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거슨은 오펜하이머에게 나름대로 "그동안 내가 남들에게 말하지 못했던 은밀한 이야기들을 해 주었다." 돌이켜 보면 너무 자세하게 이야기하지 않았나 싶을정도였다. 그는 "오펜하이머에게 (그런 이야기들을) 해 준 것은 잔인하고멍청한 행동이었다. (또 다른 친구인) 진은 그것을 정신적 강간이라고 부를 정도였다."라고 썼다. - P78

"문제는정신과 의사가 분석을 받는 사람보다 더 유능해야 하는데, 오펜하이머의 경우에는 그런 사람을 구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 P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학교의 교훈은 "말이 아니라 행동(Deed, Creed)"이었다. - P40

그는 "내가 명확한 경로를 따라 가고 있다는 개념은 전혀 사실과 맞지 않는 것이었다."라고 회고했다. - P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더이상 그것을 영상 ‘작품‘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대신 ‘콘텐츠‘라는 말을 사용한다. ... 이제는 "작품을 감상한다"보다 "콘텐츠를 소비한다"라고 말하는 편이 더 익숙하다.

작품을 접하고, 음미하고, 몰두하는 것만으로 독립적인 기쁨과 희열을 느낀다면 ‘감상‘이라고 할 수 있다.
‘소비‘에는 다른 실리적인 목적이 수반된다. ‘화제를 따라가기 위해‘, ‘다른 사람과 소통하기 위해‘ 작품을 보는 행위가 이에 속한다.

프랑스의 비평가 롤랑 바르트 등이 제 창한 ‘텍스트론‘, 즉 "문장은 만든 이의 의도에 지 배당하지 않고 문장 그 자체로 읽어야 한다"라는 사상이 생각날지도 모른다. 일단 쓰인 문장은 만 든 이로부터 떠나 자율적인 것(텍스트)이 되어 다 양한 방식으로 읽힌다는 주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인을 위한 음료는 아닐지도 모르지만, 일단맛본 사람을 ‘인식의 확산‘이라는 SF 특유의 명정상태로 이끌고, 지적인 탐구야말로 인류의 가장 숭고한목적 중 하나라는 사실을 순간적으로나마 깨닫게 해주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안중근의 ‘대의‘보다도, 실탄 일곱 발과 여비백 루블을 지니고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하얼빈으로 향하는 그의 가난과 청춘과 그의 살아 있는 몸에 관하여 말하려 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2-11-24 2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