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그림 읽는 법 - 하나를 알면 열이 보이는 감상의 기술
이종수 지음 / 유유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족자나 액자, 병풍같은 구식 프레임 속에 보여지는 옛 그림 혹은, 화첩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옛날 글씨나 그림은 도대체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이런 의문은 한국인이라면 낯설지 않을 그림을 대하면서 눈으로 보이는 것만 알 수 있었을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못한 감상법에서 조금이라도 탈출하고 싶었을 것이다.

 

이 책의 크기는 작지만 내용은 알차다. 옛 그림을 접할 때에 어떻게 봐야 할 지를, 그림을 대하면서 작가와 제목, 어디에 그렸는지 등 간단한 것에서부터, 이 그림을 감상하면서 얻게 되는 아름다운 느낌까지 아주 자세하게 훑어가고 있다. 휴대하기가 간편해서 더욱 좋다. 그렇게 읽고 나면 독자 개개인이 그림 보는 방식을 조금은 업그레이드 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내는 수고를 덜어 줄 수 있는 책이다.

 

책 읽기에 비교하자면, 글자만 줄줄 읽어가는 것이 아닌, 저자가 어떤 사람이고 어떤 활동을 했으며 이전에 쓴 작품은 무엇이었던가를 알아보면서 독자가 읽고 있는 책에 우선적으로 정보를 주듯이, 그림을 접하면서 이 그림은 누가 무엇을 그렸으며 어떤 내용을 표현하고자 했음인지 가늠하는 것으로 시작해 본다. 

 

첫 예로, 만폭동, 겸재 정선의 그림이다. 비단 위에 그려진 그림이며 산수화이다. 그래서 시작된 산수화의 설명도, 중국에서 내려 온 기원도, 발상도 설명한다. 산수화 라는 자체에 참 많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구나, 싶었다. 보통, 그림을 이루는 요소에는 풍경, 인물, 동물, 새와 꽃이 있는데 가장 자주 으뜸인 작품은 산수화이다. 이 '화'도 장르 전체를 이름인 것을 이 책의 설명으로 알게 되었다. 몽유도원도 처럼 '도'는 작품을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것이라고 하니 그림 화, 그림 도, 라고 해도 같지 만은 않다는 사실을 알았다. 

 

글의 전개 방식이 참 따사롭고 다정하다. 그림을 감상하는 방법을 말하기 위해서 그림 하나를 선정해 놓고 차근히 하나 씩 이어가는 식이다. 독자로서는 지루하거나 다른 생각을 할 틈이 없게 만든다. 정선의 진경산수화 하나 만으로 옛 그림의 탄생 배경이 이어지고, 이것은 단지 시작에 속했다. 왜 그렸는지 이유를 캐 가고, 무엇을 그렸고, 어떻게 그렸고, 어디에 그렸는지를 알게 한다. 거기다가 그린 도구의 종류라든가 색감, 농도, 그리고 이름을 날인하고 인장을 찍는 것과 감상자나 소유자들의 인장 찍기 등 모든 것이 총집합되어 비로소 그림 한 편 제대로 볼 수 있게 하는 생각의 길을 터 준다. 눈으로 보게 하는 것이 아닌 생각으로 그림을 보게 하고 이것이 이어져 작품 해석의 난해했던 길을 좀 더 수월하게 열어가는 것이다. 여기에다 덤으로, 이제는 옛 그림을 해석하고 감상해 가는 법을 한 수 익혔다고 한다면 진정 유익했던 책이라고 말 하지 않을 수가 없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