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취록 - 조선 최고의 예언서를 둘러싼 미스터리
조완선 지음 / 북폴리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아빠가 조완선 작가의 책이 이번에 세 번째란다. 처음에 읽은 책이 <외규장각 도서의 비밀>이란 책이었는데, 재미있게 읽어서 그의 다른 책들도 찾아 보았어. 그래서 읽었던 것이 <천년을 훔치다>라는 책이었단다. 역사 미스터리라는 장르라는 자신만의 입지를 구축하고 있는 작가라고 생각했어. 그런데 솔직히 이야기하면 <천년을 훔치다>는 좀 실망을 했었단다. 그래서 이번에 읽은 <비취록>이란 책은 기대 반 우려 반으로 책을 들었단다.

결과는… 음, 아쉽게도 좋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겠더구나. 비취록이라는 예언서를 둘러싼 이야기인데, 실존하는 책은 아닌 것 같고, “정감록을 모티브로 했다고 하는구나. “정감록”은 조선시대에 실존했던 예언서로 홍경래의 난의 토대를 마련했던 예언서로 유명한 책이었단다. “정감록”으로 검색해보면 관련된 많은 책들이 조회가 된단다. 이 소설에서 비취록은 홍경래의 난 이후 여러 예언서들을 엮은 신비의 예언서라면서 비취록을 소개했단다.

 

 

1.

그럼 이야기를 해줄게. 강명준이라는 역사학과 교수가 있는데, 어느날 그에게 중절모의 중년 사내가 찾아왔는데 고서 진위를 문의하려고 왔다면서 비취록이라는 책을 보여주었어. 진짜 같았어. 그 사나이는 복사본 10여 장만 두고 사라졌단다. 한번 정밀하게 검토해 보라고 했어. 그 복사본을 통해 비취록에서 예언한 일들이 실제로 일어났다는 것을 알았고 그 책 또한 진짜 같았어. 그렇다면 소문으로만 들었던 비취록의 실체를 보게 된 것이지. 흥분을 감출 수 없었단다. 연락처를 받아 놓지 않아서 전화를 못하고 있는데, 또다른 사람이 중절모의 사내가 전화했었냐고 물어보는 전화를 걸어왔어. 일단 모르겠다고 했지. 그리고 일주일이 지나고 중절모의 사나이로부터 전화가 와서 이틀 뒤에 찾아오겠다고 했어.

그런데 그가 온 것이 아니고 형사 둘이 찾아 왔어. 오재덕 반장과 조두호 형사. 최용만 씨가 실종되었다고.. 최용만 씨가 바로 그 중절모의 사내였단다. 강명준 교수는 최용만씨를 찾아 대전 고서점으로 향했단다. 그리고 최용만과 오랫동안 거래를 했던 안기룡씨도 찾아갔어. 안기룡이 바로 강명준 교수한테 전화해서 최용만을 찾던 사람이란다. 그런데 그 사람도 보름 전부터 집에 없었어. 얼마 뒤, 최용만씨, 안기룡씨는 연이어 살해되어 발견되었어. 그들이 죽기 전에 쌍백사에 자주 들렀다는 점, 어떤 예언서를 찾고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었어. 그래서 형사 오재덕 반장과 조두호 형사는 쌍백사에 가 보았단다.

계룡산 쌍백사. 쌍백사라는 절은 실제 있는 절은 아니고 소설 속에서 지은이가 만들어낸 절이란다. 계룡산 쌍백사에 이상한 일들이 벌어진다는 소문이 있었어. 그래서 중허 스님은 그 절로 젊은 해광 스님을 보내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알아보라고 했어. 해광 스님도 그곳에서 이상한 일들이 일어난다는 편지를 몇 통 보냈는데, 갑자기 입적했다는 편지를 받게 된 거야. 그래서 해광 스님의 입적과 죽기 전 그의 행방을 알아보라고 유정 스님을 다시 쌍백사에 보냈단다. 유정 스님은 여러 정황상 해광 스님이 자연사한 것 같지 않다는 결론을 냈단다. 하지만 이미 화장까지 해서 어떤 이의 진술이 아니면 알아낼 수 있는 게 없었어. 이때 나타난 스님이 경운 스님이라는 스님인데, 해광의 죽음에 의문점이 있다면서 따로 만나자고 했어.

