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의 심리학 - 우리는 왜 용서보다 복수에 열광하는가
스티븐 파인먼 지음, 이재경 옮김, 신동근 추천 / 반니 / 201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복수와 용서 사이를 건너기 [복수의 심리학_ 스티븐 파인먼]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 [방황하는 칼날]은 성폭행 당한 후 사체로 자신에게 온 딸을 죽인범인들을 죽이는 복수의 얘기다. 소년법으로 10대에게는 큰 형벌이 주어지지 않고, 딸을 죽인 범인들을 처리하기 위한 아버지의 눈물겨운 싸움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대부분 복수를 일으키는 것은 분노의 마음을 가지고 있으며 (P233) 그 분노를 일으키는 감정들은 몇 가지 있다고 한다.

 

 

 

박탈감, 불평등, 불공평, 불공정, 배신감, 착취당한 느낌과 이용당한 느낌, 좌절감, 수치심, 시기와 질투들은 분노를 일으키고 이 감정은 복수라는 또 다른 감정을 만들어 낸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의 주인공은 소년법으로 인해 성폭행과 살인을 해 놓고도 법의 처벌이 너무 낮은 것에 분노를 느꼈으며 그들을 복수의 대상이 되었다. 그 복수가 올바른 선택이라고 하지 못하겠지만, 분노만은 충분히 공감 할 수밖에 없다. 내 가족을 해한 악당들을 처리하기 위한 복수극은 비단 이 소설뿐만이 아니라 영화 속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복수의 심리학>은 역사 속 인물부터 시대에 걸친 복수로 인한 사건들을 들려준다. 글을 쓰는 창작자들은 복수라는 테마를 가지고 많은 글들을 써 왔으며 그 근간은 어디서부터 왔는지 복수의 뿌리를 살핀다. 그 이야기는 공포 정치를 한 스탈린과 후세인의 이야기부터 시작된다. 그의 공포 정치는 모두 어린 시절과 콤플렉스로 만들어진 복수의 칼날에서 나왔다. 스탈린은 외모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으며 그의 부모와 관련된 소문에 강압적으로 주변 관리를 하게 되었다. 자신에게 날아 올 복수의 총구를 피하기 위해 안전 문을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결국 그 안전 문 때문에 그는 뇌졸중으로 쓰러졌지만 아무도 그 문을 열지 못했고 사흘이나 지나서 그의 죽음을 알 수 있었다고 하니 그는 결국 자신을 방어하다 스스로 죽게 된 것이나 다름없다. 안전문을 만들지 않았다면, 그가 좀 더 일찍 발견 됐다면 그는 죽지 않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니 끔찍하다. 그가 악인이 되지 않았다면, 그의 어린 시절이 조금 더 따뜻했다면 그가 그렇게 자랐을까?

 

 

 

“작가와 척지지 마라. 인쇄기로 찍어서 복수하는 자들이다.” P72

 

 

 

문학에서도 복수의 심리학을 찾아 볼 수 있다. 너무도 유명한 헤밍웨이 또한 자신의 전 부인과 이혼을 한 후 그녀에 대한 험담을 소설로 썼다. 작가 글로 그를 나쁜 사람으로 만들어 놓았고, 최대한 잔인하게 그를 묘사 할 수 있었다. 언젠가 <서울의 달>을 쓴 작가 김운경은 자신의 돈을 갚지 않고 도망간 친구의 이름을 주인공 이름으로 썼다고 했었다. 그가 할 수 있는 복수였다. 그 주인공은 깡패들에게 맞아 죽었다. 드라마 방영 당시 48.7%의 최고 시청률을 자랑했으니 그 ‘홍식’이라는 이름을 가진 그분은 자신의 이름을 가진 주인공의 죽음을 보지 않았을까? 사실 이런 복수라면 나도 여러 번 하고 싶다.

 

 

 

“그렇다면 복수는 부정적인 것이기만 할까? 사실 복수는 나름의 의미가 있다. 복수는 때로는 정의를 실현하는 것이고, 손상된 자존감과 명예를 세우는 것이며, 용기 있는 자만이 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비극적인 결말이 예상되는 복수를 권할 수는 없다. 많은 종교에서 복수 대신 용서를 권한다. 용서는 최고의 미덕이다. 하지만 생존의 위협을 느끼고 인간의 존엄성에 상처받은 사람들에게 용서하지 못한다고 비난할 수는 없다. 그들이 느끼는 분함과 억울함은 때론 자신의 삶을 포기할 만큼 강렬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그들만큼의 고통을 겪지 못한 사람이 섣불리 용서하라고 권하기 힘들다.”P236

 

 

 

영화 <밀양>에서 주인공 전도연은 하나 밖에 없는 아들을 유괴로 잃고 말았다. 그녀의 아들을 유괴한 사람이 잡히고 그녀는 그를 용서하기 위해 많이 애를 썼다. 괴로운 날을 견디며 용서하기위해 그를 찾았다. 평온한 얼굴을 한 그는 이미 하나님에게 용서를 받았다고 했다. 그녀에게 그렇게 어려웠던 용서가 하나님은 왜 그토록 쉽게 그를 용서 했는지 그녀는 분노했고 자해했다. 복수 대신 용서라는 관용을 베풀며 살아 갈 수만 있다면 좋겠지만 그 훌륭한 미덕을 갖기가 쉽지 않다. 기독교에서는 한쪽 뺨을 때리면 다른 한쪽을 대주라고 하지만 어찌 그렇게 쉽게 다른 한쪽을 댈 수 있을까.

 

 

 

책에서 제시한 현실적인 복수의 대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는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 마음속으로의 복수를 꿈꿔 보는 것이다. 둘째는 자신을 비난하지 않는 것이다. 셋째는 나쁜 기억에서 한 발짝 물러서는 연습을 해보길 권한다. 넷째는 상대방을 무시하는 것이다.

 

 

사실 이 현실적인 대안들이 다 마음에 들지 않는다. 그렇다고 똑같이 눈에는 눈, 이에는 이로 맞서고 싶지는 않다. 정치인들의 회고록에서처럼 그때 나는 언제나 옳았고 다른 이들이 항상 틀렸다고 말하기보다 나도 그때 틀렸었다고 말 할 수 있는 반성이 있다면 분노의 마음이 누그러지지 않을까. 분노도 마음이 다쳐 생기는 것이니 진정한 사과와 반성이 있다면 서로 총을 겨누는 일들이 조금은 사라지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