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망설임이나 굴곡 없이 한길로만 가는 탄탄대로의 그것이라면 거칠 것은 없겠지만 재미는 없을 것이고,

불혹이 넘은 나이에도 어느 길로 가야할 지를 몰라 좌충우돌 망설인다면 그건 또 너무 가벼워서 경박할 것 같다.

그렇게 그렇게 적당히 흔들리고 좌절하기도 하고,

퍼질러 앉아 우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떨고 일어나 앞으로 나가는 사람도 있는 게 인지상정일게다.

한때 김탁환을 정말 좋아해서 김탁환의 그것이 나오는 쪽쪽 읽어댔지만,

어느 순간을 경계로 애정이 식었었다.

그때가 아마 백탑파들이 등장하는 소설이었던거 같은데,

그속의 박지원이고 이덕무, 이옥 등의 글들이 인용되는 것을 보고는 창작이 아닌 모방이라고 생각했었다.

그의 프로필 란에 붙는 소설가 말고 이야기수집가라는 수식의 의미를 이해 못했던 셈이다.

 

이제는 어설프게나마 그의 독서 방법과 글쓰기 방법을 이해할 수도 있겠다.

'책을 부르는 책'이란 소제목도 그렇지만,

<아비 그리울 때 보라>는 제목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짐작하겠다.

세상엔 책상에 앉아서 엉덩이의 뚱뚱함으로 글을 쓴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별을 보기 위해선 고개를 들어' 밤하늘을 보는 행위를 해야 하는 법이다.

글을 쓰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책을 읽기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그는 책을 읽는다는 행위를 개인적인 체험에서 세대의 경험으로 확장시켜 소통과 공감을 이끌어내고자 하는듯 보인다.

세월호 관련 행사에 참여하여 목소리를 내고,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들과의 SNS에 적극 참여하고,

핵폐기물 문제에도 관심을 보이는데, 탈핵의 입장만이 아니라 친핵의 논리에도 관심을 보인다.

서민의 기생충열전을 읽으며 생물에 감정이입(54쪽)을 얘기하길래,

이 모두가 정치적 활동들이라고 생각했는데,

'지드래곤'의 '삐딱하게'와 '강산에'의 '삐딱하게'를 대조하면서,

작가란 공직자들의 공적인 발언뿐만이 아니라 세상의 모든 말들을 믿지 않고 되살필 운명을 타고 났으며,

정치에 관심이 많거나 사회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일련의 행위들이,

정치적 활동들이 아니고 작가이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말과 행동을 일치시키지 않는 이들의 삶을 조사하고 관찰하여 정리한 후 이야기로 담는 이가 또한 작가다.(63쪽)

법칙을 이끌어내는 건 경험이다.(109쪽)

 

필사의 핵심은 공감과 자발성(82쪽)이라고 하며,

결혼한 딸이 아우의 결혼식에 참석하러 친정에 와서 '임경업전'을 베끼다가 마치지 못하고 돌아가자,

아버지가 소설 애독자인 딸을 위해 종남매와 숙질까지 불러 함께 필사를 마친 뒤 마지막에 이렇게 적었단다.

'아비 그리운때 보라'

 

아무래도 감동적이었던 것은, 혜초의 여정을 그대로 되밟아 그려낸 소설 '혜초'의 그것과,

'글도 춤도 결국 발바닥으로 시작하는 것이다'의 '파리의 조선 궁녀, 리심'을 위한 그의 행보였다.

 

굳이 이 책을 분류 하자면 책을 읽은 서평이나 독후감 모음집은 아니다.

하지만 책을 읽다보면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뿐만 아니라,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느낄 수 있다.

 

조금 다른 얘기일지도 모르지만,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 한종류로 통일한다고 하여 논란이다.

김탁환 같은 소설가도 글을 개인적인 삶을 고백하는 사소설 형식으로는 쓸 자신이 없다고 하는걸 보면,

글은 어떻게 쓰이고 읽혀야 하는지 짐작할 수 있겠다.

그의 글들이 세대의 경험을 감당할 수 있는지, 의 여부는 쓰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의 몫은 아닐 것이다.

빛이 있어야 그림지가 있고, 새벽이 있어야 황혼이 있으며, 전쟁과 평화, 상승과 몰락을 다 경험해야 하듯이,

개개인의 삶이 모인 역사라는 것도 한 종류로는 제대로 된 역사라고 할 수가 없다.

 

 

김탁환은 슈테판 츠바이크의 '어제의 세계'를 인용하며 책을 이렇게 끝맺고 있는데,

읽는 내내 같이 아프다.

 

ㆍㆍㆍㆍㆍㆍ 츠바이크는 그림자를 앞세워 지나갔고, 나는 이제 내 그림자를 돌아보려 하는 것이다. 갈 길이 멀다.

 

  집으로 향하는 길에 갑자기 내 앞에 나의 그림자가 있는 것을 알아차리게 되었다. 그것은 마치 이번 전쟁의 뒤에 지난 전쟁의 그림자가 드리워 있음을 보았던 것과 같았다. 그 그림자는 내내 나에게서 떠나지 않았다. 움직이지 않는 그림자가 밤낮으로 나의 모든 생각 위를 떠다녔다. 아마도 그 그림자의 어두운 윤곽은 이 회상의 書의 많은 페이지 위에도 드리워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모든 그림자는 궁극적으로 빛에서 태어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새벽과 황혼, 전쟁과 평화, 상승과 몰락을 경험한 자만이, 그러한 인간만이 진정으로 살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어제의 세계』,551~552쪽

  

 

 

                     

 아비 그리울 때 보라
 김탁환 지음 / 난다 /

 2015년 9월

 

 

 

 

 

 

 

 

 어제의 세계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곽복록 옮김 /

 지식공작소 / 2014년 2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15-11-24 13:51   좋아요 0 | URL
김탁환 작가는 제목도 참 잘 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