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마지막 스피치 수행평가가 머지 않았고, 나는 스피치 주제를 '고3을 시작하며'로 잡았다. 대략 내용은 이러하다.

 18년 인생중 11년을 하고싶은 것을 안하면서 살아왔고, 이제 마지막 1년이 남았다. 그리고 우리 3-3 반이 될 현 2-3반 독어과는 이 엄청나게 긴 레이스의 마지막을 함께 할 team mate이다. 남은 1년간 우리는 최고의 team이 되어 잘 견뎌보자.

 3분 분량의 스피치를 영어로 써서 외워서 발표하는 것이다. 1힉년, 이 학교에 들어와서 첫 스피치를 준비할 때 대본을 쓰느라 몇시간을 고민하고 밤을 새기도 하고 힘들게 힘들게 준비했는지 모른다. 몇번의 스피치, 몇번의 에세이를 거치고 난 지금 야자시간 2시간 만에 대본을 다 쓴 나 자신을 보며 미소가 지어진다. 이 것은 그동안 몇날 며칠 밤을 샌 나에게 주어지는 약간의 행복이겠지.

 아무튼 이 대본을 쓰면서 지금까지 내가 해 온 공부들과 정말 1년 남았다는 생각이 엄습해 오면서 마음이 야릇야릇해지는 시간이다.

 

 여전히 영어를 못해서, 하필 영어의 단위수가 압독적인 외고를 다니면서 영어를 못해서, 종합전형은 원서도 못쓰게 생겼지만 그래도 성장한 나를 보며 가끔 미소를 짓는다.

 

 중학교 1학년때부터 지금까지 5년, 수고 많았다. 울면서 잠들었던 밤들과 '한계'를 느꼈을 때오는 좌절과 상대적 박탈감. 길을 걷다가, 독서실에서, 집에서. 참 주책맞게도 수많은 곳에서 눈물을 지어가며 공부해왔다. 정말 평생 안 올것 같던 고3이 눈에 펼쳐졌다.

 

 사실 무섭다. '쫄린다'라는 말이 제일 적합할 듯 싶다. 독서실에서 공부하고 있는 다른 아이들을 볼 때, 쫄리고 졸고있는 나를 봐도 쫄리고 종합전형 최종 발표들을 기다리는 고3들을 봐도 쫄린다.

그리고 그냥 기도한다. 잘 이기게 해달라고. 흔들리지 않게 해달라고. 후회하지 않은 1년이 될 수 있게 해달라고.

 

 

 내가 이렇게 고3이 되어가는 동안 세상은 날이 다르게 새로운 이슈들로 가득하다.

 부끄럽고, 화가 난다.

 처음엔 어이가 없었다. 헛웃음이 나왔고, 그냥 웃겼다.

 그러나 이젠 화가난다. 국민을 무엇으로 아는 것인가. 그들은 과연 국민을 무서워하고 이 나라의 법을 무서워 하는 인간들인가. 눈물을 흘리면서 '죽을 죄를 졌습니다'라고 이야기하는 그들은 과연 속으로는 무슨생각을 했을까. 국민을 우롱하는 검찰. 국민을 속이는 그들. 이제는 치가 떨린다.

 

 똑똑한 국민이 되어야한다. 국가가 '요지경'이 된 뒤 많은 사람들이 '공부할 필요가 없다. 어차피 글러먹은 세상이다.'라고 이야기 했다. 혹은 '공부해서 이 나라를 뜨자.'라고 이야기했다.

 물론 나는 저 둘 중 그 어떤 것도 할 깡이 없지만 나는 그렇게 하지 않을 란다. 나는 똑똑한 국민이 될 것이다.

 감히 양심도 없는 이기적인 종자들이 무시하고 우롱할 수 없는 무섭고 현명한 국민이 될 것이다.

 

 

 고3. 정치에 관심을 갖고 분노할 때도 '과연 내가 이것에 분노할 여유가 있는지를 성찰해 보게 되는 시즌. 잡생각들도 많아지고 잡 감정들도 많아진다.

 

 1년. 후회하고 싶지 않다.

 국민여러분. 여러분도 후회하지 않고 부끄럽지 않을 시간으로 만들어 주십시오.

