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어 랄프 로렌
손보미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사람의 삶은 그 사람의 '비밀'로 완벽히 치환된다. 그러므로 삶은 곧 하나의 비밀 덩어리인 셈이다. 평생에 걸쳐 생성된 비밀은 오롯이 한 사람에게 귀속되지는 않는다. 시간에 풍화되기도 하고 새로운 비밀과 합쳐져 새로운 비밀을 만들기도 한다. 사는 동안 드러나지 않은 비밀은 죽음과 함께 영속하는 우주의 언어로 저장된다. 그러나 시간에 풍화된 비밀은 망각의 공간 속으로 흔적도 없이 사라지기도 하고 떨어져 나간 부스러기가 누군가의 기억 속으로 조용히 스며들기도 한다. 하나 분명한 사실은 한 사람의 삶이, 또는 한 사람의 죽음이 가치 있는 어떤 것으로 남기 위해서는 그가(또는 그녀가) 평생을 바쳐 만들었던 비밀을 비밀 그 자체로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밀은 비밀로 유지될 때 아름답기 때문이다.

 

손보미의 장편 소설 <디어 랄프 로렌>의 이야기 또한 주인공 종수의 비밀 서랍장에서 출발한다. 미국에서 구 년째 유학생활을 하던 종수는 대학원 지도교수인 기쿠 박사로부터 사실상 자퇴 압력을 받는다. 종수가 전공하는 물리학이 그와 어울리지 않는다는 게 구실이었지만 기쿠 박사의 충고는 대학원을 떠나라는 명령이나 진배없었다. 종수는 자신의 모멸감을 숨긴 채(말하자면 기쿠 박사와 자신에 의해 만들어진 비밀을 숨긴 채) 자신의 기숙사 방에 칩거한다. 대학원 기숙사에 있는 그 누구와도 마주치지 않은 채 침거하던 그는 잠겨 있는 책상 서랍을 열어 오래전에 만들어진 자신의 비밀과 조우하기도 하고 우스꽝스러운 복장으로 피겨스케이팅을 하는 기쿠 박사의 모습을 보기 위해 브라이언트 파크에 다녀오기도 한다.

 

"수영의 청첩장을 앞에 두고, 나는 분노와 좌절감과 패배감과 슬픔과 외로움이라는 온갖 감정의 소용돌이 속을 헤매고 있었다. 왜 그런지 몰랐다. 그냥 내 안의 어떤 부분이 통째로 사라진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비밀의 서랍'이 나를 구원해줄 거라고 믿었지만, 그건 완전한 착각이었다. 나는 이미 낭떠러지 바깥 허공에 있는 거나 마찬가지였다." (p.33)

 

잠겨 있던 책상 서랍에서 종수가 발견한 것은 받았던 사실조차 잘 기억나지 않는 '수영'이 보낸 청첩장이었다. "디어 종수, 나는 잘 지내. 곧 결혼식을 올릴 거야. 나는 무척 행복해. 너도 잘 지내길 바란다."는 짤막한 내용의 청첩장에서 종수는 그가 열여덟 살이던 그해 여름, '수영'과의 추억(둘만의 비밀일 수도 있는)을 떠올린다. 수영은 그때 자신이 랄프 로렌에게 편지를 쓰려고 하는데 번역을 해달라고 부탁했었다. 그녀의 주장에 따르면 랄프 로렌은 니트, 헤어슈슈, 향수 등 온갖 것을 만들면서도 오직 시계만은 만들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머리부터 발끝까지 랄프 로렌으로 걸치고 싶은' 그녀는 시계를 만들어달라는 편지를 써서 랄프 로렌에게 보낼 작정이었다. 종수는 '수영'과 조금이라도 더 오래 같이 있고 싶어서 편지를 번역하는 일에 생각보다 더 많은 시간을 썼던 걸로 기억한다.

 

대학원에서도 쫓겨나는 바람에 마땅히 할 일이 없어진 종수는 남들이 뭐라 하든 자신만의 세계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피겨스케이트를 타는 기쿠 박사의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보고 면전에서 그를 조롱하려던 처음의 계획을 접고 만다. 돌아오는 길에 그는 랄프 로렌 매장을 보았고 매장에 들어가는 대신 뉴욕 도서관에 들러 고인이 된 랄프 로렌의 정보를 검색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는 그닥 알려진 게 없는 랄프 로렌의 삶을 탐구하기 시작한다.

 

종수는 대학원에서 쫓겨난 후 미국에 머물렀던 일 년 동안 랄프 로렌이 시계를 만들지 않은 이유를 찾아나선다. 그와 관련된 많은 자료를 찾아 읽고, 주변 인물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기도 한다. 소설은 이제 종수의 이야기인 동시에 종수가 탐색하는 랄프 로렌의 이야기가 된다. 열한 살에 야반도주를 하여 뉴욕에 왔던 랄프 로렌이 구두닦이를 할 때, 그를 데려가 아들처럼 키워주었던 조셉 프랭클, 조셉 프랭클의 오랜 이웃이었던 백네 살의 할머니 레이첼 잭슨, 레이첼 잭슨을 돌보는 입주 간호사 섀넌 헤이스 등 랄프 로렌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종수가 만난 인물들의 이야기도 더해진다.

 

"수영은, 수영은 그 시절을 기억하고 있을까? 그런 생각을 하니까 가슴이 무너지는 것 같은 느낌에 사로잡혔다. 나중에 섀넌 헤이스는 그게 바로 상실감이라고 말했다. "마음속에 구멍이 난 것 같죠. 안 그래요?" 그리고 그녀는 이렇게 덧붙였다. "누군가가 당신 마음속 서랍에서 무언가를 꺼내서 가지고 가버린 거죠." (p.41)

 

종수는 끝내 랄프 로렌이 시계를 만들지 않았던 구체적인 이유를 찾지 못한다. 그렇다면 그가 랄프 로렌을 탐색하며 미국에 머물렀던 일 년의 시간이 무의미하기만 했던 것일까? 종수가 읽었던 여러 자료와 주변 사람들이 들려주었던 여러 이야기, 그 모든 게 랄프 로렌의 삶을 완벽히 재현한다고 할 수 있을까? 개인이 취득한 평생의 비밀은 결국 그 사람의 온전한 삶이 된다. 독일의 심리학자 우르술라 누버는 자신의 책에서 이렇게 말했다. '비밀은 우리 인생에 어떤 권한도 없는 사람이 우리 삶에 함부로 기웃거리지 못하게 막아주는 울타리'라고 말이다.

 

타자화 된 어떤 대상이나 광대한 이 우주의 시공간에는 우리가 채 밝혀내지 못한 무수히 많은 비밀이 존재한다. 비밀이 존재하는 까닭에 우리의 관심과 호기심이 이어지고 그로 인하여 어떤 관계와 질서가 맺어진다. 나와 타자와의 관계에서 비밀은 곧 대상과의 관계를 부드럽게 하는 윤활유이자 촉매제인 셈이다. 투명함이 보편적 미덕처럼 여겨지는 요즘 세상에 자신의 비밀을 지키며 산다는 건 그리 호락호락한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매일 조금씩 자신의 비밀을 잃어가는 것으로도 모자라 없는 비밀까지 탈탈 털어버리는 작금의 세태에 누구 한 사람쯤은 굳건히 자신의 비밀을 지키며 산다는 건 우리에게 얼마나 큰 위안이 되는가. 나는 누군가의 비밀을 열렬히 응원하고 싶은 것이다. 당신의 마음속 서랍에서 무언가를 꺼내가지 못하도록 나 한 사람이라도 꼭 지켜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