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어찌 알수 있으랴.

쏟아지는 눈보라 속에 청명한 하늘 있고, 그 하늘에 눈 있다는 것을ᆢ. 시린 콧등을 만지는 손길에서 제 맛 들린 겨울임을 안다. 그래 겨울은 이 맛이 있어야 겨울인 게다.

늘 지나고나서야 고맙고 소중하다는 것을 안다. 늦은 후회는 마음에 겹으로 쌓인다. 하여, 마음 다하지 못한 후회는 늘 서럽다. 이처럼 서러움으로 눈물지어본 사람은 안다. 지금이 다시 시작할 그때라는 것을. 겨울은 그 서러운 마음을 품어줘야하는 때이다.

겨울은 한 해의 끝만이 아니다. 새로운 봄을 준비하는 숨은 열정의 시간이다. 겨울은 여태 보지 못했던 수많은 생명들의 숨구멍을 보게 한다.

하늘 너로 인해 눈부신 속살을 드러낸 눈의 빛이 시리다. 그렇게 서로 기대어 빛나는 것이다.

당신과 나처럼ᆢ.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먼동이 트는 새벽, 춤추듯 날리는 눈은 왔다는 시늉만 내고는 밤을 건너 제 왔던 곳으로 가버렸다. 남긴 흔적으로 겨우 금방 사라질 발자국을 남긴다.

앞집 할머니는 일찍 마실길을 나섰다.

자전거는 앞으로 나아가지만 직선은 아니다. 앞 바퀴의 중심선을 따라가는 뒷바퀴가 서로를 의지한다. 만났다 헤어졌다를 반복하며 한방향으로만 간다. 곡선이 갖는 이 여유로움과 부드러움이 멀리갈 수 있는 이유며 그 곁에 오랫동안 머물게 하는 힘이다.

차마 쓸어내지 못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코끝이 시린 차가움으로 가슴을 움츠리지만 싫지는 않다. 매운 겨울이 있어야 꽃 피는 봄도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것이 무엇이든 마음을 사로잡는 무언가를 두고 "1년 처럼 긴 하루을 얻어 그것에 몰입 할 수 있다면" 하는 마음을 갖는다. 몰입하는 과정이 주는 깊고 넓은 위로를 안다.

오늘을 살게하는 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문유삼등文有三等

文字有三等. 上焉藏鋒不露, 讀之自有滋味. 中焉步驟馳騁, 飛沙走石. 下焉用意庸庸, 專事造語.

글에는 세 가지 등급이 있다. 상등은 예봉을 감춰 드러내지 않았는데도, 읽고 나면 절로 맛이 있는 글이다. 중등은 마음껏 내달려 모래가 날리고 돌멩이가 튀는 글이다. 하등은 담긴 뜻이 용렬해서 온통 말을 쥐어짜내기만 일삼는 글이다.

덤덤하게 말했는데 뒷맛이 남는다. 고수의 솜씨다. 온갖 재주와 기량을 뽐내며 내디디니 모래가 날리고 돌멩이가 튄다. 잠깐 사람 눈을 놀라게 할 수는 있지만 오래가지 못한다. 별 내용도 없이 미사여구를 동원해 겉꾸미기에 바쁜 글은 억지 글이다. 자기만 감동하고 독자는 거들떠보지 않는다. 생각의 힘을 길러야 글에 힘이 붙는다. 절제를 알 때 여운이 깃든다. 여기에 나만의 빛깔을 입혀야 글이 산다.

*정민 교수의 책 '석복惜福' 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송나라 때 장자(1153~1221) 가 엮은 '사학규범仕學規範' 중 작문에 관한 글을 인용하고 있다.

글의 힘의 있고 없음은 우선 글쓴이에게 달렸다. 책을 읽다보면 쉽게 읽히면서도 글이 갖는 무게로 인해 저절로 감탄하는 글을 만나는 경우는 대단한 행운이다. 그만큼 좋은 글을 만나기 어렵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글 역시도 읽는 이의 준비 정도에 의해 전달되는 무게는 달라진다. 이 둘의 조화로운 만남을 위해 주로 읽는 처지에 있는 나 부터 준비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호시우행 2023-12-15 2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민 교수님의 책을 즐겨 읽는 편입니다. 미처 몰라 지나쳤던 도서 <석복>을 찜합니다.
 

북천이 맑다커늘 우장없이 길을 나니

산에는 눈이 오고 들에는 찬비로다

오날은 찬비를 맞았시니 얼어잘까 하노라

*백호白湖 임제(林悌, 1549~1587)가 평양기생 한우寒雨를 보고 첫눈에 반한 속내를 드러낸다. 벼슬이나 권력에 연연하지않고 패기 넘치는 호남아답게 거침이 없다.

어이 얼어자리 무슨 일 얼어자리

원앙 침 비취금을 어데두고 얼어자리

오날은 찬비 맞았으니 녹아잘까 하노라

*한우寒雨 역시 한술 더뜬다. 재색을 겸비하고 시문에 능하고 거문고와 가야금에도 뛰어나며 노래까지 절창인 기녀답게 은근하지만 속되지 않다.

주는 이나 받는 이가 마음이 맞았으니 여기에 무엇을 더하랴. 이런 것이야말로 진정한 멋이 아닐런지. 비로소 손끝이 시리고 코끝이 찡한 겨울다운 날씨다. 겨울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거리를 좁혀주려는 하늘의 배려가 아닐까.

김용우의 '어이얼어자리'를 듣는다.

https://youtu.be/edrQUe1Dhx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