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3 - 태종실록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3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3권 태종실록(왕권을 세우다)은 태종 이방원이 왕권을 강화하고 세종을 임금으로 세우는 순간까지의 이야기다. 역시 아버지와 동생과 형을 끌어내리고 왕이 된 태종은 노련한 정치가였다. 시작은 비록 정통성 문제로 오금이 저려 아버지와 백성의 눈치를 봤지만 왕권을 강화해 나가는 솜씨가 아버지보다 한수 위다. 자신을 몰아낸 아들에 대한 반항심으로 똘똘 뭉쳐 가출을 일삼던 이성계를 순순히 무릎 꿇리는 장면을 보면서 이젠 시대의 흐름이 이방원 편으로 돌아섰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방원은 왕권 강화를 위해 외척과 아버지 시대의 사람들을 확실히 제거해 버린다. 강한 임금이 되고 싶으니까 너무 까불지 말라는 얘기. 가장 큰 희생양은 왕비인 민씨 집안 형제들이었다. 태종이 외척에 대해 유독 민감했던 것은 아버지 이성계의 둘째부인 신덕왕후, 즉 막내 방석을 세자로 내세워 자신을 물먹인 새어머니에 대한 한도 작용했다. 

 

그래서 자신을 왕으로 만든 내조가 큰데도 태종은 원경왕후를 견제하기 위해 속을 뒤집는 일만 일삼았다. 원경왕후는 조선의 안주인이 되어서도 정치적으로만 머리가 획획 돌아가는 남편 덕분에 늘 홧병에 시달리며 살아야 했다. 왕비지만 가까이하기엔 너무 위험한 사람이다 이거였겠지? 거기다가 세종을 왕으로 앉혀놓고 세종의 장인까지 민첩하게 제거했으니 외척의 발호는 꿈도 꾸지 못하는 시대로 만들었다.  

 

태종은 제거할 사람의 순위를 정할 때 나이를 아주 중요하게 생각했다. 똑같은 공신 중에 죄가 좀 있어도 하륜처럼 나이가 많으면 뭐 그쯤이야, 황천길 갈 날이 멀지 않았는데... 하면서 넘어갔지만 이숙번처럼 나이가 젊어서 언제든 일을 도모할 여지가 보이면 가차없이 팽해버렸다.  

 

태종은 핵심 인사로 역성 혁명에 반대한 인물들을 기용해서 과거 제도를 개혁하고 관료 제도도 유교 정치에 맞게 개편한 현실주의자였다. 니편 내편 가르기 좋아하는 요즘 정치인들이 태종의 이런 점은 본받았으면 좋겠다. 임금에게 "아니 되옵니다"라고 직언할 수 있는 언관 제도를 마련한 것도 태종이다. 그리고 모든 정책 결정 과정을 기록으로 남겨 후세의 평가를 두려워하도록 했으니 이는 오늘날 대부분의 대통령이 기록을 거의 남기지 않는 것과는 대조적. 좋은 평가 받고 싶으면 떳떳하게 기록에 남길 수 있는 정치를 하면 될 것을...

 

뭐니뭐해도 태종 이방원의 가장 큰 업적은 우리 역사에 길이 남을 세종을 왕으로 앉힌 것이다. 큰아들이 왕위를 이어야 한다는 정통성 때문에 무지하게 고민하고 갈등을 하면서도 결국 양녕을 폐세자하고 충녕으로 세자를 전격 교체한 후 두 달여 만에 왕좌에 앉혀놓는 결단성은 역시 정치 10단만이 보여줄 수 있는 솜씨다. 그 과정에서 보이는 양녕대군과 충녕대군의 권력을 탐하는 묘한 신경전도 재미있다. 

 

피를 뿌리며 거머쥔 정권이었지만 물러설 때가 언제인가를 알아차리고 떠난 정치인이기에 후대에 후한 평가를 받는 것 같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3-24 01: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3-24 18: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3-26 20:0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