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편>

"운명을 믿나요?"
"네, 저는 운명을 믿습니다."
"어떤 면에서요?"
"이렇게 우리가 만났다는 것 자체가 운명이 아닐까요. 내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우리가 만나서 여기서 대화를 나누고 있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진실이니까요."
-나의 미발표 창작 SF <우주의 끝> 중에서

피할 수 없는 '운명'이라는 게 있다면 오늘 내가 겪은 것을 가리키는 것이 아닐까. 오랜기간 나가지 않던 인디고 수독 모임에 나간 것도, 탕누어의 <역사, 눈앞의 현실>이라는 책을 읽고 대화를 나누는 독서 모임에 내가 원하지 않았는데도 진행자가 되어 모임을 이끌어가게 된 것도, 이렇게 내 방에 앉아 글을 쓰는 것도 모두 어찌할 수 없는 운명의 작용일 것이다.

시작으로 돌아가보자. 오늘 이루어진 운명의 기원에는 텔레그램에서의 대화가 있다. 주제에 대한 토론. 나름의 다른 생각과 그 다른 생각에 대한 다른 이의 반응과 대화. 감정과 분노. 이 모든 과정을 거쳐 나는 수독 모임에 나가지 않게 됐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 내가 모임에 '나가지 않는 것'을 선택했다고 여겼지만, 사실은 그때 나의 행동은 오늘의 만남을 위한 운명의 작용이라고도 볼 수 있다. 오늘의 만남을 위해 운명은 나로 하여금 오랜기간 수독에 나가지 않게 했고, 나는 그것이 운명인 줄 모르고 수독 모임과 거리를 두고 지냈다.

인디고 수독 모임에 나가지 않는 동안, 나는 '부산고전함께읽기'라는 모임을 만들어 고전읽기에 전념하고 있었다. 고전을 읽고 싶은 마음을 가진 이들과 함께 플라톤의 대화편 7편을 읽고, 뒤이어 이 모임은  동양고전을 읽는 시간을 가졌다. 동양고전을 읽은 최근의 두달은, 내가 가진 최선을 다해 동양고전과 그에 관련된 책을 읽는 시간이었다. 그 기간동안 즐거웠고 행복했다. 읽고 또 읽다 어느정도 기계적인 독서를 했던 내가 잊어버렸던 독서의 초심을 되찾는 기간이었고, 모르는 것을 아는 즐거움을 되살리는 기간이었고, 피눈물나는 '어려운 책읽기'를 넘어 포기하지 않는 독서를 해야겠다는 다짐을 다시했고, 독서는 내 운명이라는 사실을 실감했다. 독서의 운명을 실감한 내 마음은 어느새 평온을 되찾았고, 평온을 되찾자 나는 다시 '인디고 수독 모임'을 떠올렸다. 떠올림은 행동으로 이어졌고, 나는 나도 모르게 인디고 수독 모임 송년회에 운명처럼 참석한 내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운명처럼 수독 모임 송년회에 참석했지만 운명의 오묘함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수독 모임 송년회에 참석하기 전에 나는 한길사에서 나온 <춘추좌전1>  빌려서 집에 놔두고 있었다. 송년회가 끝나면 읽겠다는 마음으로. 송년회에 참석해서 수독 모임 샘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데, 000 샘이 내게 말을 건넸다. 12월 2주 모임 진행자로 나서는 게 어떠냐고. 나는 책이 뭐냐고 물은 뒤에 12월 2주 모임 책이 대만의 지식인 탕누어가 <춘추좌전>을 읽고 쓴 <역사,눈앞의 현실>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춘추좌전>을 읽으려고 집에 놔둔 사람에게, <춘추좌전>을 읽고 쓴 책을 진행하라고? 모든 것이 하나로 연결됐다. 이건 운명이다. 피할 수 없다. 피할 수 없으면 받아들여야 하는 수밖에. 나는 운명에 따라 <역사, 눈앞의 현실>을 읽고 12월 2주 모임에 운명처럼 모임을 진행했다. 저마다 다른 운명의 힘에 따라 <역사, 눈앞의 현실>을 읽은 이들과 함께.

