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린
오테사 모시페그 지음, 민은영 옮김 / 문학동네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일린

이 책의 제목은 아일린일 수 밖에 없다.

그녀는 이 책의 주인공이다.

소도시에서 자기혐오와 불행에 대해 분노하지만

불순하고 의미없는 공상으로 삶을 견디는 젊은 여자.

그녀는 떠나고 싶다는 갈망 앞에서도

현실에 대한 냉소와 막연한 두려움으로

제자리에 머물러버렸다.

12월 말의 일주일, 그동안 진정한 아일린이 완성된 것이다.

 

p. 32

시계 초침이 멈칫 떨리다 앞으로 휙 나가는 모양이, 처음에는 불안해서 겁먹었다가 절망으로부터 힘을 얻어 절벽에서 뛰어내렸으나 결국 공중에 대롱대롱 매달리고 만 사람 같았다.”

 

p. 86

천국은 믿지 않았으나 지옥은 진짜 있다고 믿었다. 정말로 죽고 싶은 것도 아니었다. 항상 살고 싶었던 건 아니지만, 자살할 생각은 없었다.”

 

아일린은 삶에 대한 의지와 죽음에 대한 확신, 무엇으로도 설명할 수 없었다.

현실 속의 자신을 혐오하면서도 그것을 무너뜨릴 수 없는 불안 또한 있었다.

X빌이라는 소도시에서 알콜 중독인 아버지와 단둘이 살면서

청소년 교도소에서 사무를 보는 아일린의 삶은 지긋지긋할 뿐이다.

불만은 쌓여 분노가 되고 격렬한 감정의 파도는 그녀의 정신만을 덮칠 뿐이다.

현실에서는 그저 자신의 삶을 개선 없이 수긍할 뿐이다.

자기 혐오와 자기 연민이 섞인 날카로운 내면의 목소리는

섬세하게 드러나 유리처럼 투명하게 그녀를 만나게 된다.

그러나 유리라고 믿었던 벽은 때때로 거울이 되어 나의 내면을 비춘다.

분노는 내면을 폭발할 만한 힘으로 자신을 뒤흔든다.

그 철저한 고통의 시간은 온전히 자신의 몫이다.

나 또한 아일린일 때가 있었을 것이다.

 

이 소설은 아일린의 서술로 이어진다.

특히 초반은 특별한 사건이 없다.

지루함을 예상할 수 있지만

아일린의 목소리와 내면의 일관됨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몰입감을 준다.

그리고 무언가 터지리라는 기대는 후반부에서 폭발한다.

아일린이 사라지는 이야기. 혹은 스스로 떠나는 이야기.

그녀의 뒷모습은 단호한 내면을 보여준다.

마치 그림자마저 벗어두고 가는 것처럼.


"시계 초침이 멈칫 떨리다 앞으로 휙 나가는 모양이, 처음에는 불안해서 겁먹었다가 절망으로부터 힘을 얻어 절벽에서 뛰어내렸으나 결국 공중에 대롱대롱 매달리고 만 사람 같았다."
- P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