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스크랩 - 1980년대를 추억하며 비채 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선 5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권남희 옮김 / 비채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라카미 하루키의 에세이를 처음 읽는 독자라면 아마도 이런 생각에 빠지지 않을까 싶다.  '이 사람 이거 순전히 날로 먹으려고 하네.  책을 뭐 이따위로 설렁설렁 썼지?'하는 생각 말이다.  하루키의 에세이집이 대부분 신변잡기를 늘어놓은 가벼운 것들이어서(물론 아닌 것도 있다.  작가가 유럽을 여행하며 쓴 <먼 북소리>는 전혀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하루 중 절반 이상의 시간 동안 인상을 쓰며 지내는 사람이라면 하루키의 에세이집을 읽기에 앞서 한번쯤 정신과 상담을 받기를 권하고 싶다.  의사로부터 '정신적으로 아무 이상 없다'는 소견서를 받은 사람만 읽었으면 하는 게 내 바람이다.  왜냐하면 인생을 너무 심각하게 바라보는 사람의 시각에서 무라카미 하루키는 분명 반쯤 미친 놈으로 보일 테니까.

 

앞에서 말한 하루키 에세이집의 특징을 가장 선명하게 드러내는 책을 꼽으라면 최근에 출간된 <더 스크랩>이 아닐까 싶다.  이건 뭐 숫제 에세이집이라고 말하기도 민망할 정도다.(특히 한국 에세이스트에 익숙한 독자라면 그 정도가 더 심할 듯.)  가까운 친구들을 일개 분대쯤 집으로 불러서는 시답잖은 농담을 지껄이기도 하고 언젠가 잡지에서 읽었던 유명 연예인의 가십을 세상의 종말을 알리는 기사라도 되는 양 입에 침을 튀기며 말하는 사람이 연상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작가는 이 책에 실린 글들이 무척이나 쉽게, 즐기면서 썼음을 실토하고 있다.

 

"이 책에 실린 짧은 글들은 1982년 봄부터 1986년 2월까지 약 사 년에 걸쳐 <스포츠 그래픽 넘버>에 연재한 글이다.  연재하는 걸 싫어하고, 어떤 글이든 일 년 이상 계속 쓰면 질리는 체질인 내가 <넘버>에 장기 연재를 한 것은 예외 중의 예외다.  어째서 이렇게 오래 썼는가 하면 이유는 간단하다.  글을 쓰는 것이 정말 즐거웠기 때문이다.  먼저 한 달에 한두 번 <넘버>에서 미국 잡지며 신문을 왕창 보내준다.  보내주는 것은 <에스콰이어> <뉴요커> <라이프> <피플> <뉴욕> <롤링스톤> 등의 잡지와 <뉴욕타임스> 일요판이다.  나는 뒹굴거리며 잡지 페이지를 넘긴다.  재미있을 법한 기사가 있으면 스크랩해서 그걸 일본어로 정리하여 원고를 쓴다.  이것으로 한 편 끝.  어떤가요, 즐거워 보이죠? 솔직히 말해 정말로 거저먹기였다."    (p.4)

 

무라카미 하루키의 에세이가 대부분 이런 시시껄렁한 이야기들로 채워졌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작가의 소설뿐 아니라 에세이집도 좋아한다.  그것도 아주 격하게.  왜냐하면 하루키의 에세이집은 개콘을 보듯 편한 마음으로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무지 심각할 겨를이 없다.  때로는 주변을 의식하지 않고 소리를 내어 크게 웃기도 한다.  아마도 나는 앞에서 제시했던 정신과 상담을 빼먹었기 때문이리라.  책에는 <스타워즈의 츄바카>라는 제목의 꼭지가 있다.  갑자기 <스타워즈>에 열광하는 아들 녀석 생각이 나서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그래서 새삼 깨달았는데 원숭이 츄바카 캐릭터가 정말로 귀여웠다.  어디가 귀여운가 하면, 츄바카는 쓸데없는 말을 하지 않는다.  "므고오"라든가 "아구"하는 정도로 대부분 소통을 마친다.  나 역시 그 정도의 단어로 볼일을 보면서 때때로 제국군과 공중전을 하며 인생을 보낼 수 있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p.105~p.106)

 

작가는 소설에서도 그렇지만 수필집에서도 그의 관심사를 빠트리지 않는다.  음악(특히 재즈), 영화, 소설, 섹스, 애완동물, 마라톤 등이 그것이다.  나는 이따금 '하루키는 도대체 어떤 생각으로 이런 시시한 글들을 쓸까?'하는 생각과 '시시하다고 생각하는 이런 책을 나는 도대체 왜 읽을까?'하는 의문에 빠지곤 한다.  그럼에도 내가 하루키의 수필을 포기할 수 없는 이유는 어떤 작가도 하루키처럼 쓸 수 없다는 데 있다.  예컨대 그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나와 같은 사람이 피에트 몬드리안의 대표작 <빨강 노랑 파랑의 구성(Composition with Red, Yellow and Blue)>을 보면서 '저 정도는 나도 그릴 수 있겠다'고 말하는 것처럼 하루키가 쓴 '쉬워 보이는' 글을 누구도 흉내낼 수 없다는 점은 참으로 신기하다.

 

"특히 전세계의 젊은이들이 모여드는 여름의 에게해는 그야말로 섹스의 도가니 같다.  대낮부터 거리 한복판에서 아베크족들이 위장까지 닿을 정도로 딥키스를 한다.  뭐 별로 상관없지만 그런 걸 보고 있으면 정말로 육식동물이라는 느낌이 든다.  특히 개트윅 공항에서 단체로 우르르 몰려오는 영국 펑크 소년소녀들의 기세는 엄청나서, 성기들이 자유로이 돌아다니며 로큰롤이라도 할 것 같다."    (p.94)

 

그러나 내가 하루키의 에세이집을 결국 포기하지 못하는 이유는 따로 있는 듯하다.  그의 글을 읽다보면 나도 모르게 '인생은 다 거기서 거기'라는 생각과 '잘난 사람이건 못난 사람이건 벗겨놓고 보면 다 오십 보 백 보'라는 생각이 들도록 하기 때문이다.  어쩌면 작가도 마음속 밑바탕에는 그런 철학이 깔려있는지도 모르겠다.  간혹 하루키의 에세이집을 그저 '시간 죽이기' 용도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건 하루키를 몰라도 한참 몰라서 그런 것이다.  나는 하루키의 에세이집을 읽는 내내 유쾌한 기분에 휩싸이다가도 다 읽고 나면 문득 심각해지곤 한다.  찰리 채플린의 코미디를 보면서 무작정 웃을 수만은 없는 것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