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이상의 시에서 잡답(雜畓), 역단(易斷) 등의 단어를 만날 수 있습니다.

잡답(雜踏)으로 쓰인 부분을 가리키며 강의자(신형철 교수; 2018년 9월 15일 김수영 문학관)가 잡답(雜畓)이라 해야 옳다고 지적한 이 단어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 북적북적하고 어수선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역단은 역 즉 주역점을 치는 것을 말합니다. 괴이한 천재 이상도 보통 사람들과 다를 바 없는 점이 있었음을 알게 하는 단서입니다.

이상의 시에는 생활이 모자라는, 제웅처럼 자꾸만 감(減)해간다, 수명을 헐어서 전당잡히나보다 같은 예사롭지 않은 표현들이 꽤 많습니다.

예사롭지 않지만 기발하다기보다 일상적이면서 가슴을 치는 표현들입니다.

제 관심은 시를 외부 이론을 가져다가 분석하는 것이 어느 정도 유효하며 또 한계는 무엇인가 등에 가 있습니다.

외부 이론으로 시를 읽는 것이란 가령 이상의 오감도 같은 시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나 피카소의 큐비즘 기법의 그림으로 분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강의자는 제 질문에 그런 것이 요즘 유행합니다, 그렇지만 그럴 경우 시인의 내면을 파악하고 전하는 데 소홀해질 수 있습니다라는 답을 했습니다.

그러면서 두 유형의 읽기가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한 작품에서 자연스럽게 조우해야 한다는 의미로 저는 들었습니다.) 그러기는 쉽지 않다는 말을 더했습니다.

제 질문과 무관한 상황에서 강의중 나온 말이 관심을 끕니다.

오스카 와일드의 말이라며 정확한지 모르지만이라는 단서를 달고 강의자가 인용한 말은 ‘Be yourself. everyone else is already taken.‘이란 말입니다.

‘너 자신이 되어라. 모든 사람이 이미 자신의 자리를 차지했다(수용되었다).‘ 정도의 말인 듯 합니다.

이 말이 어떤 상황에서 인용된 것인지 명확히 기억하지 못하지만 시읽기에서든, 시쓰기에서든, 다른 문학 장르에서의 읽기나 쓰기든 독자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