈다는 가장 이상적인 모습은 그러한 것이었던 거다. 각자 다른 맥락과 갈증을 갖고 찾아나선 책들이 있을 테고, 그러한 책들로 스스로를 다시 정제하거나 수정보완한 모습으로 다른 사람을 만나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는 것. 책이 앞서는 것이 아니라 책을 소화시킨 인간들이 자연스럽게 친해지고 자신을 드러내는 것. 애초 그건 '독서모임'이란 간질거리는 이름이 필요가 없겠다. 아하, 아마도 그래서 제목이 '독서중독자들'. 이름 참 잘 지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익명의 독서 중독자들 사계절 만화가 열전 13
이창현 지음, 유희 그림 / 사계절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익명의독서중독자들 #책스타그램

어디선가의 책소개에서 보고 마음속 위시리스트에 담아놨던 책, 애니메이션센터에서 눈에 띄길래 앉은 자리에서 완독. 원래 말풍선을 읽는 것보다 그림을 읽는 게 더 오래 걸리는지라 만화책을 읽는 게 굉장히 느린 편이지만, 만화 자체는 부담없이 느슨하게 그려져 있어 쉬이 읽혔다. 책과 독서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깨알같은 개그와 함께 나름 완결된 서사도 있어 전반적으로 기대 이상이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베스트셀러나 자기개발서를 혐오하고 저자 소개나 목차가 흐트러진 책은 기피한다. 서론이 일목요연하게 체계를 잡지 못하는 책 역시 피한다. 독서가 꼭 소설에 한정될 필요도 없단 건 굳이 말할 필요도 없다. 맥락없이 남용되는 닳고닳은 클리셰도 안 쓰니만 못하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가치없다 판단하는 책은 불쏘시개로 불살라 버리거나 전투기를 소환해 폭격해 버리는 단호함과 과격함도 갖췄다.

세상에, 이런 취향이라니. 친구하고 싶다. 이들에게도 마찬가지였을 거다. 적당히 현실적이고 초현실적인 작중 세계에서도 지극히 현실적인 부분은, 이들 개개인은 '요새 무슨 책을 읽는지' 물어보는 친구 하나 없이 지극히 사적이고 개인적인 독서생활을 하고 있더란 것. 이들의 모임 역시 만나서 책을 읽거나 특정 책의 소감을 나누기보다는 그저 독특한 우정을 나눌 뿐이다. 물론 책을 읽듯 서로를 읽어내리며 어디로 튀는지 모를 스토리를 결말로 이끌어내지만.

어쩌면 책읽기와 그 경험을 나눈다는 가장 이상적인 모습은 그러한 것이었던 거다. 각자 다른 맥락과 갈증을 갖고 찾아나선 책들이 있을 테고, 그러한 책들로 스스로를 다시 정제하거나 수정보완한 모습으로 다른 사람을 만나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는 것. 책이 앞서는 것이 아니라 책을 소화시킨 인간들이 자연스럽게 친해지고 자신을 드러내는 것. 애초 그건 '독서모임'이란 간질거리는 이름이 필요가 없겠다. 아하, 아마도 그래서 제목이 '독서중독자들'. 이름 참 잘 지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학 미학 원전 시리즈 1
알렉산더 고틀리프 바움가르텐 지음, 김동훈 옮김 / 마티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학원전시리즈 #미학 #바움가르텐 #마티 #책스타그램

예술이란 단어는 생겨난 게 고작 18세기, 그 이전에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작 생활 차원의 공예라거나 시서문학 정도의 몇몇 분과만을 주워섬기는 수준이었을 거다. 공부할 만한 가치가 있는 학문이란 건 온전히 이성을 써야 하는 수학이나 과학, 어쩌면 철학까지 겨우 비집고 들어갔으려나. 어슴푸레하나마 예술에 대해서라면 그저 몇몇 그리스 철학자가 지나는 말로 몇마디 던진 게 전부였더랬다.

그런 판이니 아름다움이니 예술이니에 대해 그게 뭔지, 어떤 경로와 이유로 아름다움을 느끼게 되는 건지 따위 질문을 던지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했을 거다. 그저 일부 '쟁이'의 기예에 지나지 않는다고 여기거나 반대로 소수의 선택받은 자들의 이해할 수 없는 예술적 영감이나 각성이려니 치부하고 말았었을 테니. 지금도 그렇지만.

