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도스섬 공방전 시오노 나나미의 저작들 5
시오노 나나미 지음, 최은석 옮김 / 한길사 / 200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오노 나나미의 전쟁 3부작 중 두번째 작품이다. 두번재 작품의 배경은 로도스 섬이다. 로도스 섬 크기나 자연 풍광 보다는 가진 지정학적인 위치 대문에 더 유명한 섬이다. 지도를 펴보면 알겠지만 지중해 동편에 위치하여 이슬람 제국의 목밑을 겨눈 칼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로도스 섬이다. 일찌기 팔레스타인에서 패배하고 쫓겨난 성요한 기사단이 성지탈환을 위하여 절치부심하며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는 최전선이다. 병력의 양에서 절대 열세인 성 요한 기사단이 대제국 투르크를 상대로 방어전에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질적인 면에서 압도적인 우위에 있었기 때문이다. 질의 대명사인 중세의 기사단과 양의 대명사인 투르크 제국의 충돌은 간단히 말해 질과 양의 충돌이라고 할 수 있다. 

  알라딘에 등록되어 있는 서평을 찾아보니 대체로 로도스 공방전을 서유럽의 가톨릭 세력 대 지중해 동쪽의 이슬람 세력의 충돌로 보고 있다. 물론 맞는 말이다. 그렇지만 로도스 공방전을 동방과 서방의 대결로만 바라본다면 껍데기만 보는 것이지 본질을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다. 몰타 기사단 시절에 투르크와의 전투에서 반짝 빛을 발하기는 하지만 로도스 공방전은 당시 최고의 질을 자랑하던 기사단이 몰락하는 결정적인 전투가 된다. 이젠 전쟁의 승패는 소수 정예가 아니라 압도적인 물량이 좌우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양상은 서유럽에서도 나타난다. 

  당시 서유럽도 세력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던 시기였다. 이탈리아 정도나 시대에 뒤떨어지게 용병을 고용하여 아웅다운 치고 받는 싸움을 벌이고 도시 국가가 주류를 이루지만 그외 나머지 국가들은 영토국가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봉건주의가 끝이나고 절대 왕정이 등장하던 시기라는 말이다. 카를 5세, 헨리 8세, 프랑수아 1세라는 세 명의 젊은이를 중심으로 절대왕정이 태동하기 시작한다. 물론 북유럽에서는 프로테스탄트들이 맹위를 떨치면서 분열하지만 결국 이들도 영토국가의 시대로 나아간다. 

  영토국가에서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 일정부분의 양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전쟁에 몇백 몇천이라는 소규모 전투집단이 투입되는 것이 아니라 몇만을 동원할 수 있는 전제군주가 등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투르크의 쉴레이만 대제 또한 마찬가지다. 현저하게 떨어지는 전투력을 압도적인 물량으로 커버할 수 있다는 것이 메메드 2세가 콘스탄티노플 함락 시킨 이후의 나타난 새로운 전쟁 양상이다. 화약 무기가 발전하면서 이러한 양상은 더 뚜렷해져 간다. 현대에 와서 소수 정예를 외치는 것도 일정부분 물량이 보장될 때에나 가능한 말이다. 양으로 승부를 짓는 것이 이미 시대의 대세로 굳어졌다.

  로도스 공방전을 장기에 비유하자면 졸(卒)과 차(車)의 대결이라고 할 수 있겠다. 로도스 공방전 이전까지는 기껏해야 졸(卒) 한개 혹은 두개가 차(車)와 대결하고 있는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군주도 5개의 卒을 동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못했을 때 車는 장기판을 휩쓸고 다닐 수 잇다. 그렇지만 卒을 한번에 4~5개를 소집할 수 있는 군주가 등장한다면 제 아무리 날고 기는 車라고 할지라도 혼자서 卒을 다 상대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馬 혹은 象 혹은 砲와의 유기적인 연계가 필요하다. 그렇지만 로도스 공방전에서 馬, 象, 砲는 車의 편이 아니라 卒의 편이었다. 그러니 아무리 날고 기는 車라고 할지라도 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실제로 오늘날 전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 일정부분 양이 담보가 되었을 때 각 부분들이 지휘관의 의도에 다라 유기적으로 움직여 주는 것이다. 아무리 유기적인 움직임을 가지고 있어도, 아무리 정예병이라고 할지라도 한 손으로 열 손을 감당할 수는 없는 것이다. 세계 군사 대국 1위이자 최첨단 기술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미군도 양적인 면에서 그 어느 나라에 꿀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우리는 종종 간과하기 일쑤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낭만적인 중세 기사도의 상징 성 요한 기사단은 실상은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자신을 변화시키지 못한 낙오자가 아닐까? 비록 오늘날까지 살아남아서 의료봉사라는 원래의 설립 목적을 잘 지키고 있지만 오랜 세월 대 이슬람 전투를 이끌었던 기사단으로서는 생명이 다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로도스 공방전 이후의 시대는 질이 아닌 양의 시대가 되어버린 것이다. 이 사실을 기억한다면 3부 레판토 해전 또한 어떤 방향으로 전쟁이 전개되었을지 충분히 상상이 가능할 것이다. 아마 레판토 해전은 베네치아가 승리를 했어도 투르크의 압도적인 물량에 밀려서 적절한 선에서 타협을 이루는 것으로, 혹은 패배한 것으로 결론 지어지지 않겠는가? 

  질의 시대를 끝내고 양의 시대를 열었다는 것이 로도스 공방전이 만들어낸 역사의 새 판임은 분명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전쟁 3부작에 낄 수 있는 충분한 자격이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ㅁㅁ12 2012-04-02 2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정말 이 책을 읽어보신게 맞나요?

로도스 공방전은 질과 양의 대결이나 졸과 차 같은 것은 지극히 부수적이고 지엽적인 부분인데요

전체적인 말씀은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영토국가, 절대왕정 얘기인지라 그렇다고 볼 수 있겠지만

뒤에 서너개 문단은 비유 자체가 적절하지 않습니다

다시 읽으세요

saint236 2012-04-03 12:17   좋아요 0 | URL
정말 읽어본게 맞고요. 그냥 무턱대고 잘못 읽었으니 다시 읽으세요라는 훈계조의 댓글은 그렇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