 

 

2.

그 즈음에 오재덕 반장과 조두호 형사가 쌍백사에 온 거야. 그들이 와 있을 때 한 스님이 실족사로 죽는 사건이 일어났단다. 경운 스님이 실족사로 죽고 말았어. 이것 또한 의문사였단다. 경찰이 와 있을 때 죽어서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부검을 하기로 했어. 경운 스님의 식도에 삼족오가 그려진 천 조각이 발견되었단다. 유정 스님은 오재덕 반장에게 따라 만나자고 했어. 그리고 해광 스님과 경운 스님의 죽음을 이야기하고 자신이 쌍백사에 온 이유도 이야기했어.해광 스님이 남긴 수첩 등을 경찰에게 넘겼지. 오재덕 반장은 그 수첩을 들고 강명준 교수를 찾아갔고, 이후부터 강명준 교수는 오재덕 반장의 수사를 본격적으로 돕게 되었단다.

..

도대체 쌍백사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던 것일까. 쌍백사의 주지는 형암 스님으로 오래 전 다른 절에서 파계한 스님이었는데, 쌍백사에 와서 쌍백사를 다시 재건한 스님이야. 그런데 예언서를 지나치게 믿고 있고 예언도 잘 한다는 소문이 있어. 그에게 최측근은 어렸을 때부터 보살펴준 백공 스님이었단다. 그들은 백화원이라는 건물에서 몰래 보천교 의식을 벌이고 있었어. 보천교는 일제시대 민족종교로 비취록을 받들어 모시는 종교였어. 일제의 패망과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그런 종교였단다. 해방 이후 사라진 줄 알았는데 암암리에 그 종교가 맥을 이어가고 있었던 거야.

그 맥을 이어가는 곳이 쌍백사와 쌍백사 근처에 터를 잡은 사하촌이었어. 최용만, 안기룡 모두 사하촌에서 4년 동안 생활을 했는데, 아마 그때 비취록의 존재를 알았던 것 같았어. 뒤늦게 조사를 하다 보니 몇 년 전에 사하촌에서도 3건의 의문사가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어. 점점 의문의 사건들의 범인들은 쌍백사의 스님들로 향하고 있었어.

간간히 뉴스를 통해서 일왕 방한 소식이 전해졌단다. 그것이 너무 큰 힌트가 되더구나. 갑자기 약간은 뜬금없는 일왕 방한 소식이 나온다는 것은 그것이 이 소설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 것을 바로 알 수 있었어. 그것도 일왕이 계룡산 근처인 국립현충원과 독립기념관에 방문한다는 거야. 쌍백사의 스님이 받들고 있다는 비취록의 예언 중에 아직 실행되지 않은 것 중에 하나는 분명 일왕과 관련이 있는 것이라고 읽은 이들이 눈치를 챌 것이야. 그런 것들이 아빠가 이 소설에 대해 실망을 느낀 것이란다. 결말이 좀 뻔히 보였거든. 그리고 그 일왕 타겟으로 삼았던 장소도 국립현충원으로 관심을 끌고 있지만, 분명 그곳이 아닌 다른 곳일 것이라는 것도 너무 쉽게 눈치챌 수 있었어. 그렇다 보니 미스터리의 중요 요소 중에 하나인 반전에 대한 재미가 없었단다. 쌍백사 스님들의 일왕 기습으로 많은 피해만 남기고 실패로 끝이 났단다.

쌍백사 주지인 형암 스님은 살아 남았고, 이번 실패를 실패로 보지 않았어. 다만 때가 아니었다고 생각하고, 또다시 기회가 올 것이라고…. 여전히 비취록의 예언을 굳게 믿었단다. 그렇게 소설은 끝이 났단다.

앞서도 이야기했지만, 아쉬웠던 작품이란다. 독자로서 감놔라 배놔라 하는 것이 옳지는 않지만, 좀더 소설을 다듬었다면 좀더 좋은 소설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단다.

 

 

PS:

책의 첫 문장 : 내가 <비취록>을 처음 본 것은 1984년 겨울이었다.

책의 끝 문장 : 천운이란, 결코 거저 얻어지는 게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