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이 내린 날, 환한 아침 속에 드러난 눈밭의 나신(裸身)은 황홀한 꿈 같다.

 그것은 마치 범접(犯接)이 금지된 아름다움 같아서 어쩐지 발 하나 올리는 것조차 망설여질 지경이다. 그러나 잠깐의 망설임일 뿐. 하루의 밥벌이를 위해 기계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일상 앞에서 삶이 가진 다른 모습을 조금 엿본 것 같은 순간은 오래된 잠자리의 날개처럼 쉬 바스러지고 만다. 오후의 자판기 앞에서 커피 한 잔을 들고 고된 몸을 벽에 기댈 때, 공허한 눈으로 담게 되는 하늘에 언뜻 그려질지언정. 그렇게 아련한 꿈이 된다. 여기에 '겨울의 환(幻)'이란 이름을 붙여본다. 찰라(刹那)로만 존재하고 그렇기에 서글픈 아름다움을.


 그런 겨울의 환(幻)에 어울리는 소설이 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이다.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장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라는, 일본 소설 중에서도 상위에 손꼽히는 아름다운 문장으로 시작하는 이 소설은 니키타 현의 애치고 유자와 온천을 배경으로 겨울마다 잠깐 이뤄지는 시마무라와 고마코의 사랑을 담는다. 하지만 그들의 사랑은 그렇게 절절하지 않고, 늘 기약없이 만났다 무심히 헤어지는 것으로 꽤나 담백하다. 바로 그 담백함, 선뜻 초연해질 수 있는 관계이기에 시마무라는 겨울이 될 때마다 불현듯 잊지 않고 고마코를 찾는 것인지도 모른다. 어둠과 흰눈의 대비처럼 전혀 현실 같지 않은 그 곳에서 문득 무책임할 수도 있는 사랑이라 고마코로 향하는 발길은 계속되는 것이리라. 휴가 때 단골로 찾아가는 여행지처럼.




 시마무라에게 그것은 모든 현실의 중력에서 벗어나는 비현실의 향유요, 무중력의 탐닉이지만 만날 때마다 달라지는 고마코의 삶은 시마무라로 하여금 점점 더 향유와 탐닉을 못하게 만든다. 발길이 거듭될수록 설국의 몽환은 꿈이 아니라 질척한 현실이 되고 시마무라 역시 그저 잠깐 머물다 훌쩍 떠나는 여행자에서 소작인과 같은 책임을 가지는 한 사람이 되는 것이다. 고마코가 그랬고, 요코가 그랬듯이.


 시마무라에게 설국은 결국 녹아 흔적없이 사라질 수 있기에 아름다운 곳이었지만 설국의 눈은 녹지 않는다. 겨울은 언제까지나 이어지고 허무에서 생의 의미를 찾았던 시마무라를 계속해서 배반한다. 그의 발은 그 곳에서 끝내 얼어붙고 마는 것이다.


 시마무라는 공허한 벽에 부딪는 메아리와도 같은 고마코의 소리를, 자신의 가슴 밑바닥으로 눈이 내려 쌓이듯 듣고 있었다. 이러한 시마무라의 자기 본위의 행동이 언제까지나 지속될 수는 없었다.(p. 134)


 그 예감은 맞아 떨어진다. 끝내 설국은 시마무라에게 커다란 화염으로 작별을 고하는 것이다. 요코의 죽음과 고마코의 절규와 함께.


 동시에 우리도 알게 된다. 겨울의 환(幻)은 찰라(刹那)이기에 동경과 그리움을 낳는다는 것을. 순간의 향유만이 환(幻)을 미()로 남게 한다는 것을. 그것에 탐닉하여 집착하는 순간, 환(幻)은 사라지고 동경 속에 솟아난 우리들의 날개는 여지없이 꺾이며 그 빛 또한 이제는 영원히 다시 오지 않을 것이 되고 만다는 것을. 그렇게 되는 것은 시마무라가 잘 보여주었듯 환(幻)에 취하고자 하는 마음엔 자기 본위의 욕망 또한 서려 있기 때문이리라.