 

내가 무슨말을 싸질러 놓은 건지도 모르겠는 생각만 많아지는 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 친구 중에 정시를 준비하는 친구가 있다. 물론 나도 정시를 준비하는 '정시충'이다. 나는 영어성적이 영 좋지 않아 스스로 조용히 꿋꿋하게 정시의 길을 걷는 학생이지만 내 친구는 자퇴를 번복하는 바람에 요란하게 정시를 준비하게 된 아이다. 정이 많은 친구고 생각이 많은 친구다. 친구관계때문에 자퇴를 생각했고, 친구관계에 신경쓰느라 공부에 방해가 있는 친구이기도 하다. 난 그 친구가 좋다. 인간답다.

 

 나의 친구는 일기를 쓴다고 했다. 자신의 이야기를, 고교시절 자신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싶다고. 우리 학교 아이들은 이야기했다. 또 쓸데없는 짓 하네. 그러지 말고 그 시간에 공부를 한 자라도 더해. 사실 나도 그렇게 생각했다. 일기는 감정과 시간의 낭비이니까. 그 시간에 수학 한 문제가 더 효율적이지. 그런데 나는 오늘 일기가 간절했다. 그리고 일기를 나의 뇌까림을 이곳에 적어본다.

 

 

 힘들다. 찌질하게도 힘들다. 공부라는 건 왜 해야하는 걸까라는 내가 살면서 가장 한심하다고 생각했던 질문을 계속해서 나 스스로에게 던질 정도로 힘겹다.

 잘하고 싶다는 욕심. 못하고 싶지 않은 두려움. 그러나 쉽사리 얻어지지 않는 말 '잘한다.'

 이 한줄로 요약되는 상황이 나를 꽤나 힘겹게 한다. 왜 나만 안되는가 라는 질문을 수없이 던지고 한 없는 자괴감에 빠지고, 나보다 못했는데 지금은 나보다 잘하는 그 아이에게 티를 안내려고 노력하지만 속에서 끓어오르는 분노를 삭히기가 쉽지는 않다. 사람들은 나를 무시하는 것 같고, 한심하다고 여기는 것 같고, 나는 나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인지 모르겠는 그런 감정.

 욕심이 주는 너무나도 고통스러운 감정. 공부라는 끈을 왜 나는 이토록 힘겹게 힘겹게 잡고 있어야 하는  것인가.

욧심을 버리자 욕심을 버리자 인생을 즐기자 수없이 되뇌어도 꼭 모의고사 상위 1%가 되겠다는 욕망, 좋은 대학을 합격해 버리겠다는 욕망은 다시 내 머리속을 가득채우고 있다.

 

주여 부디 제게서 이 무서운 욕심을 앗아가 주세요. 저 약간 무섭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박근혜 대통령님께서는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세계가 부러워하는 우리나라를 살기 힘든 곳으로 비하하는 신조어들이 확산되고 있다라며 K-pop, 자동차, 철강 분야 등에서 업적을 거두고 있는 자랑스런 국가 대한민국에 대한 자긍심을 갖지 못하는 국민들에게 안타까움을 표하셨다. 대통령님의 우려를 유발한 신조어의 대표주자로는 헬조선이 적합할 듯싶다. ‘헬조선은 지옥을 뜻하는 영어단어 HELL과 대한민국을 의미하는 조선이 합쳐진 단어로 평범한 소시민은 직장도 가정도 집도 구하기가 어려운 현 대한민국을 비판하는 단어다.

  

 

고등학생인 나는 2016년을 대표하는 신조어로 헬조선‘n포세대등이 꼽히는 상황을 이해 할 수 있다. 노력해도 안 되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고, 살기 어려운 국가가 대한민국인 것을 안다. 그렇기에 우리나라가 스마트폰과 선박분야에서 매우 뛰어난 국가이지만 HELL인 것에 대해서 충분히 인정한다. 그러나 정작 한 국가의 정세를 가장 잘 파악하고 계셔야 하는 대통령님께서는 대한민국이 왜 헬조선인지에 대해 이해를 못하시고 있다.