<고전편>

고전을 왜 읽어야 하는 걸까요? 왜 그 오래전 책들을 읽어야 하는 걸까요? 지금 우리의 삶과 너무나 다른 면이 있는 게 분명한데도 왜 읽어야 하는 걸까요? 이런 물음에 하나의 정답은 없겠죠. 저마다 자기만의 답을 찾을 수밖에 없을 겁니다. 다른 사람의 답은 제가 알 수 없으니까 저만의 답을 한 번 말해보겠습니다. 삶이라는 건 관성이 있습니다. 하던 대로 하죠. 하던 대로 하다보면 거기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자, 그런데 고전을 한 번 봅시다. 고전은 현재 우리의 삶과 너무 달라요. 현재의 삶이 가진 관성이 고전에는 없습니다. 여기에 고전의 힘이 있습니다. 고전을 읽는다는 건, 자기 자신의 삶에 거리를 두고 바라보게 합니다. 조금 더 다른 시각으로, 조금 더 객관화해서 자신의 삶을 들여다보게 만드는 것이죠. 그럴 때, 우리의 삶은 조금 더 나은 방향으로 나갈 수 있게 됩니다. 고전의 '다름'이, 우리의 삶에 더 나은 방향으로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주는 것이죠.
다른 것도 한 번 생각해봅시다. 저는 인간의 삶을 구성하는 요소를 크게 두 가지로 보고 있습니다. 일반화해서 말하는 것이 위험하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화해서 말하면,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이라는 두 가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변하는 것이란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변하지 않는 것이란 아무리 시대가 변해도 변하지 않고, 변해서도 안 되는 것을 말합니다. 저는 '변하지 않는 것'은 과거로부터 쭉 이어져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생물학적인 본성부터 인간 사회를 구성하는 바뀌지 않는 요소들까지.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고전'은 이 '변하지 않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해줍니다. 로봇과 A.I.가 아무리 발달해도 인간의 삶에는 바뀌지 않고, 바뀌어서는 안 되는 것들이 있다고. 그 바뀌지 않는 것들을 생각하고 그것을 자신의 삶에 받아들여서 삶의 흐름 속에서 살아내야한다고 말하는 고전의 속삭임을 듣고 있노라면, 저는 저 자신이 고전에 담긴 도도한 역사의 흐름 속에 실려간다고 생각합니다. 그 역사의 흐름 속에서 저 자신이 과거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인류라는 하나의 공동체 구성원이라는 사실을 실감합니다. 그 소속감, 그 실감이야말로 고전을 읽는 하나의 힘이 아닐까요?^^

<고전의 현재화편>

탕누어는 <좌전>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읽었습니다. 자신만의 방식으로 <좌전>을 읽는 탕누어는 자신의 읽기의 흔적을 <역사, 눈앞의 현실>에 담아냈습니다. 이 책에서 <좌전>은 탕누어라는 인간의 삶과 사상과 생각과 사고와 관념과 언어를 통해서 현재의 삶이 됩니다. 탕누어는 <역사, 눈앞의 현실>이라는 책을 통해서 '고전의 현재화'를 이룬 것이죠. 탕누어도 했으니 우리라고 못하는 법은 없죠. 저는 12월 2주 수독 모임이 '고전의 현재화'의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가하신 분들이든 참가하지 못하신 분들이든 저마다의 고전의 현재화가, 이 모임을 통해서 시작됐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을 하든 하지 않든 본인의 자유이지만(^^;;) 최소한 12월 2주 모임에 참석하신 분들은 고전의 현재화를 위해 노력해봅시다. 참석하신 분들의 분발을 바라며 후기이자 새로운 시작으로서의 이 글을 마치려고 합니다. 이 글은 끝나지만, 진정한 의미의 끝은 아닙니다. 고전의 현재화라는 지난한 과제가 놓여 있기에. 그저 저라는 인간의 흔적이 사라질 뿐. 진정한 끝이자 시작으로서의 이 글의 마무리는 참여하신 분들의 댓글에 달려있습니다. 이제 댓글을 달아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