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벨탑 공화국 - 욕망이 들끓는 한국 사회의 민낯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날카로운 사회비평을 들려주는 강준만 교수의 <바벨탑 공화국> 한국사회가 노정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이 초집중화도시인 서울이 드리운 길고 어두운 그림자의 조각들임을 이해할 수 있는 책이었습니다.

초집중화’, ‘부드러운 약탈’, ‘젠트리피케이션’, ‘게이티드 커뮤니티’, ‘소셜 믹스’, ‘전위된 공격’, ‘학습된 무기력’, ‘소용돌이 정치’, ‘지방 소멸론’. ‘지방분권의 함정이런 소제목을 다시 읽어보니, 책에서 봤던 내용들이 하나하나 떠오르는 거 같네요. 그리고 그 문제의 시작은 바로 바벨탑 공화국에 있다는 것도요. 이런 생각을 지지하는 가장 큰 틀은 개천의 용인 것 같아요. 나도 성공해서 서울에 고층아파트에 살 수 있을 것이라는 꿈을 꾸는 사람들, 그런 꿈을 이룬 사람들에게 열광하는 사람들이 존재하기에 바벨탑 공화국은 그 생명력을 이어갈 수 있는 것이겠죠. 흥미로운 것은 대한민국 역시 개천의 용과 같은 존재라는 것이죠. 2차세게대전 이후 잿더미에서 올라선 나라, 그래서 사람들 사이에 더욱 우리도 성공할 수 있다는 의식이 뿌리깊게 자리잡은 것이 아닌가 해요. 얼핏 보면 그 생각 자체는 잘 못 된 것이 아니죠. 하지만 성공하지 못한 사람은 노력을 하지 않았다던지, 개인의 노력만으로 모든 것을 해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만연한다는 것이 문제겠죠. 전에 <지방소멸>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어요. 블랙홀처럼 인구를 빨아드리는 도시와 과소화된 농촌의 문제를 지적하는 책이었는데요. 문제는 더 이상의 성장동력이 없어지면 과밀화된 도시 역시 소멸의 길을 걸을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그때도 일본보다 우리나라가 더 심각한 상황인데 과연 이대로 좋은가 고민한 적이 있는데요. 서울중심주의가 만들어낼 미래를 예측하는 것을 보면서 더욱 깊은 고민에 빠지게 되네요. 물론 그렇다고 해서 어떠한 대안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대안이 없는 비판을 하지 말라는 것은 결국 침묵을 강요하는 사회로 나아갈 수 밖에 없거든요. 문제가 어떤 것인지 다 함께 분석하고, 공감하고, 고민해야 결국 길을 찾을 수 있겠죠.

개인적으로는 이제는 공동체조차 돈을 내고 사는 것이 되는 세상이라는 지적이 너무나 기억에 남습니다. 저는 단순히 편하다고 좋아했기 때문이죠. 모든 것이 단지 내에서 해결되는 원 스톱 리빙’, 아마 저와 같은 생각을 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요. 하지만 그런 공간이 결국은 자신과 비슷한 계층들이 모여 살고자 하는 벙커가 아니냐는 말에 반박하기 참 힘들었어요. 어쩌면 이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주된 감정이 그랬던 것 같고요. 그래서 도입부에 나왔던 머그컵 실험이 다시 생각납니다. 우리가 사랑하는 것에 대해 거리를 두어야 객관적인 시각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 잊지 말아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