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비 당쟁사 - 사림의 등장에서 세도정치까지, 선비들의 권력투쟁사로 다시 읽는 조선 역사
이덕일 지음 / 인문서원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동인, 서인, 남인, 북인, 노론, 소론, 이 단어들을 보자마자 그 분파과정과 주요사건, 사화를 그려낼 수 있었던 것은 아무래도 학창시절 덕분이겠지요. 그리고 지금까지 그 것을 기억하는 만큼, 당쟁에 대한 저의 부정적인 인식도 뿌리깊은 것이라고 할 수 있어요. ‘제발 그만 좀 싸워를 되뇌며, 암기를 하던 시절을 지나와서겠지요. 그래서 <조선선비당쟁사>라는 책 제목을 보자마자 나름 내적 갈등도 했습니다. 하지만 과학에 관련된 책들을 읽으면서, 머릿속에 점처럼 존재하던 지식이 연결되는 느낌을 많이 받아서 이번에도 그런 결과를 기대하며 이 책에 도전을 외치고야 말았네요. 그리고 그 도전은 상당히 좋은 결과물로 돌아온 것 같아요.

붕당(당쟁)은 조선시대의 정당정치라고 볼 수 있는데요. 말 그대로 자신들이 원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뜻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서 정치세력을 이룬 것이라고 볼 수 있지요. 저자의 말처럼 조선은 당쟁으로 망했다라는 것은 잘못된 고정관념이라고 할 수 있지요. 다만 여기에 생살여탈권을 쥐고 있는 절대군주라는 존재가 더해졌기에 파국으로 이르게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예전에 아빠의 서재에서 읽었던 소설 중에 장희빈에 대한 것이 있었는데요. 연한 옥색표지로 되어 있었는데, 거기에서 장희빈이 숙종의 마음을 사로잡은 방법 중에 하나로 오미자가 나왔었는데요. 다양한 맛이 어우러져 갈증을 해소해주는 오미자처럼 당파를 고루 기용하여 화합의 정치를 하라는 뜻이었다고 했는데요. 하지만 숙종은 당쟁을 경직화시키고, 죽음을 불사하게 하는 당쟁으로 확장시켜나가는데 기여를 한 인물이기도 하더군요. 여인들의 싸움으로 항상 조연처럼 느껴지던 숙종이지만, 역사서로 살펴보면 그만큼 다채로운 면모를 보여주던 왕도 없지 않았을까 싶은 인물이네요.

자신들의 대의에 따라 나뉘었지만, 그래도 서로를 존중하기도 하고, 어우러져 살아가기도 했던 당파들이 극단적인 형태로 나아가고, 대의명분에 천작하여 실리를 잊게 되면서 조선이 무너지는데 일조를 하게 되는데요. 이를 살펴보면서 문득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을 했어요. 예전에는 조선시대의 붕당과 현대정치 사이에서 이렇게 많은 접점을 찾을 거라고는 생각지 못했는데 말이죠. 한 번은 실수였고, 두 번은 습관이라는 말이 있잖아요. 먼 훗날 역사를 배우는 학생들이 우리와 비슷한 고정관념을 갖지 않게 되기를 바라게 되네요. 어쩌면 이 책이 21년만에 새롭게 단장하여 다시 나올 수 있는 힘도 여기에 있지 않을까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