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팬지와의 대화
로저 파우츠. 스티븐 투겔 밀스 지음, 허진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침팬지와의대화
#nextofkin 
#로저파우츠 
#스티븐투켈밀스 
#허진_옮김 
#열린책들 
#두번째_리뷰

"인간과 침팬지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기분 좋은 책이다 . 
인간이 다른 영장류와 구분되는 지점이 어디인지 깊이 고민하게 함으로써 독자들을 사로잡는다 . < 퍼블리셔스 위클리 > "



이기호 작가의 웬만해선 아무렇지 않다 ㅡ라는 소설집을 보면 ' 동물원의 연인 ' 이란 단편이 있다 . 여친이 생기면 김밥을 싸서 소풍이란 걸 가보고 싶던 한 남자의 소박한 로망이 , 소풍 장소가 한적한 동물원이 되면서 , 소박+ 로망이란 이 어색한 언어 조합처럼 가난한 동물원의 재정 탓에 동물들의 굶주림을 목격하면서 비극이 되고 , 영화처럼 우아한 피크닉과 로망에 맞는 장소는 애초에 한적할 수 없다는 깨달음을 한편의 블랙 코미디처럼 다룬 얘기다 . 

미술관 옆 동물원이 왜 미술관 옆 동물원인지 , 동시에 깨달은 때도 이 책 때문이었다 . 부의 옆에 있어야 , 곁 불이라도 쬔다는 말이 아닐까 ... 하는 , 단순한 호기심이나 변덕에 의해 그것들은 거기에 나란히 놓인게 아니었구나 하고 ... 

버려진 말이나 , 곰이나 , 호랑이나 ,  호사가의 취미로 들어왔다가 변덕에 버려져도 또 가는 곳 역시 비슷한 부의 공간인 곳이 대부분 일 것이다 . 동물원은 아마 가장 마지막에 버려진 동물들이 가는 곳일지도 모른다 . 물론 이건 위험한 추측에 지나지 않는 다 . 부러 누군가 동물들을 잡아서 사람들에게 순수하게 구경시킬 목적으로 우리에 가둔다고 생각하면 나는 그게 더 이해가 안가는 쪽이니까 . 

사람들이 흔히 그런다 . 고향이 따로 있나 . 정붙이고 살면 고향이지 . 하면서 오래전에 태어난 사람일 수록 자신이 탯줄을 묻은 땅을 잊지 못한다 . 마치 유전자에 그 고향의 유전자를 새겨 나오기라도 한 냥 .  그말은 , 태어나서 유년을 보낸 기억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말의 다른 증명이 아닌가 한다 . 물론 현대의 고향 개념은 모두가 병원이 되버려서 의미가 없지만 , 그런 의미에서 적어도 고향이나 집 , 주소지에서 나고 자란 기억을 가진 사람은 이 침팬지와의 대화가 주는 손짓의 의미가 말로 형언할 수 없는 감동을 넘어 슬픈 몸짓이란 것을 , 이해할 것이란 생각을 해본다 . 

우리가 살면서 바라는 건 사실 그리 큰 것들이 아닐게다 . 시쳇말로 맘이 맞는 좋은 반려자를 만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건 나중 일이고 ,  그 이전에 연애다운 연애 한번 해보는 것처럼 단순한 문제가 발등의 불인 경우가 더 많다 . 눈 앞 현실에 급급해 공부에 떠밀리고 , 미래에 떠밀리고 , 좀 더 나중으로  미루고 사는 게 얼마나 많은가 .  

그러다보니 자기 현실에 치여 더 먼 것들의 일은 , 하다못해 동네고양이가 죽어나가는 일이나 , 유기견들이 죽어나가는 일에도 무감각해진다 .
사람도 제대로 대우 받지 못하고 사는 세상인데 , 동물 늬들이 뭐라고 ! 안방까지 들어오고 난리야 ! 하는 강팍한 마음 . 

그런 마음은 사람 사이에서도 선을 긋는다 . 매일 신문 기사에 독거 노인이 부양 가족이 없음에도 가족부란에 자식이 있어서 정부의 복지 지원을 받지 못한다는 말에 , 벌 떼처럼 몰려들어 쓰인 댓글을 보면 다문화지원이 문제라는 말 일색이어서 충격을 받은 적이 있다 . 독거 노인 문제에 다문화가족 지원책이 문제라니 , 사람살이의 문제에도 이런데 하물며 동물 윤리의 문제라 ... 바로 감동이 올까 ? 

헌데 , 가장 먼 것은 때로 가장 가까운 것이기도 하고 , 혐오의 대상은 바로 내 안의 것이기 쉽다 . 오늘 한 이웃님의 리뷰를 보다 보니 해골바가지의 물을 먹은 원효대사의 일화와 함께 더러움과 깨끗함이 둘이 아님을 깨우친 얘기가 있어 한참을 들여다 봤다 . 

사람이 사람일 수 있는 건 , 사고하기 때문이라고 데카르트가 말한다 . 그런데 이 사고의 소통과 해석을 인류끼리 하니 그런 오해가 있는 건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보라 . 침팬지 워쇼는  수화를 배우고 사람과도 소통을 하며 , 자손에게 수화를 가르치기도 한다 . 아마 워쇼의 자손들은 그것이 자신들만의 언어인 줄 알거다 . 인간과 합작해 만든 언어인 줄 모르고  ,   더 나아가 원래 그들은 나름의 체계에서 소통하던 방법이 있었을 것이다 . 돌고래처럼 .

늦은 밤 한 동네에 개 한마리가 짖으면 연달아 개들이 울곤 했다 .
그 뭔지 모를 신호가 다음 날 경사일지 애사일지는 인간의 귀는 모른다 . 다만 예감이 있을 뿐이다 . 저 울음 뒤에 무시해선 안되는 무언가가 있다는 인간들의 오랜 선경험이 낳은 지혜로운 예감 말이다 . 

그 예감이 말한다 . 지금 , 이 책에서 나누는 로저와 워쇼의 손짓을 무시해선 안된다고 , 그 먼 경종의 소리가 들리는 듯 하지 않느냐고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11-01 12: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전 세계적으로 침팬지를 실험용으로 사용 가능한 나라는 단 두 곳뿐입니다. 미국과 가봉입니다. 인간을 위해 희생되는 침팬지들이 동물원에 갇힌 침팬지보다 불쌍해요.

[그장소] 2017-11-01 12:35   좋아요 0 | URL
이제 더는 하지 않는다고 해도 이전에 이미 임상 실험에 쓰인 침팬지들이 있고 그 들의 수명이 인간에 못지않은 긴 시간이란 점을 염두에 두어야해요 . 아무리 어린 침팬지때 실험참가대상였다해도요. 남은 삶은 누가 책임져 주지 않으니 그게 문제라고 로저 파우츠는 걱정이 컸어요.
그리고 자연인이 아닌 상태의 사육은 그자체로 이미 뭔가를 박탈당한 거라고 생각해요. 그러니 동물원이 아무리 환경이 좋아도 초원의 대지가 주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