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 - 지금 가까워질 수 있다면 인생을 얻을 수 있다
러셀 로버츠 지음, 이현주 옮김, 애덤 스미스 원작 / 세계사 / 2015년 10월
평점 :
품절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과 '보이지 않는 손'으로 익히 알려져 있다. 그런 그에게 또 한 권의 대표적인 저서가 있었으니 그 저서의 제목은 『도덕 감정론』이다. 『국부론』은 몇 년 전인가 도전하려다 도서관에서 훑어보고 다시 꽂아두었던 책이고, 『도덕 감정론』은 그나마도 제목만 알고 있던 책이었다. 이 책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은 『도덕 감정론』을 현대에 맞게 풀어쓴 책이다. 기시미 이치로가 아들러 심리학을 다시 풀어써서 인기를 끌었던 것처럼 이 책 역시 널리 읽히기를 바라본다.


 국부론 속에서 인간의 이기심과 시장의 자율을 외치던 애덤 스미스가 인간의 선함과 사랑받고자 하는 마음에 주목했다는 것은 사실 앞뒤가 맞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저자는 이 책의 말미에 왜 애덤 스미스라는 한 인간의 저술 속에서 상충되는 두 가지 개념이 동시에 발현되어 나올 수 있었는지를 밝힌다. 그다지 비밀이라고 할 것도 없기에 여기서 얘기하고 넘어가기로 하자.


 국부론은 이른바 '잘 모르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작동하는 원리다. 반대로 도덕감정론은 '자주 만나고 접하는 친한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작동하는 원리다. 그렇기에 이기심과 사랑받고자 하는 마음이 동시에 작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인간이 서로를 이롭게 하게 되는 가능성을 국부론에서는 이기심이 만들어내는 선순환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도덕감정론에서는 '사랑받는 사람'이 되고자 하는 욕구가 서로를 이롭게 한다고 말한다. 이기심과 이타심은 충분히 공존할 수 있다는 하나의 증명이 완성되는 순간이다.


 책 속에서 인간의 이기심을 이야기하는데 쓰는 비유란 다음과 같다.

내 손가락에 생긴 종양과 바다 건너 수십 만 명이 자연재해로 죽어가는 것 가운데 어느 것이 더 절실한 문제라고 생각하는가? 솔직히 이야기하면 나는 내 손가락에 생긴 이상이 낯모르는 세계의 수십 혹은 수백 만 명의 희생보다 더 안타깝고 서글픈 일이라고 생각한다. 매체와 통신 기술의 발달로 아무리 멀리 있는 사람의 이야기도 순식간에 전해지지만 거의 모든 순간에 그들의 이야기는 남의 일, 혹은 와닿지 않는 다른 세상의 일처럼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생각의 이유는 인간의 이기심이라기보다 실감할 수 없는 사고의 구조에 있다. 아무리 슬퍼하려고 해도, 안타까워 하려고 해도 나 자신에게 닥친 것처럼 받아들이기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사랑스러운 사람이 되려고 애쓴다고 저자는 애덤 스미스의 말을 빌어 이야기한다. 


 사람이 어느 순간에 행복해 하는가에 대한 문제에 대해 애덤 스미스는 '스스로 사랑스러운 사람'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때만 그럴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사랑스러운 사람처럼 보이는 것이나 착각하게 만드는 것만으로는 진정한 행복을 얻지 못한다는 이야기다. 결국 사람은 진정한 행복을 느끼기 위해 진정으로 사랑스러운 사람이 되려고 애쓰게 된다는 말이다. 마치 시장이 개인의 이기심의 조화로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작동하는 것과 닮은 작용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 책 속에는 그렇게 사랑스러운 존재가 되기 위해 크고 작은 노력을 기울이는 사람의 모습을 여러 일화를 통해 들려준다. 주목해야 할 것은 '사랑스러운 존재'가 된다는 것이 결코 위선을 행하는 것과는 다르다는 점이다. 아들러 심리학에서 부정하는 '인정의 욕구'와 비슷하지만 다르다는 이야기다. 인정의 욕구의 경우 타인의 잣대에 의해 그 만족도가 달라지지만 애덤 스미스의 사랑스러운 존재는 자기 안의 공정한 관찰자라는 심판의 판단을 통해 만족과 불만이 갈라지는 것이다. 그렇기에 두 가지는 꼭 구분되어야만 할 것이다.


 재밌는 것은 이 책 속에 현재 우리 나라와 세계의 여러 분쟁의 핵심을 짚어주는 통찰이 담겨있다는 것이다. 

몇 군데 둘러보자.


 140쪽 

 인간의 삶이 비참하고 혼란스러운 가장 큰 이유는 소유물이 곧 나 자신이라 착각하기 때문이다.


 많이 소유한 사람이 훌륭한 사람이라는 생각은 부자의 어깨에 들어간 힘 만큼이나 명백하게 감춤 없이 두드러져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나 그런 생각이 삶을 비참하게 만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오히려 갖고 있지 않기에 비참하다는 생각에 몰두하기 십상이다. 가진 사람이 이 말을 하면 자신은 가졌으니까 그럴 수 있다고 말하고, 가진 것 없는 사람이 이 말을 하면 부러우면서 아닌 척한다고 비웃으니 그 마음 어디에 만족이 깃들 수 있을까?

