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디의 우산 - 황정은 연작소설
황정은 지음 / 창비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겨울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작가님이다. 차갑고 쓸쓸한 곳에서 성냥에 불을 붙이는 느낌. 작가님의 책들은 항상 그런 마음이 들었다. 백의 그림자에서 은교와 무재를 처음 만났을 때도 아무도 아닌을 처음 읽었을 때도, 책장을 덮고 나서 머릿속으로 책장 밖 이야기를 몇 번이나 상상해보았다. 그들이 그곳에선 조금이라도 더 따뜻하길 바라면서.

 

디디의 우산은 유난히 더디게 읽혔던 소설이었다. 몇 번이나 멈추었다 숨을 몰아쉬며 답답하고 화난 감정을 애써 추슬러야 했고, 쉴 새 없이 쏟아지는 슬픔을 한없이 억눌러야 했다. 담담한 문체들이 d의 아픔에 공명하게 했고 dd의 빈자리를 느끼게 했으며 여기 이곳에 오기까지 지나왔던 숱한 시간들을 다시 되돌아보게 만들었다. 묻어둔 수많은 기억들이 그들의 시선을 통해 흘러 들어온다. 그저 그런 식으로 넘기려 했던 상식의 선에 대해, 그 많은 혁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달라진 게 없는 현실의 고통에 대해, 얼마나 많은 이들이 이런 불합리한 일상에 익숙해져 있는지에 대해, 그렇게 한때 내가 아팠던 일들과 나도 모르는 사이 내가 누군가를 상처 준 일들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본다. 그리고 상식적으로라는 말이 얼마나 밀접하게 혐오와 관계를 맺어왔는지 그 무분별함과 무책임함에 대해서도. 부끄럽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그동안 우리는 얼마나 많은 무지와 혐오를 숱하게 용인해왔던가.

 

여러 시간과 사건들이 다루어졌음에도 이들의 목소리를 따라가는 길이 전혀 혼란스럽지가 않았다. 오히려 이곳에 담긴 그들의, 우리의 세상이 너무나 혼란스럽고 아프게 느껴질 뿐이다.

 

객관적인 사실을 보도해야 할 신문기사들이 젠더적 프레임을 가져다 대는 순간 얼마나 크게 무너지는지 는 말하고 있다. 사건의 심각성과 더불어 대의라는 명분 아래 사소한 문제로만 치부되었던 그 많던 균열들. 다들 겪어본 적이 있기에 말하지 않아도 없는 일이 될 수 없는그런 일들을, 그때의 마음을 우리는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일상에서 공공연하게 자행되는 농담이 우리에게 얼마나 참을 수 없는 모욕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해 그리고 그에 맞서 제대로 소리내어보지 못한 우리의 망설임에 대해. 이 책의 두 번째 중단편인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는 이런 우리의 사회 모습을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리하여 우리의 혁명은 끝나지 않았다는 것을,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것을 말이다.

 

모두 조금씩 더 건강하기를 바라는 작가의 마음처럼 우리 사회가, 우리 자신이 조금씩 더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바란다. 이젠 정말 그만 아팠으면 하는 마음이다.

 

모두가 돌아갈 무렵엔 우산이 필요하다.”

 

d를 읽고 나니 예전에 읽은 웃는 남자(아무도 아닌, 문학동네 2016)가 더 깊이 다가온다. 같은 이의 아픔에 대해 다른 물성으로 느껴보는 시간.

 

"산다는 것은 (…) 우리보다 먼저 존재했던 문장들로부터 삶의 형태들을 받는 것" (『롤랑 바르트, 마지막 강의』, 민음사 2015) (211p)

내가 왜 그랬지? 왜 내가 창피해야 했지? 어른 입장. 그건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사람이 그냥 자라면 어느 순간 어른인가? 내가 어른이야? 누가 내게 그 기회를 줬어? 그런 생각들을 끝없이 하면서 나는 억울했던 것 같아. (238p)

김소리는 수년 동안 자신에게 그렇게 물을 수밖에 없었는데 그는 어땠을까? 그도 그렇게 했을까? 그에게도 그 질문이 있었을까? 바르고 옳게 행동했다는 생각에 그런 질문조차 없지는 않았을까? 그는 김소리에게 부끄러움을 가지라고 말했지만 당시에 김소리가 가진 것은 수치심이었고 경멸감이었지. 그는 김소리에게 어른을 요구했지만 그 자신도 김소리에게는 어른이었으면서, 그는 김소리의 아무것에도, 김소리의 어른 됨에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고 비난만 하고 갔어. 그의 어른 됨은 김소리를 관찰하고 김소리를 판단하고 사후에 다가와 비난할 때에만 유용하게 작동했는데, 어른 됨이 그런 것이라면 너무 편리하고 야비하지 않나. (240~241p)

너희가 무슨 관계인가. 나는 궁금하다. 그렇게 묻는 우리의 이웃은 그것이 정말 궁금할까? 그 ‘궁금함’의 앞과 뒤에는 어떤 생각이 있을까, 그것은 생각일까? 예컨대 너희가 무슨 관계냐는 질문을 받을 때 서수경과 나는 우리의 대답으로 (우리가 대답을 하건 하지 않건) 우리가 또는 우리 각자가 대면할 수 있는 위협을 생각하고, 질문자와의 관계 변화를 생각하고, 그 질문이 나오기까지의 과정과 대답 이후까지를 찰나에 상상하는데 우리에게 질문한 이웃도 그 정도는 생각했을까? 아니야 언니. 라고 김소리는 말했지. 사람들은 그런 걸 상상할 정도로 남을 열심히 생각하지는 않아. 그것을 알/생각할 필요가 없으니까. (262~263p)

한 사람이 말하는 상식이란 그의 생각하는 면보다는 그가 생각하지 않는 면을 더 자주 보여주며, 그의 생각하지 않는 면은 그가 어떤 사람인가를 비교적 적나라하게 보여주는데 당신은 방금 너무 적나라했다고 말해주고 싶다고. 그렇지. 적나라赤裸裸. 그 광경은 마치 투명한 창을 통해 보이는 남의 집 베란다처럼…… 우리는 왜 때때로 베란다를 청소하듯 그것을 점검해보지 않는 것일까. 모조리 끄집어내서 거기 뭐가 쌓였는지도 확인을 좀 해보고 먼지도 털어보고 곰팡이 끼거나 망가진 것은 닦거나 내다버리고 하면서 정리도 다시 해보고 새로운 질서로 쌓아보거나…… 하지를 않는 걸까 좀처럼.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일까? (26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