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푸트니크의 연인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이정환 옮김 / 자유문학사 / 199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간혹 우리는 주변에서 처음 만난 누군가에 대하여 '그는 이러한 사람이다'라고 너무도 쉽게 단정적으로 말하는 사람을 보게 됩니다.  때로는 그의 판단을 영민한 감각으로 오인하여 부러워하는 경우도 종종 있지만 대개는 그런 일들이 자신에 대한 지나친 믿음이나 지적 오만에서 비롯되었음이 밝혀지게 되지요.  그럴 때 우리는 그 사람에 대한 더 이상의 기대를 접은 채 일정한 거리를 두고 피하게 됩니다.

 

이런 경험은 책을 읽을 때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느 작가의 작품을 기껏해야 단 한 권을 읽었을 뿐인데도 마치 그 작가에 대하여 모든 것을 알고 있는 양 떠벌리는 그런 경우지요.  부끄럽지만 저도 그런 경우가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정작 문제가 되는 것은 그 행위가 아니라 사후의 결과라고 하겠습니다.  나의 직감이나 추론에서 비롯된 작가에 대한 일차 평가를 나는 그 작가가 쓴 다른 작품을 읽을 때에도 똑 같이 믿게 되기 때문입니다.  일종의 선입견으로 굳어지는 것이죠.

 

무라카미 하루키에 대한 평가도 그렇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느 독자가 무심히 내렸던 평가를 아무런 비판도 없이 내 것인 양 그대로 따르는 것이지요.  그 중에는 하루키에 대한 선망이나 경외에서 비롯된 것도 있고, 경멸이나 근거 없는 부정에서 비롯된 것도 있습니다.  그에 대한 평가는 이처럼 다양한 스펙트럼을 갖고 있습니다만 정작 그 근거를 파고들면 확증할 수 있는 정확한 근거를 발견하기보다는 오히려 모호한 측면만 존재한다는 사실에 놀라곤 합니다.

 

저는 그동안 국내에 번역된 하루키 작품의 대부분을 읽었습니다.  그 중에는 수필집도 더러 섞이기는 했지만 대부분은 소설이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저는 하루키에 대해 가졌던 편견을 어느 정도 희석시킬 수 있었습니다.  예컨대 문학적 깊이가 없이 지나치게 상업주의적이라던가, 성적인 묘사를 위주로 독자의 관심을 유도하는 선정성이라던가 뭐 그런 종류의 것들이었죠.  그러나 그의 작품을 읽으면 읽을수록 작품 전반에 흐르는 놀라운 상상력과 사고의 깊이에 감탄하게 됩니다.  대체적으로 나이가 들면 그에 반비례하여 상상력은 고갈되게 마련인데 예순을 넘긴 그가 아직도 젊은 작가의 상상력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는 것은 그저 놀라울 뿐입니다.

 

제가 오늘 읽었던 책은 <스푸트니크의 연인>이었습니다.  소설 전체를 이루는 이야기의 뼈대는 비교적 간결합니다.  스미레에 대한 ‘나’의 일방적인 사랑과, 17세 연상인 뮤에 대한 스미레의 일방적인 사랑이 서로 대비되어 그려지고 있습니다.  좀 더 부연하자면 대학을 졸업하고 초등학교 선생님이 된 '나'와 대학을 중퇴하고 직업 작가를 꿈꾸는 스미레, 피아니스트가 꿈이었지만 아버지의 사업을 물려받은 '뮤'가 등장합니다.  '나'는 스미레를 이성으로 좋아하지만 스미레는 '나'를 동성 친구처럼 편하게 대합니다.  어느 날 스미레는 한국계 일본인인 '뮤'의 제안을 받고 그녀의 비서로서 일을 하게 됩니다.  같은 여자인 '뮤'를 사랑하는 스미레는 이제 소설을 쓰지 않고 오직 '뮤'만을 바라보게 됩니다. 

 

"이 여자는 스미레를 사랑하고 있다.  그러나 성욕을 느낄 수는 없다고 했다.  스미레는 이 여자를 사랑하고 성욕도 느끼고 있다.  나는 스미레를 사랑하고 성욕을 느끼고 있다.  스미레는 나를 좋아하기는 해도 사랑하지는 않고 성욕을 느끼지도 않는다.  나는 다른 익명의 여자에게 성욕을 느끼기는 하지만 사랑하지는 않는다.  복잡하다.  마치 실존주의 연극의 줄거리 같다.  모든 상황은 거기에서 멈추어 어느 누구도, 그 어디에도 갈 수 없다.  선택할 여지가 없다."    (p.169)

 

유학 시절에 마음에도 없는 성적 체험을 한 '뮤'는 그 누구에게도 성욕을 느끼지 못합니다.  심지어 유부녀인 '뮤'는 남편에게도 그렇습니다.  남편은 이미 '뮤'의 그런 사정을 알고 결혼했기 때문이었죠.  성욕이 뭔지도 모르던 스미레는 '뮤'를 만난 이후 그녀에게 급격히 이끌립니다.  스미레는 '뮤'와 동행했던 유럽 여행 도중 그리스의 한 섬에서 '뮤'를 향한 자신의 마음을 고백한 후 갑자기 사라집니다.  당황한 '뮤'는 '나'를 그 섬으로 와달라고 부탁합니다.  그러나 스미레는 찾지 못하고 나는 돌아옵니다.  여름방학이 끝나고 '나'는 다시 교사의 업무로 복귀하고 어느 날 스미레의 전화를 받게 됩니다.  

 

"오랫동안 혼자 생각하는 버릇을 들이면 결국 한 명분의 생각밖에 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지.  외톨이로 지낸다는 것은 굉장히 외로운 생활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던 거야.  외톨이로 지낸다는 건 비내리는 저녁에 커다란 강 입구에 서서 많은 물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모습을 끝없이 바라보고 있을 때와 같은 기분이야."    (p.263 ~ p.264)    

 

그렇습니다.  우리는 사는 동안 다양한 것을 욕망합니다.  사랑도 그 중 하나이겠지요.  그러나 나와 같은 것을 욕망하는 다른 사람을 만난다는 것은 우연과 같은 기적에 불과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쩌면 일정한 궤도를 따라 우주를 유영하는 인공위성처럼 우리는 그렇게 살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죠.   스푸트니크는 러시아가 발사한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으로서 특히 개 한 마리를 태워서 쏘아 올린 것으로 유명합니다.  러시아어로 '여행의 동반자'라는 의미를 지닌 스푸트니크는 작가가 생각하는 삶의 모습이 아니었을까요?  생명을 다할 때까지 정해진 궤도를 따라 무작정 도는 인공위성.  그렇다고 하여 거부할 수도 없는 운명.  우리는 그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임으로써 타인의 삶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제서야 우리는 그들의 삶을 제대로 바라볼 수 있겠지요.  바다에 이르는 강물처럼.  외롭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강물처럼 흐르는 타인의 삶을 그저 바라보아야 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