 순수는 때묻기 쉽다고 한다. 분명 오직 자신만을 위한 것이기에 그럴 것이다. 책임보다 강한 게 없듯이, 방기보다 연약한 것도 또 없으니까 말이다. 어쩌면 그랬기에 작가는 설국 내에서의 동선(動線)을 자주 지워버리는 지도 모른다. 시마무라와 고타로. 모두 많이 움직이지만 그 과정은 나오지 않는 것이다. 그들은 움직이기 보다는 출몰한다. 유령처럼. 움직이고 있다고 느껴질 때는 오직 시마무라가 설국에서 떠나올 때 뿐이다. 현실이라는 책임의 장소로 다가갈 때라야 시마무라는 실존의 무게를 얻는 것이다. 얼른 이러한 문장이 떠오른다. 책임이 실존을 부여한다.


 시마무라는 언젠가 고마코와 헤어져 홀로 기차를 타고 돌아오다 연인인 줄 알았던 한 늙은이와 젊은 여인이 그저 같은 열차에 탔기 때문에 말을 나눈 사이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는 울음을 터뜨릴뻔 한 일이 있다. 아무리 아름다운 것이라 하여도 더는 아무 의미도 가지지 않게 되는 것을 실감한 탓이다. 그는 허무에 절망한다. 너무 절망하기에 허무에 탐닉한다. 그러나 그 허무가 정작 자신에게서 비롯된다는 건 알지 못한다. 그 안에 자신만 있기 때문이란 걸.


 시마무라는 고마코와 함께 밤하늘의 은하수를 본 적이 있다. 시마무라 눈에는 그저 예쁜 은하수였지만, 고마코의 눈에는 눈이 시려서 눈물이 나는 아름다움이었다. 시마무라는 그런 고마코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다가 고마코가 유코의 시체를 껴안고 절규할 때, 그 은하수가 자신에게로 육박하고 있음을 느낀다. 소설은 그것으로 끝이 나나, 분명 나는 시마무라가 왜 고마코가 별 거 아닌 자신을 좋아하는지, 그 이유를 깨달았으리라 본다. 고마코의 심미안 자체가 달랐다는 것을. 자신밖에 없는 시마무라의 심미안은 표면의 현상만 보지만, 타인에 대한 책임으로 삶을 거쳐온 고마코의 심미안은 그 내부에 깃든 것을 보고 그것을 형성한 전체를 헤아린다는 것을. 그렇게 그는 절감했을 것이다. 진짜 아름다움은 홀로가 아니라 함께 있을 때 볼 수 있다는 것을.


 이처럼 설국은 환(幻)을 얘기하지만 그것의 중독을 슬쩍 경고하는 소설이다. 일상의 도피처가 아니라 오히려 그런 마음을 추스리고 생을 다시 짊어지게 하는 것이 진정한 환(幻)이라고 말이다. 왜냐하면 환(幻)은 시선으로 대상을 착취하는 데서 오는 게 아니라 대상과 내가 더불어 함께 한 경험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생각해 보면 삶에는 출근 길에 밟아야 하는 나신(裸身)의 눈 같은 것들이 있다. 무심코 흥얼거리는 노래 한 소절이나 기울이는 한 잔의 술에서 문득 떠올리게 되는 아름다운 추억들 말이다. 짧고 다시 돌아올 수 없으며 긴 여운을 남긴다는 점에서 그런 추억 역시 겨울의 환(幻)이라 할 만하다. 그런데 우리 모두는 경험한 적이 있지 않은가? 삶의 둔중한 타격에 무릎이 꺾일 때마다 때로 그런 추억들이 절망하는 마음을 바로 잡아주고 다시 내일에 대한 희망으로 우뚝 서게 해주었던 일이.

 '설국'에 한껏 배인 유려함은 바로 그러한 경험의 진짜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일러주기 위한 것이라 생각한다.

 관통과 축적이 참된 아름다움을 만들고 그렇기에 삶에서 그냥 버려지는 것은 하나도 없다는 것을.


 지금 자신이 서 있는 자리가 설국이라 여기는 것. 이것이 정녕 작가가 우리에게 주고자 하는 눈(眼)일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임메카 2018-06-29 17: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리뷰 잘 읽었습니다. ^^

˝설국”은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일본인 작가로서는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게 해준 작품이라는 것에서 의의가 큰 작품이죠.
소설의 배경이 니가타 현이라는데, 그 곳의 유자와 온천에 머물면서 쓴 소설이라 겨울에 여행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적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저희 카페에 ˝설국˝을 소재로 한 모임도 있고 그 외에도 영화나 독서모임에 대한 여러 정보가 있어요. 관심있으시면 한 번 들려보세요.

˝설국˝ 선정모임
https://cafe.naver.com/moimmecca/3327

모임메카 카페
http://cafe.naver.com/moimmec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