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팔로 하는 포옹
김중혁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판을 수용하는 방식은 열이면 열, 백이면 백 다 다르겠지만 비판에 대한 개인의 반응과 수용하는 방식이 그 사람의 삶 전체를 좌우하는 게 아닐까 하고 생각하게 된다. 물론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말이다. 이를테면 가벼운 비판에도 펄펄 뛰며 화를 내는 방식에서부터 다른 사람의 말이라면 무조건 따르고 보는 방식 등 비판에 대한 개인의 반응 스펙트럼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유아기에 자신의 수용 방식을 어떻게 학습하고, 성인이 된 후에 비판을 어떤 식으로 활용하는가 하는 문제는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가는 데 무엇보다도 중요하지 않은가 싶다.

 

김중혁 작가의 소설집 <가짜 팔로 하는 포옹>의 표제작 '가짜 팔로 하는 포옹'에는 알코올중독자인 규호와 한때 그의 연인이었던 정윤이 등장한다. 소설 속 규호 역시 타인의 비판을 수용하지 않고 오직 자신의 세계에서 뱅뱅 맴을 도는, 폐쇄적인 성격의 전형처럼 읽힌다. 정윤을 다시 만난 규호는 자신이 정윤과 연인 관계에 있었을 때, 자신이 알코올중독자 모임에 나갔었던 사실을 아느냐고 정윤에게 묻는다. 그때는 자신에게 관심조차 없는 줄 알았던 정윤이 안다고 대답하자 규호는 알아줘서 고맙네 하며 비꼬는 투로 말한다.  그들은 여전히 술을 마신다. 그리고 한 발 더 나아간다.

 

"야, 이규호. 너 그때 정말 지긋지긋하게 지긋지긋했던 거 알지? 알지. 내가 다 죄인이지. 전부 내 잘못이지. 그런데 그거 알아? 아무런 애정 없이 그냥 한번 안아주기만 해도, 그냥 체온만 나눠줘도 그게 한 사람을 살릴 수도 있대. 나는 그때 네가 날 안아주길 바랬는데, 네 등만 봤다고. 등에는 가시가 잔뜩 돋아 있었고."    (p.96)

 

지그소 퍼즐 맞추기를 즐기던 규호는 알코올중독자 모임에서 지그소로 불렸다. 오랜만에 정윤을 불러낸 규호는 알코올중독자 모임에서 만난 피존씨 얘길 들려준다. 동대문 근처에서 큰옷 가게를 했다는 그는 이혼 후에는 매일 저녁 편의점에서 산 싸구려 위스키를 한 병씩 마셨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살려달라는 여자의 목소리를 들었고, 그 여자를 구하러 뛰어나가려는데 문득 규호가 선물한 지그소 퍼즐이 눈에 띄었고, 퍼즐을 다 맞추면 술을 끊자는 생각이 갑자기 들었단다.

 

"저 자신이 너무 지긋지긋했습니다. 저는 위스키를 마실 때마다 창문을 꼭 걸어 잠급니다. 술에 취해서 저도 모르게 뛰어내릴까봐서요. 제가 비집고 나갈 수도 없을 만큼 작은 창문인데도 매번 창문을 잠갔습니다. 비겁한 제가 부끄러웠고, 소심한 제가 창피했습니다. 술을 정말 끊고 싶었습니다."    (p.111~p.112)

 

피존씨의 얘기를 하면서도 규호는 점점 더 많은 술을 마신다. 그런 모습을 지켜보는 정윤은 술 좀 그만 마시라고 권하지만 규호는 멈출 줄을 모른다. 생맥주에 소주를 섞어 마시는 규호를 보며 정윤은 화를 내지만 규호는 가겠다는 정윤을 달래어 다시 자리에 앉힌다. 그리고 규호가 피존과 포장마차에서 술을 마시던 도중 옆자리의 손님들과 싸움이 붙어 결국 파출소에까지 가서 조사를 받았던 얘기를 들려준다.

 

"경찰관님, 고통 같은 것은 말입니다. 절대 얼굴에 드러나지 않습니다. 아십니까? 그게 다 어디 붙는지 아십니까? 알코올에 달라붙어서 말입니다, 살에도 붙고, 조각조각 나서 뇌에도 붙고, 또 내보내려고 해도 손톱 발톱 그렇게 안 보이는데 숨어살면서요, 조용히 있다가 중요한 순간이 되면요, 제 뒤통수를 후려치고요, 그러는 겁니다."    (p.117)

 

피존의 얘기를 하염없이 들려주던 규호는 며칠 전에 알코올중독자 모임으로부터 피존이 죽었다는 소식의 전화를 받았다고 말한다. 원룸 탁자에 엎어져서 죽어 있었고, 탁자 위에는 위스키 두 병과 거의 다 맞춘 퍼즐이 있었다고. 피존씨 얘기를 하고 싶었는데 얘기할 사람이 정윤이밖에 없었다고. 규호는 다시 술을 주문했고 정윤은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자리를 뜨는 것으로 소설은 끝을 맺는다.

 

"여기에 왜 맺히는지 압니까? 이것은 온도 차이 때문입니다. 나는 차가운데, 바깥은 차갑지 않아서, 나는 아픈데, 바깥은 하나도 아프질 않아서, 그래서 이렇게 맺히는 겁니다."    (p.117)

 

체질상 술을 전혀 마시지 못하는 나는 사회생활을 잘 하려면 술을 마실 줄 알아야 한다는 비판 아닌 비판, 충고 아닌 충고를 무수히 많이 듣고 또 들었던 터라 어떻게 하면 술을 잘 마실 수 있을까 무던히도 애를 썼었다. 술을 마시지 말라고 해도 막무가내로 술을 마셔대는 사람들과 술을 마실 수 없음에도 억지로 술을 마시려드는 나 같은 사람들 역시 사회의 비판을 수용하는 방식이 처음부터 잘못된 게 아닌가 싶다. 어찌 보면 세상을 이해하는 첫걸음은 비판을 수용하는 방식에서 비롯되는지도 모른다. '어른 말을 들으면 자다가도 떡이 생긴다'지만 꼭 떡이 생겨서가 아니라 타인의 비판이나 충고를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는 필요한 듯하다. 그래야 자신만의 세계에 매몰되지 않는다. '마마보이'나 '와이프보이'가 될 것까지야 없겠지만 타인의 비판을 수용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에만 매몰되는 것 역시 위험한 게 아닐까. 소설 속 규호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