 254쪽

 고급스러운 문화에서는 사람들이 단기적인 이익을 포기하더라도 약속을 지키고 책무와 계약을 이행한다. 또한 타인을 부당하게 이용하려는 욕구도 잘 이겨낸다. 그런 문화가 잘 자리 잡힌 사회는 기막히게 살기 좋은 곳이다. 그러나 신뢰를 형성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리고 안타깝지만 사랑스러움의 문화를 만드는 것도 결코 쉽지 않다.


 많은 사회에서 이익을 위해서는 타인을 속이는 것까지는 아니더라도 기만할 수밖에 없다고 가르친다. 거짓말, 축소 전달, 태만을 정당화 하는 거다. 그렇게해서 결국 이득이 되기만 하면 된다고 가르치기도 한다. 손해 나는 것은 자기 혹은 자신들이 아니라는 논리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또 넓게 생각해보면 모든 손해는 어떤 형태로든 모두에게 돌아오게 된다. 지금이 아니면 나중에라도 반드시 돌아오게 된다. 그렇기에 신뢰를 형성해야 할 필요성을 이야기하는 것이고, 스스로가 사랑스러운 사람이 되려고 애써야만 하게 되는 것이다. 순진한 사람들과 정직한 사람들이 우스운 꼴을 당하고, 피해를 감수해야 하는 사회는 너무나 불행한 사회다. 더 고급스러운 사회를 만들어 그 속에서 살고 싶다면 가장 먼저 자신을 속이는 것을 그만두고, 다른 사람들에게 진실과 진심으로 다가가야 하지 않을까.

  265~6쪽

 『도덕감정론』에서도 밝혔지만 스미스가 가장 경멸한 사람은 '시스템에 갇힌 사람'이었다. 시스템에 갇힌 사람이란, 특정 설계나 비전에 따라 사회를 다시 세우려 하는 지도자를 뜻한다. 그런 사람들은 이상적인 사회를 그리기 위한 비전에 너무 빠져든 나머지, 그것이 이상적 상태에서 벗어날 수도 있다는 생각을 못 한다. 자신이 만든 비전에 파묻힌 그들은, 그로인해 자칫 피해를 입게 될 사람들이나 계획의 실행 과정에서 피해를 입는 사람들 역시 보지 못한다.


 이 부분은 자신의 잘못을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강력하게 경고하고 있다. 자기 자신의 비전에 함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올바른 판단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런 실수는 지금 이 순간에도 무수하게 일어나고 있다. 우리 나라 역시 예외가 아니다. 자신들만이 옳고, 자기들만이 모두를 위한다는 생각은 다른 사람을 속이는 것일 뿐 아니라 스스로에 대해서도 위험한 기만행위다. 책 속에서 지적하는 것처럼 이런 착각에 빠진 사람들은 세상의 모든 것이 자신들의 뜻대로 움직일 거라 믿는다. 동시에 움직이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렇게 해야만 한다고 믿어버린다. 다양성이나 상대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몹시 위험한 사고의 태도다. 몰락한 권력과 세계는 모두 그렇게 자기만의 이상과 환상에 함몰되어 세상을 살피지 못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우리라고 예외일 수 없다는 이야기다.


 이 책의 가장 재밌는 점은 이 책을 읽는 동안 애덤 스미스의 두 저서인 『도덕감정론』과 『국부론』을 완역본으로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는 거다. 책에서는 현대에 맞지 않는 딱딱한 표현들이 많다고 말하고 있지만 그것은 또 그것대로 낭만적일 것이다. 애덤 스미스는 단순한 경제학자가 아닌 미래를 내다볼 줄 아는 진정한 통찰력을 지닌 사람이었다. 이런 사람은 다른 것은 어떻든 존경받을 만 하다고 생각한다. 더 많은 사람들이 애덤 스미스와 세계를 이해할 수 있게 됐으면 좋겠다. 


 아, 재밌는 오류가 있다.

나심 탈레브의 '이야기짓기 오류'가 바로 그것이다. 

 이야기짓기 오류란 어떤 일이 벌어진 후에 그 일에 대해 이런저런 해석들을 내놓는 것을 말한다. 오늘 하락의 원인이었던 사실이 내일은 상승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것이 이야기짓기 오류의 간단한 예다. 경제를 예측하는 사람들, 정치를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범하는 오류라는 생각에 혼자 웃었던 기억이 있다. 솔직히 그런 예측은 정치나 경제에 대해 아는 게 없는 나라도 할 수 있겠다 싶기도 하다. 


 경제적인 이익과 손해를 떠나 나는 나 자신이 판단하기에 사랑스러운 사람이고 싶다. 누가 "너는 참 사랑스럽구나"라고 말해서도 아니고, "너는 참 밉상이구나"하고 말해서도 아닌 나 자신이 생각하고 판단하기에 정당하고 공정하게 '사랑스러운 사람'이고자 하는 마음인 거다. 


 결국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이나 공정한 관찰자는 모두 무게 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거나 치우치지 않은 균형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태어난 것이 아닐까. 이 책이 공정한 나, 사랑스러운 나로 나아가는데 작은 발판이 되어주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15-12-10 15: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오 대장물방울님, 이달의 리뷰 수상 축하드립니다 :>

대장물방울 2015-12-10 21:59   좋아요 0 | URL
오오!! 고맙습니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