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다 (무선)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44
존 밴빌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11월
평점 :
요즘 내게 새로운 취미가 생겼다.
사진을 보고 주로 인물들을 따라 그린다.
내 실력은 취미라고 얘기하기에도 민망한 수준이지만,
그래도 사진을 보고 그림을 따라 그리는 것을 꾸준히 하는 것은 내가 좋아서 이다.
사물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는 것 같다.
그래. 사물들은 지속된다. 살아가는 것은 조금씩 퇴보하지만.(16쪽)
난 이 문장을 내 마음대로 해석했는데,
고인물은 썪게 마련이지만 구르는 돌에 이끼가 낄 새가 없다.
나는 조금씩 퇴보하더라도 살아있고 살아가는 것을 택하겠다.
다시말해, 조금이라도 나아지는 것만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불사르고 쇠퇴하는 것까지도 살아가는 과정으로 받아들이겠다는 의지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사진에 머무르지 않고, 내 마음대로 가감할 수 있는 그림을 그리며 희열을 느끼는 것이다.
기실 나의 그림 솜씨를 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내 그림은 사실화라기 보다는 상상화에 가깝다.
하지만 사진처럼 찍는 그 순간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그리면서 그림에 애정을 쏟는만큼 온기를 내 마음대로 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은 빛과 그림자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많은 것들을 생략하거나 강조할 수도 있는 것이,
얼마든지 그리는 사람의 시점에서,
심지어 빛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대상이 만들어내는 그림자를 여러단계의 음영으로 가감할 수 있는 것이어서 더 매력적이다
그리고 이 책 '바다'를 읽었다.
250쪽 안팎의 결코 두껍지 않은 책이었지만, 이 책이 쉽지는 않았다.
글자들을 읽었다기 보다는 그림을 봤다고 해야할 정도로 회화적인 느낌으로 다가왔다.
이를테면 이런 구절들이다.
ㆍㆍㆍㆍㆍㆍ나는 햇빛이 쏟아지는 텅 빈 오후에 스테이션 로드를 따라 걸어갔다. 산 기슭과 맞닿은 해변은 쪽빛 아래 담황색으로 은은하게 빛났다. 바닷가에서는 모든 것이 수평선으로 납작해졌다. 세상은 땅과 하늘 사이에 눌린 긴 직선 몇 개로 줄어버렸다. 나는 빙 둘러서 시더스로 다가갔다. 어린 시절에는 어째서 내 관심을 끄는 새로운 것마다 초자연적인 분위기를 풍겼던 것인지? 권위자들은 모두 초자연적인 것이란 새로운 곳이 아니라, 알라진 것이 다른 형태로 돌아온 것이라던데. 유령이 된 것이라던데. 그러나 대답할 수 없는 그 많고 많은 것 가운데 이것은 가장 하찮은 것이다.(17쪽)
나는 애나에게 브랜디 잔을 주었다. 그녀는 잔을 쥐고 서 있었지만 마시지는 않았다. 내 뒤의 창으로 들어온 빛이 그녀의 쇄골 옆에 걸린 안경의 렌즈 위에서 반짝여, 마치 또하나의 애나, 축소판 애나가 눈을 내리깔고 큰 애나의 턱밑에 바짝 붙어 서 있는 듯한 기이한 느낌을 주었다.(27쪽)
아주 정교하게 묘사해내고 있는데, 직접 상황을 보고 글로 옮기는게 아니었다면 이런 문장은 나오기 힘들었을 것 같다.
맥스는 아내를 암으로 잃고 딸 클레어에게 '과거 속에 사시네요' 라는 말을 듣고도 그래, 그렇다 라고 한다.
그래서일까, 이 책은 미술사학자와 사진작가 부부의 대비를 통하여,
찬란하고도 처연한 생의 '빛과 그림자'를 표현하려고 했다는데,
그래서일까, 나도 그런걸 읽으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
때문에 이 책은 겉으로는 자기 계급에 대한 불만과 거기서 탈출하기 위한 욕망으로도 읽히지만,
이 책의 끝에 또 다른 반전이 도사리고 있는데, 내겐 그게 더 충격이었다.
일반적이고 구태의연하게 생각하다가, 그러면 그렇지, 뭐 별게 있겠어 했다가 허를 찔린 느낌이다.
번역도 한몫했다.
정영목의 그것이 아니었다면 끝까지 읽기 힘들었을 것이다.
하나만 옮겨보자면,
의사의 이름은 토드였다. 이것은 여러 나라 말을 아는 사람의 운명에서 보자면 악취미의 농담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보다 더 심한 경우도 있다. 디애스De'Ath라는 이름도 있으니까. 중간에 예쁘장하게 대문자를 쓰고 귀신을 쫒는 아포스트로피까지 찍어놓았지만. 아무도 속이지 못한다.
**'토드(Todd)'는 독일어에서 죽음을 뜻하는 'Tod'와 철자가 비슷하다.(20쪽)
같은 것들이다.
디애스라고 할때는 '뭐지?' 했었는데,
아포스트로피(')를 빼고 이어서 발음해보니 Death(죽음)이다.
이런 번역은 생각지도 못하던 것들이다.
언젠가 프랑스어로 엄마가 '메르'라는 얘기를 들은적 있다.
그런데 엄마 뿐 아니라 '바다'도 '메르'라고 해서 참 아름다운 발음이고 의미도 중의적이다 싶었었다.
이 책은 글쎄, 아름답다고 하지만 좀쓸쓸하고 우울함을 전하는 그런 철지난 바다 같은 소설이다.
그러고보면 삶이란 바닷가의 밀물과 썰물처럼 때론 밀려왔다가 밀려가는 그런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