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피엔스 (무선본) -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조현욱 옮김, 이태수 감수 / 김영사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이 글을 읽고 있는 사피엔스는 모두 잠재적 혁명가이다. 혹시 자신이 호모 에렉투스라고 생각하고 있는가? 필수 교과목이 된 한국사의 첫 장만 펼치면 예전의 인종은 모두 멸종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니 당신, 호모 사피엔스는 언제든지 혁명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여기서 혁명을 과거에 있었던 프랑스 대혁명이나 미국의 독립 전쟁처럼 피 튀기는 과격한 전투로 생각하면 곤란하다. 그것은 소리없는, 그러나 폭발적인 지식의 혁명이다.


 역사는 초점을 누구에게 맞추느냐에 따라 확연히 다르게 보인다. 마치 인간의 몸을 전체적으로 볼 때와 눈 밑의 세포를 현미경으로 볼 때가 전혀 다르게 보이는 것처럼 말이다. 한 인간의 역사 또는 한 국가의 역사를 살펴보면 항상 굴곡이 존재한다. 그리고 사람마다, 공동체마다 성공하는 시기와 실패하는 시기가 다르다. 하지만 확대경을 저 멀리 치우고, 사피엔스 전체의 역사를 정리하면, 눈부신 진화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 속도는 잠시 늦춰질지언정 진보를 향한 발걸음은 멈춘 적이 없었다. 사피엔스의 역사는 혁명의 역사였다. 여기서 혁명이라는 말의 정의를 확인할 수 있는데, 바로 '미래 인류에게 도움이 되는 움직임'이다.


 즉 혁명을 정의하려면 미래의 어떤 호모 사피엔스에게 판결권을 줘야 한다. 반대로 미래의 인간은 자신의 입장을 과거의 개인에게 대입하면 안 된다. 그저 그들의 행동이 지금의 우리에게 미친 결과만 확인하면 된다. 인류 전체의 역사에서 봤을 때, 우리 조상이 했던 일들이 모두 옳았을까? 당연히 고개를 저을 것이다. 현대 이전까지의 '혁명'은 반드시 희생을 동반했다. 희생이 나쁜 의미는 아니다. 모든 인간은 타인의 희생으로 인해 살아가니까. 그러나 희생의 대상이 우리가 속한 종이 아니라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혁명은 미래의 세대를 위한 일이었지만, 그 동기는 언제나 현재를 사는 이들의 욕망이었다. 호모 사피엔스는 생존을 위해 다른 인종과 대형 생물들을 멸종시켰고, 농업 혁명 이후 체제 유지를 위해 피지배층을 착취했고, 과학 혁명 이후 기술의 발전을 위해 환경을 파괴하고 생태계를 교란시켰다. 그 이유가 어떻든 인간은 추악한 만행을 저지른 뒤 얻은 보석을 자랑스럽게 후손에게 넘겼다. 보석은 곡물이 되었다가 왕관이 되었다가, 거대한 증기관으로 변하더니 곧 손톱만 한 크기의 마이크로칩이 되어 우리에게 전해졌다. 이제 우리는 어떤 희생을 통해 이 보석을 변형시켜야 할까? 아니면 모두가 공존하는 기적을 위해 힘을 합쳐야 할까?

 

 시간이 그렇듯, 역사는 끊임없이 돌아갈 수 없는 길로 달려간다. 이미 이루어진 업적과 세워진 가치는 바뀌지 않는다. 농업 혁명은 1만 2천년 전에 이루어졌고 지금까지 대부분의 인류는 농경 사회의 식단을 따른다. 그 식단이 가진 고질적인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가는 것이다. "한국인은 밥심이지"라고 자랑스럽게 외치는 사람들에게 이 구절은 다소 충격적으로 들린다.

 농부는 매우 제한된 종류의 식품을 먹으며 불균형한 식사를 한다. 특히 현대 이전에 농업 인구를 먹여 살린 칼로리의 대부분은 밀이나 감자, 쌀 등 단일 작물에서 왔다. 여기에는 일부 비타민, 미네랄을 비롯해 인간이 필요로 하는 여타 영양소가 부족하다. 중국 전통 사회의 전형적 농부는 아침, 점심, 저녁에 쌀밥을 먹었다. 운이 좋으면 다음 날도 그렇게 먹을 수 있었다. 이에 비해 고대의 수렵채집인은 수십 가지의 다양한 식품을 규칙적으로 먹었다(p.85~86).

 그렇지만 현대인들 중 그 누구도 수렵채집인들처럼 살아갈 수 없다. 아니, 당장 1970~80년대를 살았던 어른들도 그때처럼 생활하기란 불가능하다. 슬프게도, 아니면 다행이게도 인류는 계속 새로운 역사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기존에 풀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기도 전에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판단해야 한다. 역사의 수레바퀴 속에서 무엇이 혁명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는가?


 하지만 너무 낙담할 필요 없다. 아무리 시대가 변해도, 호모 사피엔스를 움직이는 원동력은 변함이 없으니까. 바로 행복을 향한 갈망이다. 자유, 정의, 사랑, 이런 것들은 너무 추상적이다. 혁명은 행복을 위한 개인의, 공동체의, 인류의 투쟁이다. 그래서 우리는 잠재적 혁명가이다. 잠재적이라고 부르는 까닭은 실제로 삶에서 행복을 느끼는 현대의 사피엔스가 몇 안 되기 때문이다. 유발 하라리라는 사피엔스는 행복 지수를 인용하지만 좋은 방법은 아니다. 사피엔스의 역사와는 다르게 개인의 삶은 오르막과 내리막이 난무하기 때문이다. 또 사피엔스의 역사처럼 어디로 향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인류 전체의 서사시와 열린 결말을 본 뒤 내린 결론은 아주 사소하고 간단하다. 지금처럼 살아라. 나의 행복을 위해 전념하고, 가족과 국가의 행복을 위해 희생하라. 그렇게 함으로써 역사는 발전한다.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부여하는 가치는 그것이 무엇이든 망상에 지나지 않는다(p.553)"고? 그럼 그 망상을 믿으며 살라. 눈에 보이는 것만 믿는 사람은 네안데르탈인과 다를 게 없다. 그들은 수만 년 전에 이미 멸종했다.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혁명의 종족이다. 삶에서 얻은 지식을 행복을 위한 지혜로 바꾸는 습성이 당신 유전자 속에 깊이 새겨져 있음을 믿는다. 그래서 나는 이 글을 읽고 잠깐 흠칫, 하고 놀랐다가 다시 예전과 똑같은 일상을 살 것을 알면서도 이렇게 묻는다. 당신의 혁명은 안녕하십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