 

 

다양한 의미가 있는 헬조선. 고등학생들 사이에서는 그냥 대한민국을 비판하기 위한 단어로 사용된다. 아무리 공부해서 대학을 가도 취업이 안 되는 이 국가에서, 아무리 밤을 패고 공부를 해도 결말은 치킨집이라는 사실을 인지했을 때, 2016년 고등학생들은 대한민국을 헬조선이라고 칭한다. 그러나 아직 직접 헬조선을 직면해 보지는 못해서 그저 우스겟소리로만 헬조선, 헬조선할 뿐이다. 나도 마찬가지였다. 그저 들려오는 얘기와 주면 이야기를 들으니 대한민국이라는 곳이 사람 살만한 곳이 아니구나. 란 생각에 가볍게 내뱉던 단어가 헬조선이었다.

  

 

요번 대통령님의 경축사가 내게는 깊은 깨달음을 주었다. ‘, 정말 이곳이 헬조선이구나.’란 깨달음. 언어는 그 시대를 반영하는 지표이다. 속속들이 생겨나는 좋지 않은 뜻을 품은 신조어들이 우리 언어의 풍토를 망치고 사고를 망친다는 의견들도 많지만 나는 신조어들이 현재 우리들의 상황을 가장 잘 표현해 주는 것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대통령이라면 이러한 신조어들을 듣고 그런 말들이 유행할 만큼 척박하고 살기 힘든 2016년 대한민국을 우려하고 그 고통 속에서 살아가는 국민들을 걱정해야 할 노릇이다. 그러나 우리의 대통령님은 우려의 대상을 잘못 잡으셨다. 그분은 그저 자긍심이 없는 우리 국민들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국민을 이해하지 못하고 1%만이 잘사는 세상에서, 1%쪽에 서서 99%의 국민들에게는 어려울 땐 콩 한쪽도 나눠먹는 공동체 문화를 강조하고는 자신은 1%와 함께 샥스핀 만찬을 즐기는 사람. 국민을 생각하지 않고 이해하지 않고 그저 권력이 있는 대한민국의 상위 1% 부유층으로 살아가는 사람이 바로 우리나라의 대통령이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헬조선이다. 역사를 싫어하는 나는 한국사를 공부하며 큰 흥미를 느끼진 못했는데, 분노한 적은 몇 번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임진왜란당시 선조의 태도, 그리고 6.25 당시 이승만의 태도이다. 국민을 두고 자신은 도망치고 그것도 모자라서 다리까지 끊어 국민들을 전쟁의 혼돈 속에 그대로 가둬버린 것. 왕이라는 자리, 대통령이란 자리는 무엇인가. 자신의 안녕을 우선적으로 챙길 수 있는 권리를 주는 자리인가. 예로부터 지도자가 국민을 생각하지 않는 곳, 1%99%를 바라보지 않는 곳, 이곳이 바로 헬조선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nn 2016-11-28 1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선견지명 오졌구요~캬 옛날부터 하는 것 족족 재미있으셨네
 
The Present (Paperback) - 『선물』원서
스펜서 존슨 지음 / doubleday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Whenever I do in and out of school works, I am not  happy. While studying, a variety of thoughts make me sad. When I read some books, I find a girl who is anxious about her future. ‘Can I go to a university?’ ‘I study hard but I get bad grades. It’s unfair’. So I cannot concentrate on studying and be happy. What makes the present be the present is focusing on every moment in our life. When we dedicate to what is right in the present moment, we don’t need to think about bad things and our life can be happy.

 

 In my opinion, most people regret their past. After I read this book, I found that regretting is one of the most unproductive things. I often angry with something that I have done and I could do nothing because of my anger. Regretting makes me in a bad mood only and it is time-consuming. However, looking back is not always bad in our life. We can learn something from the past, and we are able to develop from the past. “We cannot change the past but we can learn something valuable from it.”

 

 If you want to make the future better than the present, you have to imagine your wonderful future and make a realistic plan. We used to worry about the future. This is because we know nothing about the future. However we do not need to worry about it. We can’t control the future, thus making a realistic plan is the possible way to prepare the future.

