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는 뭐가 있어요?”란 아이들의 물음에 , , 별이 있단다.”고 답한다는 천문학자 박석재 박사의 책(’해와 달과 별이 뜨고 지는 원리‘ 67 페이지)을 다시 읽는다. 저 질문에 무엇이라 답할까? 나는 온도 차이가 있다고 답할 것이다.

 

해에는 주위보다 온도가 낮아 어둡게 보이는 부분인 검은 점(sunspot)이 있고 달에는 신록이나 높은 고원 지대 즉 밝은 부분과 달리 바다라 불리는 낮고 어두운 지역이 있다.(’해와 달과 별이 뜨고 지는 원리‘ 78 페이지)

 

물론 이름이 바다일 뿐 그곳에 물이 있지는 않다. 우리 민족은 달의 어두운 부분을 방아 찧는 토끼로 표현했다. 알아줄 만한 감수성이다.

 

여기서 어두움의 수사적 의미가 빛나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에 대해 생각해보자. “놀랍고 수수께끼 같은 우주의 구성 요소 치고는 다소 평범한 이름”(폴 스타인하트, 닐 투록 지음 끝없는 우주‘ 54 페이지)인 암흑물질과 암흑 에너지는 빛을 방출하지도 흡수하지도 않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우주를 이루는 물질의 90 퍼센트가 암흑 물질(중력과만 상호작용을 하는)이다. 우주 에너지의 70 퍼센트가 암흑 에너지이다.(레너드 서스킨드 지음 우주의 풍경‘ 8 페이지)

 

암흑 물질은 끌어당기는 힘을 가진, 우주의 팽창 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고 암흑 에너지는 우주를 가속 팽창하게 하는 에너지이다.(이강환 지음 우주의 끝을 찾아서‘ 60 페이지.. 이론(천체) 물리학자 폴 스타인하트와 닐 투록은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란 이름을 놀랍고 수수께끼 같은 우주의 구성 요소 치고는 다소 평범한 이름이라 말한 반면 이강환은 암흑 에너지를 멋진 이름이라 말한다. 나는 전자의 의견에 공감.)

 

천문학자 이강환에 의하면 우주 초기에는 물질이 끌어당기는 힘(중력)이 더 커서 우주가 감속 팽창을 했고 그 이후 빈 공간이 점점 커짐에 따라 암흑 에너지의 힘이 더 커져 가속 팽창을 하게 되었다.(’우주의 끝을 찾아서‘ 254 페이지)

 

천체물리학자 닐 디그래스 타이슨은 달의 극지방(極地方)의 분화구에 생명체가 있다면 햇빛을 산란시킬 만한 대기가 없음에도 영원한 어둠 속에서 살아 가고 있을 것이라 말한다.(’타이슨이 연주하는 우주 교향곡 2‘ 50 페이지)

 

영원이란 어떤 의미일까? 타이슨은 해의 중심에서 생성된 광자(光子: 빛 입자)가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고 표면으로 직진한다면 단 2.3(해의 반지름은 695km. 빛의 속도는 초당 30km.: 69,5/30 = 2.3166)가 걸린다는 말을 한다.

 

하지만 빛은 평균 1cm를 진행할 때마다 전자, 원자 등과 충돌하고 해의 자체 중력 탓에 중심부의 밀도가 아주 높아 밖으로 움직이는 도중 어딘가에 흡수되었다가 재방출되면서 추가시간이 생기는 등의 이유로 중심에서 표면까지 이동하려면 100만년이 걸린다고 말한다.(’타이슨이 연주하는 우주 교향곡 1‘ 84, 85 페이지)

 

말할 것도 없이 100만년은 가늠하기 어려운 시간이다. 하지만 그 수조차 영원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니다.

 

달을 광기(光氣)와 연결시키는 서양 사람들의 사고는 유명한데 그들이 한 달에 두 번 뜨는 보름달을 blue moon이라 칭하는 것은 달의 극지방에 살아 있을 수도 있는 영원한 어둠 속의 생명체를 생각한 결과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한다.

 

한 달에 두 번 뜨는 보름달은 불길하다는 의미의 blue moon이지만 대기의 먼지나 연기 때문에 달은 정말 푸르게 보일 수도 있다.

 

감기 때문에 복용한 항생제 때문에 그간 좋았던 위의 한쪽에 불편감이 생기는 것을 보며 내가 생각한 것은 해의 흑점과 달의 바다이다. 아픈 곳은 실제 온도가 낮아진 결과일 수도 있다는 생각도 아울러 나는 한다.

 

, 나는 불을 숭배하는 배화교(拜火敎: 조로아스터교) 신자인 듯 하다. 장 자크 아노 감독의 1981년 영화 '불을 찾아서'를 기억한다.

 

이 작품은 이웃 종족의 습격으로 생명과도 같은 불씨를 잃어버린 한 종족이 불을 위해 세 사람을 파견하는 이야기이다. 셋은 불을 찾아서 죽도를 광야를 헤맨 끝에 불씨가 아닌 불을 만드는 방법을 습득해 온다.

 

예나 지금이나 불은 여전히 숭배의 대상이다. 하지만 더 필요한 것은 불을 만드는 법이다. 고기를 낚아 주는 것이 아닌 고기 잡는 법을 알려 주어야 한다는 유대인의 지혜를 받아 나도 건강에서도 사유에서도 스스로 불을 만드는 법과 어울려 놀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