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여는 비듬 같은 존재다. 비듬은 체제라는 몸의 산물이지만 그것은 몸에 붙어 있다 떨어지면 이미 몸이라는 체제 안에 있지도 않다.

그런데 우리는 *부분으로 *통합되지 못한 *잉여와 잉여짓이 이 *체제의 중요한 *구성 요소라는 *아이러니에 접하게 된다.

그렇다면 그들은 사회 체제와 어디에서 만나는가?
잉여의 *활동 공간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생활의 장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잉여는 *생산 체제 안에 직접적으로 포섭되어 있지 않지만 *생활 영역을 통해 체제와 연결되어 체제의 구성 성분이 된다. - P10

/ 잉여짓과 정보자본주의

신자유주의와 정보자본주의의 결합

잉여 존재는 *과잉 축적의 산물이고.

잉여는 *속물의 *질서와 *배치에서 *탈락한 *배제물인 동시에 그들의 *잉여짓이 *정보자본주의의 *플랫폼에 *흡수되고 포섭되는 포함물이다.

그래서 잉여는 *포함적 배제물인 동시에 *배제적 포함물이라는 *모순적 지위를 지니게 된다. - P10

/ 아웃사이더와 잉영의 차이


*1960년대 *풍요의 절정에서 *축적과 소비의 *편집증적 체제에 *저항하거나 *체제 바깥으로 나가거나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었다.

그들은 *기성 체제에 *대항하는 자신들의 *윤리를 지니고 있었고, 삶에 대한 새로운 *에토스를 공유하고 있었다.

아웃사이더 집단으로서의 *히피는 반체제 운동과 연결되었고 그들의 에토스는 대항문화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새로운 삶의 방식에 대한 추구였고 감수성의 혁명이었으며 체제에 대한 봉기였다.

무엇보다도 그들은 사회 안에서 기성 사회 체제에 대항하는 세력이었지 *사회 바깥에 존재하는 *부스러기 잉여가 아니었다! - P13

한국의 *1980년대 *학생운동 세대는 아웃사이더는 아니었지만 기성 체제에 강력하게 *대항하면서 자신의 삶 행동을 사회적 틀 안에서 *성찰하고 조준하였다.

그들은 성공에 대한 집착이나 일상적 안위를 보장하는 직업을 의도적으로 거부하면서 *개체와 사회가 만나는 *접점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삶을 겨냥하고 살았다.

그들은 체제에서 배제되고 고난 받는 자일 수는 있으나 체제 바깥의 잉여 존재는 아니었다. 그들은 *속물의 삶을 거부하고 일종의 *영웅주의를 추구했다.

그러나 *정권 교체를 통해 대다수 *속물 위에 군림할 기회가 주어졌을 때 그들 또한 속물이 되어 버렸다. - P14

*2010년대 잉여 존재는 *과잉 축적과 향락을 향한 *욕망을 버리고 *스스로 택한 *새로운 삶을 추구하는 *적극적 아웃사이더가 *아니다.

그들은 체제 안으로 *포섭되려고 *부단히 노력하지만 *경쟁에서 밀리고 배제된 *수동적 아웃사이더이자 실업자이자 불안정 노동자다.

그래서 현재의 잉여는 자기소개서를 쓰고 스펙을 쌓던 *자기 형성의 주체이면서 동시에 경쟁에서 진 *루저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경쟁 체제를 스스로 먼저 거부하는 자들이 아니라 경쟁의 결과물들인 것이다. - P15

/ 잉여와 정치의 오락화


나꼼수의 감수성 혁명은 *말과 전달 방식과 커뮤니케이션의 *형식적 새로움에서 기인한 것이다.

나꼼수 팬과 일베 사이에는 분명한 경계선이 존재한다. 이들 사이의 정치적 차이와 사회적 관점은 매우 다르지만 그 이상의 *형식적 공통성이 존재한다.

*일베충의 *자기 비하는 *숨겨진 공격성과 결합되어 있다. 나꼼수의 경박함과 떠벌림(깔때기)은 언제라도 *공격적인 태도로 돌변할 수 있다.

