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을 먹다 - 제13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김진규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진규의 『달을 먹다』를 읽고 정작 내가 산 책은 앤드류 솔로몬의 『한낮의 우울』이었다. 책의 마지막 김언수와 인터뷰한 내용에서 김진규는 오래 우울증을 앓아 왔다고 털어놓았다. 갑자기 누군가의 고민과 슬픔을 듣는 일은 어렵기만 했다. 직접 얼굴을 마주 보면서 대화를 나누는 상황이라면 어떤 표정을 지어야 하나 꽤나 고심했을 것이었다. 다행스럽게도 글자로 마주한 작가의 내밀한 아픔에 깊게 공감했다. 힘들었겠다, 고생했겠다는 과장된 표정 없이 작가가 바이블로 여겼다는 책을 사기로 하고 수첩에 적었다. 
  두껍고 무거운 『한낮의 우울』을 읽으면서 지지부진한 이십 대 중반을 어물쩍 넘겨볼 생각을 했다. 탈 없이 넘기고 아무렇지도 않은 얼굴로 살고 싶었다. 마당에는 늦가을로 접어들자 은행알들을 툭툭 땅으로 떨어트리는 무심한 은행나무가, 요양원에 부인을 보내고 혼자 살아가는 주인집 할아버지가 볕을 쬐고 있었다.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는 시점에 모두들 빛을 바라며 살아가고 있었다. 
  『달을 먹다』  속 문장들을 꼭꼭 씹어 읽었다. 묘연이 국화주를 담그는 장면에서 난이가 꽃을 찾아 탐하는 묘사까지. 문장은 단 한 문장도 허투루 쓰이지 않았다. 묘사가 지나간 자리에 인물들의 고독한 속내를 구구절절이 적었다. 소설 속 인물들은 죄다 사랑에 빠져, 사랑에 미친 자들이었다. 반상을 허물고 족보를 뛰어넘는 사랑에 목마른 사람들이었다. 목이 말라 입이 짜고 끝내 말하지 못한 말들을 속으로 삼켜야 하는 운명을 가진 자들의 말들의 향연은 축축했다. 
  실패한 사랑의 이면을 들추어 낸다. 묘연이 낳은 아들 희우는 난이를 보자마자 사랑에 빠진다. 난이는 묘연의 이복 자매 하연이 낳은 딸이다. 외가의 이상한 관계로 맺어진 그들은 사랑을 말하지도 못한 채 서로를 향한 그리움으로 자신들을 죽여간다. 『달을 먹다』에서 인물들의 관계도를 그려보면 가문과 신분으로 얽혀 있다. 사랑을 느끼는 상대는 가문 속 사람이거나 신분이 그보다 낮은 자들이다. 지금의 관점에서 보면 걸림돌이 되지 않을지도 모른다고 말할 수 있다. 정조에서 순조로 넘어가는 시기를 다룬 소설은 현대로 넘어와 대입할 수 있는 유사성이 있다. 
  흔들리는 전철 안에서 그가 말했다. 이제부터 애인을 만들어야겠어. 나는 물었다. 그게 만든다고 해서 만들어지는 거야? 얼마 후 그는 애인이 생겼다고 전해왔다. 선언 끝에 그는 주변 사람들이 자신에게 하는 말을 들려줬다. 나이도 많고, 직업도 없고, 부모도 없는데 애인까지 없다며 걱정을 해줬다고. 그게 걱정인지 비아냥인지 그를 통해 자신의 현재를 괜찮다고 여기는 안심인지 모를 말들이었다. 
  대체 우리가 사랑에 빠지는 지점이 어디인가. 상대의 무엇에 반해 모든 것을 주고도 없는 것까지 주려고 하는가. 기현은 이복동생 하연을 지켜주기 못해 중이 되었다. 최약국은 자신의 아내를 버려두었다. 여문은 끝내 향이를 찾지 않았다. 향이가 물에 빠져 죽자 향이의 집에 들어가 미친 사람으로 살았다. 죽은 언니의 집을 찾아온 난이는 그녀 역시 희우의 사랑을 갈급한 나머지 몸도 마음도 줄어들어갔다. 
  가문과 품계를 따지고 뒷배경이 단단한 집안을 물색해서 결혼한 그이들의 끝은 미치거나 죽거나 도망갔다. 결혼의 질서는 소설 속 시대에서 한참이나 흘렀는데도 변함이 없다. 사랑에 빠진 자들이 결혼을 결말로 여기기 시작하자 법칙과 관례와 관습들이 튀어나온다. 자신을 포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결혼을 선택한다. 사랑에 빠진 자들은 그래서 미친다. 조건 없이 상대를 사랑하다가 조건이 중요한 시점이 온다. 
  타인에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랑이란 없다는 걸 아는데도 설명하고 이해시키려 든다. 설명과 이해가 뒤따르지 않는 사랑을 하려는 자들의 숨은 이야기가 담긴 『달을 먹다』를 읽으며 늦가을의 햇살을 등지고 여름의 우울을 털어냈다.
  또 밤이었고, 가을이었다. 버리기에 좋았다(194p)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한엄마 2017-11-02 2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인님??@@

2017-11-02 23:2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