바움가르텐은 최초로 '미학'이란 단어를 공표하고, 이러한 감성과 예술에 대한 학문이 세워질 수 있음을 말한 철학자였다. 엄정한 체계와 방법론은 아직 입론에 불과한 수준이었고, 자신의 철학적 입장에 따라 가설적으로 세운 영역이었지만 이후 그 황무지는 엄청나게 개간되어 현재에 이른다.

바움가르텐이 가졌던 입장이 현재에 미친 영향을 따지는 건 사실 큰 의미가 없어보인다. 아직 예술과 도덕이 분리되지 않았고, 아직 미학은 낮은 단계의 학문으로 여겨졌으며, 예술은 철학의 하위 정도로나 생각되던 시기였으니. 다만 어떤 지점에서 이후의 논쟁과 분기점들을 예비하고 있는지 더듬어보는 데서 이 기념비적인 책을 읽는 재미가 있다. 이후 거대하고 풍성한 이야기로 번져나갈 씨앗 한 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에서 살았던 기간보다 해외에서 장기체류한 기간이 훨씬 길지 않을까 싶은 작가 하루키. 여행을 소재로 한 에세이도 많고 본격 여행기도 많지만, 스코틀랜드의 아일레이섬과 아일랜드를 여행한 두 편의 에세이를 사진과 함께 담은 이 책은 각별하다. (특히 싱글몰트와 흑맥주를 사랑한다면)
.
책의 원제대로 '만일 우리의 언어가 위스키라면', 굳이 구구하게 말로 떠들 일이 아니라 잠자코 술잔에 보모어던 아드벡이던 라프로익이던 아일레이 싱글몰트를 넘치게 따르고 넘겨주면 끝날 일이다. 그렇지만 또 그것도 아닌 게, 역시 그 뒤에 숨은 풍경과 스토리를 직접 겪어보고 싶어진다. 아일레이에, 그리고 또 스코틀랜드에.
.
그러고 보면 아직 내 술잔에는 풍경이 부족하다. 꼭 원산지를 찾아가고 술이 빚어지는 모습을 눈에 담는 게 전부는 아니라지만, 아무래도 더블린을 다녀오고 난 후 기네스 흑맥주의 거품과 향에는 곱절은 더 풍미가 배었다. 나파랑 소노마밸리를 다녀온 후라거나, 남프랑스를 다녀온 이후의 와인도 그랬구나. 위스키를 더 맛있게 먹어야 할 텐데 아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예술이란 단어는 생겨난 게 고작 18세기, 그 이전에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작 생활 차원의 공예라거나 시서문학 정도의 몇몇 분과만을 주워섬기는 수준이었을 거다. 공부할 만한 가치가 있는 학문이란 건 온전히 이성을 써야 하는 수학이나 과학, 어쩌면 철학까지 겨우 비집고 들어갔으려나. 어슴푸레하나마 예술에 대해서라면 그저 몇몇 그리스 철학자가 지나는 말로 몇마디 던진 게 전부였더랬다.

그런 판이니 아름다움이니 예술이니에 대해 그게 뭔지, 어떤 경로와 이유로 아름다움을 느끼게 되는 건지 따위 질문을 던지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했을 거다. 그저 일부 '쟁이'의 기예에 지나지 않는다고 여기거나 반대로 소수의 선택받은 자들의 이해할 수 없는 예술적 영감이나 각성이려니 치부하고 말았었을 테니. 지금도 그렇지만.

바움가르텐은 최초로 '미학'이란 단어를 공표하고, 이러한 감성과 예술에 대한 학문이 세워질 수 있음을 말한 철학자였다. 엄정한 체계와 방법론은 아직 입론에 불과한 수준이었고, 자신의 철학적 입장에 따라 가설적으로 세운 영역이었지만 이후 그 황무지는 엄청나게 개간되어 현재에 이른다.

바움가르텐이 가졌던 입장이 현재에 미친 영향을 따지는 건 사실 큰 의미가 없어보인다. 아직 예술과 도덕이 분리되지 않았고, 아직 미학은 낮은 단계의 학문으로 여겨졌으며, 예술은 철학의 하위 정도로나 생각되던 시기였으니. 다만 어떤 지점에서 이후의 논쟁과 분기점들을 예비하고 있는지 더듬어보는 데서 이 기념비적인 책을 읽는 재미가 있다. 이후 거대하고 풍성한 이야기로 번져나갈 씨앗 한 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