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남한산성"

 

역사적 사실로 보면 남한산성은 병자호란으로 유명해졌다. 병자호란 때 인조가 피신해 있던 성. 그곳에서 버티다 결국 항복해 버리고 만 성.

 

나는 한 번 남한상성에 가봤다. 이제는 유원지가 된 그곳에서 역사적 흔적을 찾으려 했으나, 과거의 그 어려움을 찾기는 힘들었다. 그냥 산책하기 좋은 곳이 남한산성이었다.

 

하지만, 그 산성에는 굴욕적인 역사의 흔적이 아직도 남아 있어서 우리에게 그런 역사를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고 이야기해주고 있을텐데... 어쩌면 있는 것을 우리가 찾지 못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김훈의 글은 미문이다. 상당히 꾸미는 말들이, 또 역설적 표현들이 많아서, 글 자체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그의 표현력이 뛰어난데...

 

이 소설을 읽으며 김훈의 표현력이 묘하게 이 소설에서 거리를 두게 하는구나, 아니 이 소설의 주인공들에게 읽는 사람이 거리를 두고 멀리서 바라보게 만드는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유려한 문장, 화려한 표현들, 산문적이라기보다는 시적인 표현들이 도처에서 나오는데, 그런 말들의 향연 속에서 정작 인물들의 성격은 뒤로 사라지고 말았다.

 

작가가 의도했을까? 그런 생각도 하게 만드는 표현의 힘인데...

 

남한산성에서 작가는 어느 한 인물을 부각시키지 않는다. 물론 주인공은 척화파의 우두머리라 할 수 있는 김상헌이고, 그를 중심으로 이 소설이 전개된다고 보면 되지만... 그에게서도 작가가 거리를 두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에게 감정을 이입할 수 없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인공과 하나가 되어 손에 땀을 쥐고 읽는 것이 아니라, 주인공에게 거리를 두고 읽게 하는 소설이라니... 김상헌과 마찬가지로 주화파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최명길에게도 역시 거리를 두고 읽게 된다.

 

그나마 가장 거리를 좁힐 수 있는 인물이 영의정인 김류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긍정적인 감정이 아니라, 부정적인, 처세술에 능한 정치가의 모습에 짜증이 일어나는 몰입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왕은 어떤가... 한 나라의 존망의 위기 앞에서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란... 없다. 무능 그 자체다. 그러나 그는 왕이다. 왕이라는 이유로 무능해도 우러름을 받아야 한다. 그런 그가 청 황제에게 절을 하는 처지에 놓이니... 하지만, 이 장면 역시 억울하다는 생각이 들지는 않는다.

 

안쓰럽지도 않다. 그냥 그렇게 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게 표현의 힘으로 소설이 전개되고 있다.

 

이런 양반들의 세계를 그는 말의 잔치로 표현해내고 있는데... 조선시대, 위기의 상황 속에서도 신하들은 이 말에 집착한다. 명분은 있지만 실리는 없는 말, 실리는 있지만 명분이 없는 말, 명분과 실리를 모두 살리는 말들이 함께 존재한다.

 

그 말과 말들이 부딪히는 모습을 소설로 표현해 내고 있다고 보는데... 위기 상황에서는 말보다는 행동이 앞서야 하지 않을까? 말은 위기 상황이 닥치기 전에 화려한 향연을 펼쳐야 하고, 위기가 닥쳤을 때는 말은 줄이고 행동은 늘려야 한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 소설에서는 양반들은, 관료들은 오히려 말들을 풀어놓는다. 자신의 말들만을 풀어놓고, 자신의 말들만을 옳다고 주장한다. 그 말들에는 상류층의 명분은 있으되, 하류층의 삶은 없다.

 

그들에게 하류층은 자신들을 위해서 봉사해야 할 존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하여 이 소설은 위기 상황에서 말들의 향연이 얼마나 위험한가를 화려한 표현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해도 좋다.

우리 역사에서 가장 치욕적인 순간으로 기록될 항복의 순간... 그 순간을 향해 다가가는 말들. 그 말들 속에서 살길을 찾는 것은 상류층이 아닌 일반 백성, 자신의 몸으로 삶을 유지해 나가는 백성이라는 사실.

 

이 소설에서는 대장장이 서날쇠를 통해서 알 수가 있다. 아마도 이 소설에서 가장 생명력이 넘치는 인물이 바로 이 서날쇠이고, 양반 중에서는 그나마 이시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은 말보다는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니 말이다.

 

역사를 소설로 기억하게 하는 것은 역사를 생생하게 간접 체험할 수 있게 해준다. 그래서 더욱 역사를 우리 삶으로 끌어오게 된다. 이 소설에서는 단순한 역사적 사실을 기억하게 한다기보다는, 위기 상황에서 일어나는 그 많은 말들이 위기극복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삶과 가장 가까이 있는 말, 행동과 가장 가까이 있는 말이 진정한 말이지 않을까, 오로지 명분을 위해 화려하게 치장하는 말들, 강하게 나오는 말들, 그런 말들보다는.

 

김훈의 화려한 문장에 놀라면서 이 소설을 읽었다. 역사를 삶으로 기억하게 하는 소설로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