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아주 먼 섬
정미경 지음 / 문학동네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깊이 드리워진 죽음의 그림자

예술가에게 있어 유작은 더 큰 주목을 받는다. 죽음의 그늘에 혼자 있었을, 그 외로운 심연을 들여다보고 싶은 것일까? 세상에서 하나뿐인 그 예술가의 창작물은 더는 볼 수 없기에, 그 마지막이 더 안타까운 것일지도 모르겠다.

이 책 당신의 아주 먼 섬이 작가 본인의 의지로 출간된 작품이 아닌 것을 알게 된 후, 나는 두 명의 작가, 프란츠 카프카와 유진 오닐이 머릿속에 떠올랐다. 카프카는 미발표 원고를 폐기해달라고 친구에게 유언을 전한다. 그러나 그의 원고는 친구에 의해 발표되고, 미완의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20세기의 명작 작품 대열에 오른다. 유진 오닐은 자신의 가족사를 토대로 쓴 극작 밤으로의 긴 여로를 사후 25년 전에는 발표하지 말아 달라고 아내에게 유언했지만, 사망한 지 3년 후에 발표되어 퓰리처 상까지 받았다.

 나는 정미경 작가의 남편이 쓴 김병종 화가가 쓴 발문을 읽으며, 그의 상실감에 공감되어 한참을 울었다. 또한, 독자로서 카프카나 유진 오닐의 작품이 발표되지 않았다면, 그리고 이 작품 당신의 아주 먼 섬이 발표되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생각해보았다.

이 작품은 유려한 문체, 바닷가를 직접 경험하고 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해주는 묘사도 일품이었지만, 죽음이라는 누구도 피할 수 없는 그 명제를 날 것 그대로를 표현해주고 있다. 이 소설은 소멸하고 상실하는 것, 그런데도 희망을 품고 살아가는 남은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것이 작가 본인의 죽음과도 직접 맞닿아 있으며, 남겨진 김병종 화가에게 메시지를 전해주는 것 같았다. 그 희망의 말이 나에게도 그대로 전달되어, 나는 읽는 도중에 여러 번 책을 덮고 울었다.

이 소설은 죽음으로 인한 지독한 상실을 겪게 된 이우가 정신 상담을 받는 상황으로 시작된다. 불면증에 시달리는 그녀는 미치는 것은 돈이 많이 든다고 자신의 상황을 조소한다. 그 말에 아이를 감당할 수 없음을 느낀 이우의 엄마는, 이우를 자신의 고향으로 보내는 것으로 이 소설이 시작된다.

이우는 이 세상에 없는, 자신의 남자친구 태이를 여전히 붙들고, 말을 건넨다. 아픔을 견디지 못해 충동적으로 물에 뛰어든 이우는 여전히 태이의 죽음의 그림자 속에 숨어, 대답 없는 대화를 나눈다. 죽을 뻔한 그녀를 구해준 판도, 이우를 얼떨결에 맡은 정모는 이우를 다그쳐 왜 그랬냐고 묻지 않는다.

섬에서 만난 이 사람들 또한 상실의 아픔을 겪어본 사람들이다. ‘터무니없는 죽음도 악다구니 같은 억센 슬픔의 순간이 지나가면 곧 일상이되고, ‘밀물과 썰물을 받아들이듯, 받아들인 사람들은 이우를 다그쳐 물어보지 않는다. 아픔이라는 날 선 칼날이 시간이 지나서 무뎌지는 것 외에는 어떤 방법도 없음을 그들도 알고 있는 것 같다.

버려진 아픔과 상실감을 겪은 판도 역시 이우의 슬픔을 함께 공유한다. 두 사람은 점점 가까워지고, 이우는 내 안에 저만한 구멍이 있어. 내 몸보다 더 커. 휑하고 휑해서 나는 가끔 내가 없는 것 같아. 그 구멍이 언제 생겼는지, 너한테 얘기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 아무리 네가 못 듣는다 해도. 구멍이 생긴 순간, 그 이전의 나로는 돌아갈 수 없거든.’이라고 말한다. 상실이라는 것이 절대 채워질 수 없음을, 상처가 없던 시절로 돌아갈 수 없음을 역설한다. 판도는 말없이 묵묵히 들어주는 것, 함께 있어 주는 것으로, 판도는 그녀를 위로하지만, 아픔은 쉽게 지워지지 않는다.

 

폭력적인 모성애 강요

  ‘당신의 아주 에서는 부모라는 , 특히 엄마가 된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 화두를 던진다. 모든 등장인물들은 아버지가 없다. 혹은 아버지라는 존재가 그들의 삶에 깊이 연결되어있지 않다. 오직 이우의 외할아버지이며, 친할아버지라고 암시된 영도만이 잔인하고 고압적인 아버지로 그려진다.

  이우의 아픔을 봐주지 못하고, 호강에 겨웠다며 답답해하고, 아이를 감당하지 못해 고향으로 내려보내는 엄마 연수의 모습은 일종의 불쾌감을 불러일으켰다. 예술가로서 자신의 명성과 커리어를 쌓는 연수에게는 이우의 아픔을 돌봐줄 시간이 없다.

