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장의 교실
야마다 에이미 지음, 박유하 옮김 / 민음사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야마다 에이미의 소설집 <풍장의 교실>에는 표제작인 '풍장의 교실'을 비롯하여 '나비의 전족', '제시의 등뼈' 이렇게 세 편의 중편소설이 실려 있다. 야마다 에이미는 현대 일본 여성 작가 중에서도 독보적인 존재로 평가되고 있지만, '풍장의 교실' 역시 그녀의 작품 중 결이 다른 독보적인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육체가 관계의 매개 역할을 하는 데 중요한 요소라고 믿는 작가는 그녀가 쓴 소설 속 여성들이 대개 '남자의 몸에 대한 욕망'을 거리낌 없이 표현하는 반면, '풍장의 교실'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초등학교 5학년의 어린 소녀라는 점과 주인공을 둘러싼 같은 반 여학생들의 '악의'가 소설의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소설의 주인공인 모토미야 안은 유난히 전근이 잦은 아버지의 직업 때문에 여름방학이면 가족들이 다른 곳으로 이사할 준비를 하고, 여름방학 숙제에서 해방된 '나'(모토미야 안)는 혼자서 들판 같은 곳을 걸으며 시간을 소일했다. 당연한 일이지만 전학이 잦았던 '나'는 또래의 친구들보다 눈치가 빠르고 인간에 대한 이해도 높았다. 말하자면 '나'는 다양한 아이들과 만나며 일찌감치 애어른이 된 것이다.

 

"일단 세상에 태어난 인간은 결코 변하지 않는 어떤 것을 몸속 깊은 곳에 지니고 있다는 것을 깨달은 나는, 사는 곳이 바뀐다 해도, 카멜레온처럼 피부색은 변할지언정 기본적인 것은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나는 쓸데없는 저항을 일찌감치 단념하고, 어딜 가든 나 자신을 바꾸지 말자고 결심했습니다." (p.16)

 

도회지에서 시골의 초등학교로 전학을 온 '나'는 처음에는 예쁜 용모와 도회지 출신 다운 세련된 미적 감각을 지닌 탓에 동경의 대상으로 인기를 끌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나'는 점차 따돌림을 받게 된다. 아이들로부터 따돌림을 받게 된 결정적인 원인은 요시자와 선생님과 에미코에게 있었다. 쾌활한 성격의 총각인 요시자와는 체육을 담당하는 인기 선생님이었다. '나'에 대한 요시자와 선생님의 편애가 반장인 에미코의 심기를 자극했고 그때부터 에미코의 복수가 시작되었다.

 

"나는 내가 제물이 되어 가고 있다는 걸 느꼈습니다. 이것은 내가 제일 걱정하던 일입니다. 물처럼 잔잔한 인생. 나는 그것만을 바랐는데, 교실에선 언제나 제물을 필요로 하는 종교가 판을 칩니다. 나는 몇 번이고 전학을 하면서 그것을 실감했습니다." (p.38)

 

'나'에 대한 집요한 따돌림과 보복이 도를 넘어서고 있었고 담임 선생님조차 아이들과 동조하는 듯했다. 학급에서 '나'를 이해해주는 사람은 악코가 유일했다. '나'는 메모지를 통해 악코에게 속내를 털어놓고는 했지만 악코는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성격이 아니었다.

 

"내 피부 한 꺼풀을 벗겨 내면 슬픔의 덩어리가 있다는 걸 아무도 몰랐던 겁니다. 알아야 하는 선생님들조차. 하긴 어린애에 불과한 선생님들한테 그런 대단한 것을 기대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는 실망도 하지 않았습니다." (p.41)

 

"절망, 그건 인간에게서 감정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몸이 나른해집니다. 나는 턱을 괴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내 마음은 항상 쭈그리고 앉은 모습입니다. 일어서기가 귀찮습니다. 검은 장막을 쳐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게 하는 게 고작입니다." (p.48)

 

어느 날 에미코를 향해 웃었다는 이유로 '나'를 향해 아이들의 무차별적인 폭력이 있었고, 이를 목격한 요시자와 선생님이 '나'를 양호실로 보내주었다. '나'는 양호실에서 더럽혀진 교복을 벗고 체육복으로 갈아입은 채 잠이 들었다. 그러나 일어나 보니 속치마가 사라지고 없었다. 교실로 돌아왔을 때 '나'의 속치마는 적셔진 채 '나'의 얼굴에 씌워졌고, '나'는 그때의 충격으로 인해 자살을 결심한다.

 

"인간이 짐승의 눈이 될 때, 거기엔 도덕도 상식도 없고 심지어 감정조차 존재하지 않는다는 걸 아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거기에 존재하는 건 습성뿐입니다. 그리고 그 습성을 끝까지 완수하기 위해 끓어오르는 욕망뿐입니다. 그러고 싶지는 않았지만, 나는 요시자와 선생님에게 어깨를 맡긴 채로 교실을 나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p.57)

 

자살을 결심한 '나'는 유서에 남길 말을 고민한다. 그날 밤 '나'를 걱정하는 엄마와 언니의 대화를 듣고 마음을 고쳐 먹은 나는 수동적으로 당하기만 했던 그동안의 방식에서 벗어나 자신을 놀리고 괴롭히는 아이들을 향해 공격적인 방법으로 대항한다. '나'는 그들을 철저하게 경멸하는 것이다.

 

"내가 탄생시킨 살인법은 경멸이라는 두 글자였습니다. 인간을 죽인다는 건 적절하지 않은 표현인지도 모릅니다. 남자아이의 신발에 욕망을 느끼는 내가 인간이라면, 나는 그녀들을 나와 똑같은 위치에 두고 싶지는 않습니다. 우선 자신들을 인간이라고 생각하는 어리석은 이들을 끌어내립니다. 그러고 나서 조금씩 죽여나가는 것입니다." (p.78)

 

소설의 말미에서 '나는 생각한다. '죽은 사람을 들에 내버려 두는 것을 풍장(風葬)이라고 한답니다. 그건 잔혹한 풍습일까요?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라고. 일본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아이들의 따돌림과 집단 괴롭힘은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심지어 직장 내에서의 따돌림도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비단 인성 교육의 부재나 윤리 의식의 상실에서 비롯된다고 보지 않는다. 과학이 발달하고 이런 추세에 따라 오프라인에서의 접촉이 현저히 줄어듦에 따라 사람들은 인간관계와 이해 충돌의 해결책을 학습하지 못한다. 어찌 보면 우리는 사회성이 결여된 반사회적 인격장애자를 끝없이 양산하고 있는 셈인데 그것을 오직 법으로만 해결하려 하고 있다. 지금도 우리 주변에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들이 득시글거리고 있다. 본래의 모습을 숨긴 채. 우리는 지금 위험하기 짝이 없는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