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적의 역사 - 이기환 기자의 이야기 조선사 지식기행 7
이기환 지음 / 책문 / 201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을 읽으면서도 기록의 위대함을 정말 많이 느꼈었다. 기록이 남아있었기에 우리는 역사를 재구성해볼 수 있고, 또 가르침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번에 읽은 <흔적의 역사>는 그 기록을 바탕으로 직접 취재를 하는 듯한 느낌을 주는 책이었다. 아무래도 실록은 왕을 중심으로 하는 기록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오지랖이 넓기로 유명한 정조가 직접 살인사건을 판결하는 것처럼 그 속에는 수많은 사람과 사건이 엮여 있을 수 밖에 없다. 왕이 사초에 기록하지 말라는 말까지 기록한 사관이나, 왕이 부정한 관리를 임명함에 있어 사정기관의 자존심을 세웠던 사헌부 관리들을 보며 조선시대의 기강이 어느 정도였는지 느껴지기도 했다. 성희롱이나 강간 같은 사건에도 상당히 강력하게 대응했던 조선이지만, 욕을 본 여성이 자살을 해야 열녀로 추앙 받는 일이나, 재가를 하거나 많은 남자와 정을 통한 여성은 보호를 받지 못하거나 도리어 벌을 받는 모습은 조금은 아이러니하게 느껴졌다. 기자가 쓴 책이라서 그런지 궁중에서 일어나는 일뿐 아니라 조선시대를 살아간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 그리고 여러 가지 사건들을 다루는 것도 흥미로웠고,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왕에 또 다른 모습을 볼 수 있어 재미있었다.

아무래도 사극의 영향 때문인지 나에게 남아있는 영조는 조금은 고지식한 인물처럼 다가왔다. 남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않는 기휘, 피휘를 행했던 유교문화에서 심지어 왕의 이름을 부르는 것을 꺼려했던 것은 당연했으리라. 하지만 그는 지나친 기휘는 금물이라는 말과 함께 음이 같은 것까지 피하는 것을 꺼려했다고 한다. 심지어 대구의 라는 한자가 공자의 이름과 같아 민심이 불안해한다는 상소도 반려했는데, 그 후로 어느새 그 한자가 우리가 삼국시대부터 부르던 뜻을 담고 있는 한자에서 다른 것으로 대체되었다니 아쉽기도 하다. 아버지의 이름이 자신이 나아갈 벼슬의 호칭과 한자가 겹친다 하여 사양하는 일까지 있었다니, 참 놀라울 지경이다. 사실 이런 모습은 현대인의 시선으로 볼 때는 지나치게 격식적이고 비생산적으로 느껴진다. 그래서 북학의를 쓴 박제가의 한탄이 계속 기억에 남는다. 그는 국가의 폐단을 가난으로 보고 가난하고 폐쇄적인 조선사회를 강하게 비난했었다. 일본에서도 서양학문을 배울지 아니면 전처럼 동양학문을 배울지 치열하게 고민하는 무사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는 책이 있다. 그러다 서양은 가난한 사람, 늙은 사람, 병든 사람을 위한 사회를 만들고자 한다며 서양을 배울 것을 결심하는데, 박제가의 조금은 급진적인 발언들이 많은 유생들과의 토론을 통해 사회에 수용되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안타까움도 생긴다. 물론 역사에서는 만약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