  그리고 이우가 죽은 태이의 아이를 뱄다는 사실을 알게 연수는 불같이 화를 내며, 인생을 망가트릴 거냐며 이우와 빗속에서 싸운다. 이우는 쳐다보는 엄마 눈빛은 언제나 그래. 인생의 걸림돌, 족쇄, 돌멩이로 가득찬 배낭.’이라고 판도에게 말하는데, 이우의 느낌은 틀리지 않았다. 모녀 관계를 떠나, 아이를 가진 여자의 인생을 살아본 선배로서 경험이 있는 연수는 이우를 설득하려고 한다.

  아무도 돌봐주지 않는 곳에서 혼자 아이의 어머니와 아버지 역할을 동시에 해야했던 연수의 이야기가 나오며, 이우가 아이를 낳지 않게 설득하려던 연수의 속내가 드러난다.  아이의 엄마이면서 사실을 잊고 싶어하는 얼굴 그대로 드러내는 연수의 모습이, 모성애가 여자라면 모두 DNA 속에 내재한 본성일까 하는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게 한다.

 

  연수는 매일 개의 질문을 내게 . 개의 답을 내가 . 묻는 , 대답하는 , 아무도 도와주지 않아. 다음 작업을 하기 위해 내가 얼마나 치사한 일까지 해야 하는지 누구도 몰라.’라고 자신의 예술 작품에 대해서 말했지만, 아이를 가진 엄마와 예술가라는 직업 사이에서 고민해야 했던 시간을 유추할 있게 해준다. 그리고 연수는 집을 가질 사람이 . 아이에게 묶이고 후에야 그걸 알았어.’라고 말하며, 어떤 누군가에게는 모성애라는 것이 맞지 않는 옷처럼 불편한 것일 있음을 떠올리게 한다.

  놀랍게도 아무도 아버지의 역할과 부성애에 대해서는 질문하지 않는다, 이우와 태원은 길거리에서 만났을 , 태원이 이우의 아버지일 있다는 암시는 지지부진한 법정 싸움이나 친자 검사 같은 이야기로 흘러가지 않는다. 누가 아버지인지는 중요치 않다, ‘ 시절의 상처가 아직도 아프다면, 이후의 삶이 꽤나 평탄했단 얘기겠지.’라고 말하는 연수의 말에서 아이를 혼자 키워야 했던 고통의 시간이 있을 뿐이었다.

  이런 모녀를 바라보며 판도는 충격에 휩싸인다. ‘판도에게 엄마는, 구멍이었는데. 옆을 돌아보았을 때의 빈자리였는데. 구석구석 난로를 피워놓았는데도 집요하게 발목을 파고들던 냉기라고 서술한다. 생모에게 버림받은 판도는 이우와 연수의 관계를 질투의 심정으로 바라본다. 판도의 생모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하는 생부는 어떤 사람이었을까, 그에게는 일종의 죄책감이라도 있었을까 생각해본다.

  이우가 아이를 갖기로 하고, 자신을 불편하게 여겼던 엄마에 대한 원망을 감추지 않는다. 그런 이우에게 이삐 할미는 여자는 새끼를 낳으면 껍데기만 남는다,’ 연수를 이해할 있도록 다독이려고 한다.

  엄마가 되어본 경험이 있는 이삐 할미는 아이를 잃었던 경험도 동시에 있는 인물이다. 자신의 아이를 잃은 이삐 할미는 지나고 나니 아픈 것도 낙이고 힘든 것도 이라고 말해주며, 이우가 먹고 싶어 하는 피자를 해준다. 식사하던 이우는 이삐 할미 말을 들으며 눈물을 흘린다. 그제야 이우 역시 아이를 가진 무서움에 대해 토로한다. 처음부터 강한 어머니인 사람은 없다, 여자 모두가 자신을 희생하는 모성애라는 것이 내재 것이 아님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나를 치유하는

  아픔을 겪은 모든 사람은 아주 섬으로 들어온다. 고통에 몸부림치며 잠도 자지 못했던 이우도, 점점 시야가 좁아지고 자신의 운명을 예감한 정모도, 부모에게 버림받았던 판도도 섬에서 결핍과 고통을 치유한다. 바쁜 와중에 배를 타고 나갈 거라던 연수도 섬의 소금 침대에서는 꿈도 없이 깊은 잠을 잔다.

  삶은 유한하기에, 사람이 남기고 유산이 아름다운 법이다. 언제 찻잔 만한 시야조차 잃어버릴지 모르는 정모가 만든 도서관이 그렇다. 고통에 허우적거리던 이우를 토닥여준 도서관도 마찬가지이다. 

  차일이 날아다니는 날씨에 폭풍우로 정모의 도서관이 엉망이 될지도, 사라질지도 모른다. 혹은 영원히 정모의 이름이 걸린 아름다운 도서관으로 남을지도 모르겠다. 죽음과 소멸, 상실과 함께 앞도 모르고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처럼 느껴져서 소설의 결말이 가슴에 와닿았다.

어쩌면 삶은 떠올리면 언제라도 눈물이 같은 어떤 하루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순간 연속인지도 모르겠다. 이우와 이삐 할미가 태이의 천도재를 지내며 언젠가는 사람을 보내줘야 가는 이라고, ‘보내야 좋은 사람이 오는 이라고 말해준다.

  이 말이, 정미경 작가가 김병종 화가에게 보내는 내밀한 메시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잃어버린 많은 사람, 무뎌진 아픔이 떠올랐다. 우리는 유한한 삶을 살며 누군가를 떠나 보내는 운명 속에 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을 품고 살라는 정미경 작가의 유작이 가슴을 울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