대중은 정치를 *놀이화하고 연예로 만들고 더 나아가 *상품으로 만든다. 정치의 연예화와 상품화는 이 시대 정치가 *문화화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나꼼수 형식은 종편에 차용되면서 정치를 *연예오락화하는 도구로 변해 버렸다. - P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과 속내를 털어놓는다고 믿었다가,
갑자기 나와 대화를 나눈 게 사람이 아니라
원숭이였다는 사실을 안 나는 난파당한 사람처럼
몹시 환멸을 느낀다. - P3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은 자신이 행복하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불행한 겁니다.

오직 그 때문이죠. 이게 전부, 전부입니다!

알기만 한다면, 그는 지금 당장 이 순간 행복해질 겁니다. - P3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스도의 영은 지난 이천 년 동안 *개인의 저항과 *제도의 부패에도 불구하고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정의와 *평화를 실현해 나가고 있다.

나사렛 예수와 교회 사이의 *긴장을 강조 - P307

*패러다임이 역사의 흐름을 분석하기에 완벽한 틀이지는 않기에, 패러다임이라는 관점에서 그리스도교의 본질과 역살르 살피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큉이 이러한 직업을 시도한 것은 역사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을 통해 "그리스도교가 어떻게 또 왜 왜 오늘날의 모습으르 되었는가"와 "그리스도교의 바람직한 가능태"를 살피기 위해서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P207

/ 2-3. 교회 분열과 교회일치의 갈림길에 선 마르틴 루터
: 루터, 발터 카스퍼


전반적으로 *한국 개신교회는 *16세기에 일어난 서유럽 *종교개혁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개신교인은 종교개혁의 역사를 자신들의 *신앙의 토대가 되는 *집단
기억으로 가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16세기를 기억할 때 루터 이후 일어난 교회 분열이라는 틀 안에서 맴돌며 *자기 폐쇄적 서사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개신교의 성숙, 심화, 확장을 모색하는 이 시점에서는 종교개혁자들의 영웅화, 혹은 개신교의 자기 낭만화라는 틀이 아닌 포괄적이면서도 대안적인 루터 해석이 필요하지 않을까 - P211

카스퍼에 따르면 루터는 복음의 원리에 입각한 새로운 교회의 창시자로 기억되지만, 사실 :루터는 여전히 그리스도교의 사회 societas christiana의 종교적 *일치라는 *중세적 사고를 곳:한 사람이었다.

많은 개신교인은 이를 망각함으로써, 루터의 원 의도와 달리 발생한 교회분열을 정당화하거나 이상화하는 오류를 범했으며,

더 나아가 루터의 업적을 *중세에 계속되었던 *개혁의 역사, 특별히 *15세기 서유럽 곳곳에서 있었던 가톨릭 내부의 *복잡다단한 개혁을 평가절하하는 *단순화된 원리로 악용했다고 카스퍼는 지적한다. - P216

"무엇이 그 시대의 인간들을 움직이게 하는지 알아채는 직감력이 뛰어났지만, 또한 무척이나 시대에 맞지 않는 사람. - P221

16세기 프랑스 종교개혁 지도자 테오도르 베자 beza가 사용했다고 알려진

‘개혁된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 ecclesia reformata seller reformanda est’라는표현을 즐겨 쓰기도 한다.

하지만 개혁이라는 단어는 개신교회의 전유물이 아니다.

로마 가콜릭 교회든 개신교회든 한 분 주님의 몸으로 현존하는 이상 "교회는 항상 *새로워지고 쇄신하는 교회" ecclesia semper renovanda et reformanda일 뿐이다.

이것이 하나의 교회라는 포괄적 맥락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와 개신교회가 각자의 정체성을 존중할 수 있는 길을 루터에게서 찾을 수 있는 이유다. - P2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전히 에마는 자기가 사랑에 빠졌다는 사실에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여겼다.

얼마나 사랑하느냐 하는 문제에서만 생각이 달라졌다. 처음에 그녀는 꽤 많이 사랑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나중에는 그저 조금이라고 생각했다. - P2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