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따금 자신을 향해 위로의 말 한마디를 던지거나 위로가 필요한 누군가에게 그러하듯 진심을 담아 등을 토닥여 줄 필요가 있다. 단순히 감상이나 형식적인 행위가 아닌 자신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격식과 진심을 담아서 말이다.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은 그럴 만한 자격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인간이 만든 도덕적인 잣대만으로 판단할 일이 결코 아니다. 이런 맥락에서 나는 그리움보다 오히려 잊혀짐이 좋지 않을까, 하고 생각할 때가 종종 있다. 그리움은 흔히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 이를테면 자신의 성향에 잘 맞느냐 아니냐에 따라 그림움의 강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잊혀짐은 시간의 길고 짧음은 있을 수 있겠으나 시간이라는 절대적 기준에 의해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객관적 결말로 귀착된다.

 

또 다른 이유도 있다. 그리움의 끝은 결국 피할 수 없는 이별일 테지만 잊혀짐은 결국 새로운 만남의 시작이기 때문이다. 시간의 힘을 간과하는 우리는 흔히 지금 이 순간에 펼쳐지는 현상만 주목한다. 그러나 우리는 단 한 순간도 변화의 기로에서 벗어난 적 없다는 걸 기억해야 한다. 우리에게는 정체된 상태로 남아 있을 자유가 존재하지 않는다. 변화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우리는 그저 한없이 떠밀려갈 뿐이다.

 

장강명의 에세이집 <5년만에 신혼여행>을 읽고 있다. 작가는 이 책에서 자신의 사생활을 매우 솔직하게 드러내고 있다. 독자 입장에 있는 내가 오히려 '이렇게 솔직해도 되나?' 하는 걱정이 드는 걸 보니 작가는 자신의 소신에 대해 매우 당당했던 것 같다. 가령 이런 대목이다.

"솔직히 내 부모님과 HJ가 왜 서로 친하게 지내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 명절에 싫다는 아내를 자기 부모님 댁으로 굳이 데리고 가는 남자들은 왜 그러는 걸까. 보기 싫은 친지들을 만나러 큰집에 가는 사람들의 심리는 뭘까. 해마다 명절이 지나면 이혼 상담이 급증하고 형제간 폭행으로 누군가 사망했다는 기사가 꼭 나오는데, 다들 그런 위험을 각오하고 친지들을 만나는 걸까. 아닐 거라고 생각한다. 아마 그 사람들 대부분은 자신들이 원하는 바가 뭔지 정확히 모를 것이다. 그냥 막연히 명절에는 가족이 다 모여야 한다고 하니까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일 뿐이다." (p.29)

작가의 주장은 일견 쿨하고 멋있어 보인다. 그러나 유교주의 도덕관이 시퍼렇게 살아 있는 현 실정에서 작가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할 이는 많지 않을 듯하다. 작가의 주장인 즉, 많은 사람들이 아무 생각도 없이 관습에 따라 행동할 뿐 자신이 살 자리인지, 죽을 자리인지 구분도 하지 못한다는 뜻이니까. 한마디로 무뇌아라는 의미.

 

그러나 작가의 솔직함은 칭찬 받아 마땅하지 않을까. 솔직함은 언제나 좋은 것이니까. 이런 논리라면 나도 무뇌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qualia 2017-05-16 20: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많은 걸 생각하게 합니다. 명절 친지간 왕래 찬반 혹은 기피 여부에 대해선 어느 하나로 의견을 딱 부러지게 정하지 못하겠네요. 왜냐면 여자쪽, 시댁쪽, 남자쪽, 친가쪽 생각들이 모두 나름대로 일리가 있으니까요. 명절에 음식 준비에 고생하는 여성들쪽 사정을 들여다보면, 즉 남성들이 직접 명절 제삿상을 차리거나 음식을 직접 장만·요리·대령해보면 그 고충과 노동 강도가 엄청나다는 걸 알 수 있죠. 때문에 많은 여성들이 명절 쇠는 걸 싫어하죠. 결과적으로 시댁 혹은 큰집에 가는 것 자체가 싫어지는 것이죠. 그래서 옛날처럼 유교적·봉건적·가부장적 규율이나 풍습이 많이 쇠락한 지금에는 명절이나 제삿날을 간략하게들 보내거나 아예 없이 지내려고들 하죠. 그런데도 보통 부담스러운 게 아니고 보통 힘드는 게 아니죠. 옛날 유교시대, 봉건시대 당시 여성들이 감당해야 했던 명절, 제사 때의 상상을 초월하는 노동 강도와 심리적·감정적 고통을 생각하면 정말 아찔한 정도를 넘어서서 뭐라 형언키 어려운 공감적 고통이 깊숙이 밀려옵니다. 이런 필설로도 다 표현 못할 고통을 옛날엔 전혀 어디에 하소연하지 못하고 속으로만 삭였던 것이죠. 이젠 이런 전통적 규율 아닌 규율에 여성들이 적극적으로 저항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위 꼼쥐 님 글에서처럼 명절 때 시댁이나 큰집에 여성들은 가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것이죠. 그러나 남편 혹은 남성들은 혈통 혹은 핏줄에서부터 올라오는 종족보존본능의 거부할 수 없는 힘에 끌려 귀소하는 것이겠고요. 그렇다면 전통과 규율에서 벗어나 희생 강요에 반항하는 여성들과 종족보존본능이라는 유사 의무감에 충실하려 하는 남성들 간의 갈등이고 충돌이고 전쟁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헌데 이 갈등 충돌 전쟁은 쉽게 해결될 것 같지는 않아 보이죠? 남녀간 역지사지, 친지간 교류, 왕래가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자주 반복됐다면 애초에 저런 문제들은 생기지도 않(았)을 것인데요.

해서 위에서 꼼쥐 님께서 얘기하신 《작가의 의견》은 여러 맥락에 따라 다양한 시각으로 들여다봐야 할 것 같아요. 어떤 맥락에선 전혀 논점을 일탈한 무관한 소리 같고, 어떤 맥락에선 나름 ‘쿨한’ 소리 같고, 걍 무뇌아스런 소리 같기도 하고요. ^^ 글쎄요. 솔직한 건 나름 솔직하다고 볼 수도 있긴 한데요. 어떤 측면에선 단세포스럽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요. 하지만 뭐라고 딱 부러지게 생각을 정리하지 못하겠네요. 역설적으로 덕분에 많은 생각을 생각할 기회를 주기 때문에 좋은 것 같기는 합니다.

꼼쥐 2017-05-19 13:39   좋아요 0 | URL
집에서 반대하는 결혼을 했던 작가는 명절에도 부인을 대동하지 않고 본가를 다녀왔던 모양입니다. 그게 합리적이라고 생각했겠죠. 굳이 싫다는 사람을 이끌고 서로 불편한 만남을 갖게 한다는 게 내키지 않았을 테고 말이죠. 그러나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사람의 마음이라는 게 몸이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지는 것처럼 만남이 없으면 가까워질 기회도 없는 것이겠죠. 참 어려운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