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과 에세이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생동하는 실험적 사유의 글을 찾다가 미국의 페미니스트 이론가 벨 훅스의 인상적인 글을 접했다.

“대학은 유토피아가 아니다. 하지만 대학은 유토피아를 창조할 수 있는 장소다.”(2017년 4월 17일 교수신문 수록 김종영 교수 글 참고)

내가 읽은 벨 훅스의 책은 ‘사랑은 사치일까?’ 한 권이다. 그래서 저 말의 출처가 어디인지 알지 못하지만 ‘벨 훅스, 경계 넘기를 가르치기’가 아닌가, 하고 추정할 만하다.

‘벨 훅스, 경계 넘기를 가르치기‘의 원서 제목인 ‘Teaching to Transgress: Education as the Practice of Freedom’에 교육을 뜻하는 단어인 education이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경계 넘기보다 위반하기 또는 금기 어기기 정도가 더 타당할 자유의 실천으로서의 교육이란 부제가 눈에 뛴다. 이 책에서 훅스는 케케묵은 인식론을 유지하는 대학 교육을 비판했다.

훅스는 교육을 왜곡하고 있는 인종주의와 성차별주의 등 각종 편견들을 보며 교사/교수들부터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훅스는 노동 계급에서 벗어나는 유일한 길이 교육이라 생각하고 어린 시절부터 열렬한 독자(讀者)로 살아온 분이다.

우리 사회에서 교육은 온갖 차별과 서열주의의 시발점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은데 훅스가 만일 이런 한국에서 태어났다면 지금 우리가 하는 비판과 자탄 이상의 말을 했으리라 생각한다.

최근 기형도 시인의 ‘오래된 書籍‘을 소개한 이령 시인 덕에 다시 그의 시집 ’입 속의 검은 잎‘을 들춰 보았다.

이 시집에 대학의 유토피아성 여부에 대해 사유하게 해주는 ’대학 시절’이란 시가 있다.

이 시는 “나무의자 밑에는 버려진 책들이 가득하였다/ 은백양의 숲은 깊고 아름다웠지만/ 그곳에서는 나뭇잎조차 무기로 사용되었다...”로 시작된다.

그리고 “돌층계 위에서/ 나는 플라톤을 읽었다, 그때마다 총성이 울렸다/ 목련철이 오면 친구들은 감옥과 군대로 흩어졌고/ 시를 쓰는 후배는 자신이 기관원이라고 털어놓았다”는 구절이 있고 “그리고 졸업이었다, 대학을 떠나기가 두려웠다”는 구절로 끝이 난다.

(최루탄을 쏠 때 들리는) 총성과 감옥, 군대, 기관원 등의 말을 통해 알 수 있듯 옛 정서를 불러 일으키는 시이다.

앞서 인용한 김 교수는 벨 훅스의 말을 언급한 데 이어 이런 말을 덧붙였다. ˝한국의 대학은 유토피아를 창조하고 있는가? 아니다...‘헬’(hell)을 창조하고 있다.”는..

벨 훅스가 말한 대학이 갖추어야 할 위상과 너무도 다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대학을 떠나는 것을 두려워한 기형도는 대학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유토피아로 보았는지 모르지만 어디에도 유토피아는 없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 다만 유토피아에 가까운 곳은 있으리라.

물론 기형도 시인이 대학을 떠나는 것을 두려워했다는 사실을 근거로 그가 대학을 유토피아로 생각했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기형도 시인은 대학을 유토피아가 아닌 사회보다 덜 두려운 곳으로 보았을 것이다. 총성, 감옥, 기관원 등은 기형도 시인이 살았던 시대(1960 - 1989)의 대학이 유토피아가 아니었음을 말해준다.

당시 대학은 사회보다 덜 전쟁터 같았던 곳이자 낭만적인 사람들이 모인 곳이었다고 해야 하지 않을지?

문득 그런 시절이 그립다. 물론 이는 장소를 그리워 하는 것이 아니라 지나갔기에 돌아갈 수 없는 특정 시간을 그리워 하는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얄라알라 2017-07-31 07: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시쓰는 후배는 기관원이라고˝....이 문구가 확 들어옵니다.헬을 창조하던 시절이 그리 멀지 않은 과거겠지요?

벤투의스케치북 2017-07-31 07: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그렇습니다... 인상적인 구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