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에 살다 - 조선 지식인 24인의 서재 이야기
박철상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제 퇴근 길에 은행 자동화기기에 돈을 입금시키면서 이 책을 잠시 손에서 놓았다가,

영영 놓아 버렸다.

다른 것도 아니고 목숨보다도 소중히 여기는 책을 잃어버렸다는 사실에 어쩌지 못하고 있는데,

남편은 자기와 아들이 아닌 책을 잃어버린걸 다행으로 알라는 말을 위로랍시고 한다.

어제 잃어버린 책이 바로, '서재에 살다' 되시겠다.

어차피 읽은 책을 향하여 미련이 없는데, 왜 이리 연연하게 되는건지~--;

잊혀지는 것과 잃어버리는 것은 그렇게 다른가 보다.

 

그러고보면, 난 책들을 의인화하다 못해, 추앙하고 있었나 보다.

이 책의 제목 '서재에 살다'를 보면서,

'사람' 이 서재에 사는 것이 아니라, '책'이 서재에 사는 것인데,

뭐 이리 당연한 것을 제목으로 뽑았나 했을 정도였으니까 말이다.

 

그동안의 나의 사고 방식이나 행태는,

'사람은 집에 살고, 책은 서재에 산다'가 말이 될 정도로 책탐을 부렸었다.

그러던 차에, 언젠가 소유한 책의 1/10정도만을 읽게 된다는 이권우의 말에 위로가 됐었는데,

이 책의 저자 박철상 같은 경우도 서재의 이름을 '수경실;긴 두레박줄'이라고 한걸 보면,

책탐이 만만치 않음이 분명하다, ㅋ~.

 

그런데, 그동안 난, 책을 읽었어도 헛 읽었었던 게다.

책을 탐한다는건 어찌보면 지식을 탐한다는 건데,

책을 탐하고 쌓아두기만 한다고 하여,

책 속의 내용들이 내 머릿속으로 순간이동 하지는 않을테니 말이다.

 

책을 읽기 전엔 요즘의 서재 관련 책들처럼 조선 지식인들 24인의 서재가 그림이나 책의 목록 만으로라도 쭈욱 나열되어 있을 거라고 기대를 했었다.

이들이 어떤 종류의 서재에 기거했는지에 관한 자료가 남아 있지 않다면,

어떤 책을 읽고 소장했었으며,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사람들과 교류했었는지를,

그들이나 후손이 남긴 글이나 그림 따위를 통해서 엿볼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서재의 이름을, 그 시대엔 호를 서재의 이름으로 사용했으니,

호를 쭈욱 나열하고 호의 의미를 새겨보는 수준이어서 아쉬웠다.

서재의 이름은 조선 문화를 탐색하는 하나의 실마리이며 지금 우리의 모습을 되돌아보게 하는 매개이기도 하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2008년 5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2년 반 동안 『국회도서관보』'서재이야기'코너에 매월 연재했던 것이다. '서재이야기'는 본래 조선시대 지식인의 서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실으려고 기획되었지만, 서재 자체에 관한 기록이 많지 않은 탓에 서재의 이름을 통해 한 사람의 삶을 조명하는 형식으로 바꿨다.(10쪽)

하지만, 관점을 바꾸어 생각해보면,

서재를 통해서 내가 엿보고 싶었던 것은,

단지 그가 읽은 책 제목, 책 속에 담겨있는 죽은 지식은 아니라,

그가 읽은 책들이 주변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그리하여 그와 교류했던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였고,

나아가서 내 삶에 어떻게 받아들여, 적용해야 할지였다.

 

이 정도를 끄집어내어 삶에 적용하겠다는 것도,

어찌보면 정조와 북학파라고 불리우던 19세기 조선시대 지식인들, 좀더 자세히 얘기하자면 실학자들 덕분이지 싶다.

난 한때, 김탁환에 열광하였었기에,

다른 이들의 얘기는 여기저기서 많이 접했던 내용이었는데,

이분이 '금석학 전문가'여서 그런지, '유금의 기하실'같은 경우 재미있었다.

 

'정조'의 '홍재' 얘기를 하면서,

이산이 아니라 이성으로 읽어야 한다는 얘기도 흥미로웠다.

 

유득공의 서재 '사서루'라고 했나보다.

유득공의 아들이 지은 '사서루기'에는 이에 관한 이야기가 실려 전한다고 한다.

사서는 임금이 신하에게 기리기 위해 지은 건물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예로부터 임금으로부터 받은 글씨나 서적을 보관하기 위해 따로 누각을 짓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사서루' 역시 그런 의미로 지은 건물이었다.

  이 사서루 횡액에는 누구에게 써준 것인지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나 추사가 유득공의 사서루 편액으로 써준 글씨가 분명하다. 당시 유득공처럼 사서루라는 명칭에 걸맞는 장서를 갖춘 인물이 없었기 때문이다.(95쪽)

라고 되어 있으나, 성해응 부자라는 다른 의견도 있어서 여기 링크를 걸어둔다.