We have to make our purpose and a plan follows it. Because a plan can make our future better and a purpose can make our life valuabl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4
윤흥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라는 작품은 학교 토론 작품 중 하나였기에 접하게 된 소설이었다. 토론을 담당한 팀에서 감사하게도 내게 토론의 입론과 반론을 쓸 때 도움을 요청했고, (유일하게 내가 우리학교에서 잘 하는게 토론이다.) 쉬는 시간 틈틈이 그 토론 팀을 도와주면서 나도 이 아홉 켤레의 구두라는 소설에 대해 좀 더 깊이 고민해보고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아홉켤레의 구두는 이야기의 주인공인 권씨에게 자신이 대학을 나온 그 시대의 나름 엘리트였음을 의미하고, 그 시대에 대학은 적어도 상위 10%를 상징한다.. 그러나 권씨는 시대적 상황에 의해 나락으로 떨어졌고, 자존심을 버리고 버리다가 도둑질을 선택했다. 그러나 그 도둑질마저 들키게 되고 결국 권씨는 가족까지 버리고 떠나게 된다. 그의 유일한 자존심은 대학을 나왔다는 것.’ 그리고 그것을 상징하는 것은 구두였다.

 

자존심그것이 필요했느냐. 가 토론의 주제였고, 나는 자존심이라는 것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자존심이라는 것은 무엇일까. 정말 자존심이라는 것은 여러 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고,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존재인 것 같다.

자존심은 내가 삶을 살아가는 원동력이 되기도 하고 힘들 때 내게 용기를 주기도 하는 존재이다. 그러나 물론 자신의 이를 고집했을 때는 인간관계에서도 트러블을 낳게 된다. 그러나 나는 자존심은 인간에게 있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존심의 가장 큰 장점은 삶의 잣대가 되어준다는 것이다.

사람이 쫀심이 있지 아무리 그래도 그건 못해.”

라는 말을 우리들은 자주 사용하곤 한다. 자존심이라는 것은 내가 아무리 비참해지더라도 차마 하지 못할 일을 규정해주는 마지노선의 역할을 한다. 물론 이 마지노선은 처절해져야 하는 순간에 나를 방해하는 것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나는 그 마지노선이 적어도 나의 도덕성이 되어주기에 소중하다고 생각한다.

 

일단 권씨에게 있어서 자존심은 결과적으로는 마이너스를 준 요소였다. 그는 찬란했던 과거의 자존심은 현실과의 괴리감을 심하게 느끼게 해 정신적으로 힘겨운 시간을 그에게 선사했다. 그의 자존심은 그가 정장을 입고 막노동을 하게 했고 덕분에 일자리에서 잘리게까지 했다. 그가 자존심을 버리고, 자신이 한때 엘리트였기에 나는 차별 받아야 한다는 생각을 버렸다면 더 치열하게 일을 할 수 있었을 것이고 좀 더 너은 현실을 마주 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는 자존심이 강했고 그래서 처절하지 못했다. 그러나 나는 권씨의 행동에 대해 비판하지 않았다. 그는 자존심을 고집하며 자신을 점점 마이너스의 상황으로 몰아놓고 있었고, 그는 자존심의 부정적인 면만을 골라서 사용하고 있었지만 그에게 막노동은 그가 허용할 수 없는 수치였을 수 있고, 마지노선일 수 있겠다는 생각에 나는 그의 행동을 이해했다.

 

그러나 그의 자존심은 막 옷을 입고 막노동을 한다.’는 것은 허용하지 못했지만 도둑질은 허용해 버렸다. 그에게 자존심은 나는 막노동을 하는 공부 안한 사람과는 달라.’라는 허영심일 뿐이었다. 그리고 결국 현실에서 도망쳐버리는 그에게 자존심은 궁색한 도피의 사유정도밖에 될 수 없었다.

 

그래서 나는 권씨를 비판하고 그가 구두로 형상화 하는 자존심이라는 이름의 허영심은 없어져야 할 대상이었다고 본다.

 

이렇게 실랄하게 권씨의 자존심을 비판하고 나니 나의 자존심에 대해 성찰해보게 된다. 과연 나는 자존심을 내인생에서 사용할 때 긍정적인 면만을 이용하고 있는가. 나는 자존심 뒤에 숨지는 않았는가. 중학교 시절 한때 찬란했던 시절을 자존심으로 놓고 아파하며 계속 공부로부터 도망치고 있지는 않은가. 권씨처럼 도덕성을 무너뜨리고, 최후의 방법을 선택하거나 그러지는 않았지만, 과연 나는 내게 남아있는 과거에 잘났던 나에 대한 자존심이 나의 삶의 원동력이 되도록 사용하고는 있는것일까. 나는 때로는 나를 너무나 고통스럽게 만드는 현실과의 괴리감을 형성하는 이 자존심을 나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고, 나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지에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