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디의 우산 - 황정은 연작소설
황정은 지음 / 창비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가 좋아졌다는 소리를 듣던 시대의 뒷면을 환기시킨다.
뜨겁게 읽었는데, 정작 작품은 과잉도 결핍도 아닌 정적인 어떤 선 위에 있는 것 같다.

좋아하는 작가여서, 믿고 보는 작가여서 기대치라는 것도 상당했지만,
같은 세대로 살아가는 독자인 나는 별수 없이 다시 한번 황정은 작가의 팬이 되고 말았다.

“지금은 아니지만 아직도 아닌 건너가는 지금이자 다음”을 염두하고 던져지는 질문같은 문장들에 걸려들 때 마다 문득 책에 손이 머물었다.
어떻게 부재와 결핍과 소외를 건너갈수 있을까 아득한 기분이 자꾸 들면서.

마지막 문단을 읽을 때 그 때의 감정이 되살아 난다. 캐릭터와 같이 침묵하고 생명권 보호 의무에 대한 판결을 낭독할 때가 되어서야 비로소 조금 숨통이 트이던 그 때의 감정.

아주 좋다! 정말 잘쓴다! 으악이다! >_<

- d를 이따금 성가시게 했던 세계의 잡음들도 문제가 되지 않았다. 행복해지자고 d는 생각했다. 더 행복해지자. 그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부족함, 남루함, 고단함, 그럼에도 주고받을 수 있는 미소, 공감할 수 있는 유머와 슬픔, 서로의 뼈마디를 감각할 수 있는 손깍지, 쓰다듬을 수 있는 따뜻한 뒤통수...... 어깨를 주무르고, 작고 평범한 색을 띠고 있는 귀를 손으로 감싸고, 따뜻한 목에 입술을 대고, 추운 날엔 외투를 입는 것을 서로 거들며, dd의 행복과 더불어, 행복해지자. - 18

- 검은 길 위로 내동댕이쳐지기 직전에, 나는 dd를 붙들고 있지 않았고 이윽고 모든 것이 그 길 위에서...... 우리가 항상 오가던 길 위에서, 중단 되었다. 그런데 그것은 무엇의 결과일까...... 무엇의, 결과이기는 한 걸까. - 36

- 특히 전간기와 2차대전 이후의 예술가들에게 관심이 많았어. 더는 근본도 없고 존나 바닥도 없던 시대에 혁명적 예술가들이 그것을 음...... 그 존나 없음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되게 궁금했거든...... - 120

- 미래에 절멸수용소가 등장할 것을 예상했다면, 니체는 그 문장들을 어떻게 했을까? 언어를 관습적으로 읽는 인간, 읽고 싶은대로만 읽는 인간, 그가 바라는 ‘완벽한 독자’와는 거리가 있는 인간들에게 침을 뱉으며 그것을 지웠을까? 지우고 비운뒤 새롭게 썼을까? 미래를 상상하는데 이미 능숙한 사람이었으니 그에게 워드 프로그램이라는 툴이 있었다면...... 그만하자. - 159

- 어쨌거나 어머니가 모성을 말하고 아버지가 금기를 말하는 이야기는 싫다. 그런 이야기를 도취된 채로 아이들에게 읽어주는 어른도 싫다. 정진원은 그것보다는 좋은 이야기를 읽고 자랐으면 좋겠어. 왜냐하면 독서의 경험이란 앞선 삶의 문장을, 즉 앞선 세대의 삶 형태들을 양손으로 받아드는 경험이기도 하니까. 이 생각과 유사한 문장을 나는 최근 어떤 책에서 보았고 그 책의 저자는 아마도 롤랑 바르뜨였을 것이다. “산다는 것는(...) 우리보다 먼저 존재했던 문장들로부터 삶의 형태를 받는것”.... - 211

-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에 설치된 2711개의 추모비들은, 콘크리트관 같은 형태를 하고 저마다의 높낮이로 가지런하게 도열되어 있었는데 ‘나치에 희생된 동성애자 추모관’은 그 옆에서 내던져진 한개의 덩어리로, 핍박과 말살을 목적으로 분리된 전체에서 다시 분리된 한 조각으로, 다소 엉뚱하게 공원 가장자리에 꽂혀 있었으며 그 존재 양상은 내게 격리와 배제의 반복으로 보였고 서수경에게는 독자석/가시성으로 보였다.
이렇게 해야 보이겠지. - 249

2019. ja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