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논쟁과 한국 민주주의
김상태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조선을 둘러싼 논쟁과 한국 민주주의>

 

 

친일파를 제대로 청산하지 못한 후유증은 오늘날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우리도 그러한 사실을 알고는 있지만 사회에 만연한 영향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진행되는지  사실 잘 느끼지 못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역사를 배우는 동안 학교에서 배우는 것이 가장 바른 것인 줄 알았는데 참 다른 점이 많다는 것 새삼 느끼게 되네요. 이 책은 제목에서부터 고조선에 대한 논쟁을 다루고 있는데 그것이 한국민주주의와 상당히 연관성이 있음을 암시하는 듯합니다. 그보다 부제가 더 인상적이기도 하죠. '사이비역사학의 아성, 주류 고대사학계 비판'이라고 합니다.

 

 

저자는 서문에서 책의 출간 이유를 말하고 있습니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가야를 언급하면서 고대사 재조명이라는 말이 나오자마자 학계는 물론 정치인들이 모두 사관에 문제점을 들고 일어났던 일을 이야기합니다. 저 역시 도종환 장관후보자의 청문회 자리를 기억하고 있습니다. 연구가 미흡하다면 좀더 연구하면되지 그렇게 큰 문제가 될까 하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답니다. 분단국가라는 특수성 때문에 우리 고대사를 비롯한 역사연구를 하면서 대한민국국가수립의 시점부터 논란이 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또한 고대사 역시 만만치가 않은가 봅니다.

 

 

이 책에서 가장 크게 다루고 있는 것은 고조선을 어떻게 바라보는가에 대한 입장입니다. 고조선을 바라보는 두 입장은 소고조선론과 대고조선론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평양 일대를 중심으로 보는가 아니면 요동지역을 중심으로 보는가? 그리고 그러한 주장이 개인적인 연구보다 사학계의 라인을 통해 주장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주류사학계는 대부분 소고조선론을 주장하고 있는데 그 계보를 보면 친일파나 혹은 뉴라이트계열과 관련이 있다는 점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진보사학계나 재야사학계에서 주장하는 것이 문제점이 없지 않아 있나 봅니다. 저자는 모든 면에서 많은 비판을 하고 있어서 도대체 무엇을 말하려는가 하는 의구심이 살짝 들기도 합니다.

 

 

앞서 서문에서 밝혔듯이 주류사학계가 말하는 것이 큰 영향력을 갖지만 사실은 윤내현, 복기대의 연구성과를 말하고자 합니다. 윤내현은 책에서도 많이 언급되는데 간첩, 표절자 등 많은 오해를 받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것은 모르지만 저자가 말하듯이 한쪽 방향이 아닌 다방면에서 정당한 연구를 하고 세미나와 토론을 거쳐 서로 연구성과를 주고받는 민주적인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동의합니다. 동북공정을 둘러싼 일련의 연구성과가 정말 최악의 상황이 되었던 지난날의 일을 상기해 보면 말입니다. 익숙하지 않은 이런 내용의 책을 읽다보면 어는 것이 옳고 그른지 판단하기 힘들지만 편향된 주장으로 일색되는 것에 대한 경계, 주류이기때문에 안이하게 국민의 혈세로 엉뚱한 일을 하는 것은 우리가 잘 주시하고 비판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솔직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