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떠나며 - 1945년 패전을 맞은 일본인들의 최후
이연식 지음 / 역사비평사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무려 36년간 일제 식민지를 겪었다. 36년이라는 시간은 평균수명이 50대였던 당대에는 2세대 혹은 3세대에 이르는 긴 기간이다. 기간이 길다보니 당시 조선에는 무려 100만명이 넘는 일본인이 살고 있었으며 이들 중에 상당수는 조선이 고향인 사람들었다. 우리에게 약탈자와 가해자로 불리우는 이들은 패전과 동시에 모든 것을 잃고 쫓겨나는 기구한 운명을 맞게 되며 그 부분을 다루는 것이 이 책이다. 

 때문에 이 책은 양자에겐 서로 잊고 싶은 틈새의 역사 일 수 밖에 없다. 당연히 절대적 피해자인 조선민족으로서는 이들의 퇴거 과정에서 발생한 피해를 응분의 대가로 여겨 당연하게 생각하거나 생각하고 싶어 하지 않으며, 일본 역시 그들을 무리한 전쟁을 일으킨자, 식민지배를 정당화하여 나라를 망친 주범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몇년 전 우리나라에 큰 충격을 안긴 '요코 이야기' 갖은 책들은 이런 맥락에서 다루어질 수 있다. 

 패전 일본인은 크게 지역에 따라서는 세 지역, 그리고 계층에 따라서도 3 계층정도로 다른 운명을 맞게 된다. 지역은 만주지역, 북한, 남한 지역이며 계층은 정보력과 무력을 가진 군인과 고급 공무원들의 고위인사, 적당한 정도의 부유층, 그리고 일반인들이다. 이 패전 일본인들은 이처럼 계층과 지역에 따라 퇴거과정에서 상당히 다른 운명을 맞게 되는데 이는 지역에 따라 점령한 세력이 다르고 계층에 따라 정보력과 힘에서 차이가 나 퇴거과정에서 상당히 다른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에서 그렇다. 

 계층별로 살펴보면 정보력과 힘을 갖고 있었던 군인계급과 고위공무원들은 패전과 거의 동시에 일본으로 빠르게 돌아갔으며, 어느정도 돈을 갖추고 있던 일본인들은 밀선이나 조선인 브로커에게 돈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재산도 어느정도 챙겨서 돌아갈 수 있었다. 하지만 아무것도 없는 일반 일본인의 경우, 이룬 거의 모든 것을 잃고 돌아 갈 수 밖에 없었으며 이 과정에서 폭행, 약탈, 상당히 비좁고 좋지 않은 환경에서의 수용과 아사 및 동사, 그리고 겨우 돌아간 고국에서의 문전박대를 겪을 수 밖에 없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우선 가장 평안한 운명을 맞았던 것은 남한지역의 일본인들이었다. 이들은 겨우 1년여만에 일본으로 모두 돌아갈 수 있었으며 남한에 있었던 재산의 상당수를 포기할 수 밖에 없었지만 미군정의 비호하에 그래도 북한과 만주지역의 일본인보다는 상당히 편안하게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그들은 패전후 조선인들의 만세소리와 몰려다님에 적잖히 당황하였고 하루아침에 직장에서 짤려, 자신이 우습게 보던 하위직 조선인들의 눈치나 보는 신세가 되었다. 하지만 아직 군인이나 경찰력들의 무장이 남아 있어 패전초기에는 오히려 만세를 부르던 조선인들이 이들에게 살해당하는 경우도 빈번하였다. 

 그리고 조선인들의 경우 일본인들을 좋게 돌려보내자는 분위기도 의외로 상당하였는데, 이는 일본인들과 같이 짐승이 되고 싶지 않다는 마음과 더불어 실질적으로 일본에서 돌아와야하는 조선인도 상당하였다는 이유에서 기인한다. 조선에서 퇴거하는 일본인에 가해지는 위해는 그대로 일본에서 돌아오는 조선인에게 가해질 수 밖에 없는 형국이었기 때문.

 만주지역과 북한 지역의 일본인의 운명은 남한보다 훨씬 위태로웠다. 이는 소련군의 열악한 상황때문이기도 한데, 당시 소련군은 열악한 상황으로 월급이나 물자등의 모든 것이 점령지에서의 현지조달이었다. 때문에 일본인은 물론이고 심지어 조선인들까지 소련군의 약탈의 대상이었으며 이는 상당기간 지속된다. 또한 소련군은 수감자 출신들도 많아 더욱 군기강이 해이했다. 

 또한 소련은 전쟁으로 인한 상당한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만주와 북한지역에서 산업시설을 모조리 반출해갔으며 이는 북한 경제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점령지의 일본남자들을 1년이상 시베리아로 압송하여 강제노역케 하였다. 이런 소련군의 행태에 일본 여인네들은 윤간을 피하기 위하여 머리를 삭발하고 검댕칠을 하는등 갖은 노력을 다하였다고 한다. 또는 일반 부녀자의 피해를 막기위해 자발적으로 위안부를 조직하려는 시도까지 행한다. 개버릇 남 못준다.

 이처럼 우여곡절끝에 돌아간 패전일본인들을 기다리는 것은 고국에서의 문전박대였다. 일본 본토인들은 전쟁기간에도 조선출신인들과 결혼을 피하는등 차별하는 풍토가 있었으며 심지어 패전후에는 전쟁의 책임을 그들에게 묻기도 하였다. 이들이 패전식민지에 놓고 온 재산에 대한 배상도 사실상 거부하게 된다. 이런 나라니 당연히 식민지 패해 보상역시 할 생각을 안하는 것이다.

 책은 쫓겨난 일본인의 고난에 가까운 실상을 담담하게 드러내면서도 그들에 대한 섣부른 동정은 경계한다. 요코이야기의 저자를 포함한 이들 역시 자신들의 피해만 알고 식민지배를 통해 수탈한 조선에 대한 생각이 없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식민지배 기간동안 일본인과 조선인은 그 거주지가 공간적으로 구분되었으며 조선의 일본인들이 겪은 조선인 역시 친일파이거나 상대적으로 부유한 계층이었다. 때문에 이들에게 조선인은 마치 과거의 양반가의 노비처럼 속 가득한 불만을 전혀 내세우지 못하는 원래 그런 존재였을 것이다. 때문에 그들은 광복이 가져온 조선인들의 기쁨과 일본인에 대한 분노를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러기에 자신들의 피해자적 시각만 가득한 요코이야기 같은 책의 저술이 가능했었던 것.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2-21 1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내용이 흥미롭군요. 생각해보니 사실 광복 이후 국내에 남은 일본인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그 과정을 조명한 책이 없었던 것 같아요.

닷슈 2017-02-21 15:10   좋아요 0 | URL
그렇죠 저도 틈새를 본 가치있는책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