 

저자의 약력에 논문으로 '『완당평전』, 무엇이 문제인가'가 있는 것을 보니,

이쯤되면 허투루 유득공을 끌어들였을 것 같지는 않은데,

사서루에 걸맞는 장서를 갖춘 다른 인물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것만으로는 설득력이 약하다.

 

사실 이 책이 쉽게 읽히지는 않았다.

언젠가 읽었던 '쓰레기고서들의 반란'과 비교하여, 글이 투박하고 거칠다는 느낌이 들었다.

처음엔 왜 그런지 몰랐는데,

읽다보니,

참고가 되는 문헌의 원문을 그대로 옮기지않고, 우리말로 번역하였다.

그걸 다시한번 해설하면서 살을 입혀 설명을 하니, 동어반복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원문을 번역하여 옮기는 부분의 글씨가 좀 작고 빽빽했다.

'사서루' 같은 경우는 여러명이 사용했을 수도 있는 서재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득공'만을 내세워 일관성을 유지한 반면,

다른 사람들의 경우엔,

한사람이 호를 여러개 사용한 경우,

그 뜻을 되새기는 과정에서 관련된 사람과 에피소드를 등장시키다보니 그리 된 것인지,

내가 설렁설렁 읽어 내용을 제대로 파악을 못한 것인지 모르겠지만,

'가난한 시인의 서재 조수삼 이이엄'으로 시작해서 장혼의 이이엄이 어쩌구 하면서 마무리가 되는 종류의,

구렁이가 담을 넘은건지, 용두사미인건지 모르겠는 것들이 있다. 

 

하지만 이 사람의 역사적 관점과 문제의식, 행동력, 실천력 따위는 치열하다.

배울 점이다.

나도 서재를 '책이 사는 집'으로만 여기지 말고,

책에서 보고 배운 것을 실생활에 접목시키고 실천하는 것으로까지,

연결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그래야 역사가 과거에 책 속에 묻혀 있는 그것이 아니고,

현재의 삶 속으로 파고들 수 있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진無盡 2015-02-25 10:51   좋아요 1 | URL
`서재`라는 공간이 가지는 함축된 의미가 오늘날에도 유용했으면 합니다. 서재가 사라지면서 우리가 누려야 할 많은 것들도 함께 사라졌다는 생각에 아쉬움을 넘어선 마음입니다.

양철나무꾼 2015-02-25 13:31   좋아요 0 | URL
맞아요, 서재나 공부라는 것이 학이시습지 뿐만 아니라, 유붕이 자원방래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할텐데 말이에요~^^

해피북 2015-02-25 11:14   좋아요 1 | URL
예전에 제 여동생도 은행에 볼일보러가며 <오만과 편견>들고 갔다가 잃어버려서 마음 고생하더라구요 실은 제 책이였는데도 말이죠 동생이 그 책을 너무 좋아했던 탓에 결국 다시 구입하더라구요ㅋㅡㅋ

저두`서재에 살다`읽으며 좀 아쉬운 느낌을 받았어요 한 인물이라도 깊이있게 다뤄주셨거나 책과 관련해서 사람사이의 이야기를 다루주셨으면 좋았을텐데하는 아쉬움으로 말이죠 ^~^

양철나무꾼 2015-02-25 13:33   좋아요 0 | URL
제가 눈물을 흘린 이유는 말이죠~,
책에 들이는 돈이 아까운 줄 모르는 저도,
이 책이 다시 사서 읽을만큼은 아니었기 때문이랍니다~^^


만병통치약 2015-02-25 11:17   좋아요 1 | URL
지하철에 두고 내린 책만 모아도 한질되죠 ㅋㅋ

양철나무꾼 2015-02-25 13:35   좋아요 0 | URL
전 지하철에 책을 두고 내리진 않고,
책을 보는 대신 손에 들었던 다른 소지품들을 두고 내리죠, ㅋ~.

붉은돼지 2015-02-25 12:39   좋아요 1 | URL
주인 잃은 그 책이 험한 꼴 당하지 않고 부디 또다른 애서가의 손에 들어가기를 기원합니다 ^^

양철나무꾼 2015-02-25 13:36   좋아요 0 | URL
호, 불호를 타게 생긴 책이라서 과연 그럴 수 있을지...원~(,.)

쉽싸리 2015-02-26 09:05   좋아요 1 | URL
잘 잃어버리셨군요! 라는 얘기는 너무 과격하겠죠? 예날 양반들 서재라는게 도통 현재 우리네와 다른 점이 많은거 같아요.

양철나무꾼 2015-02-26 09:13   좋아요 0 | URL
과격하기는요, 일상인걸요~^^
박지원이랑 이덕무는 책을 팔아 밥을 빌어먹었다는데,
전 책을 잃어버리고도 밥만 잘 먹더라는~--;
(모라는거래니~?@@)

서니데이 2015-02-26 15:47   좋아요 0 | URL
다른 것도 그렇긴 하지만 책도 잃어버리면 마음이 좀 그래요, 특히 다 읽지 않은 책이면 아쉬운 것도 있구요,
그 책은 다시 돌아올 수는 없을까요,

양철나무꾼 2015-02-28 10:07   좋아요 1 | URL
제 책이 아니다 생각하고 잊는 수밖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