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앞의 생 (특별판)
에밀 아자르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자기 앞의 생>은 에밀 아자르의 책이다. 동시에 로맹 가리의 책이기도 하다. 로맹 가리는 <하늘의 뿌리>라는 소설로 1956년 콩쿠르 상을 수상한다. 그리고 19년 뒤 <자기 앞의 생>으로 두 번째 공쿠르 상을 수상한다. 공쿠르 상은 결코 같은 작가에게 두 번 상을 주지 않는다는 철학을 갖고 있었다. 그럼에도 로맹 가리가 두 번 수상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이 유서 깊은 문학상의 위원회가 도저히 두 번 주지 않고는 배길 수 없는 위대한 작품을 만났기 때문이 아니라 베일에 쌓인 신예 에밀 아자르가 설마 로맹 가리였을줄은 꿈에도 몰랐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로맹 가리는 30년 간 소설가로 명성을 얻고 부를 얻고 여자를 얻는 동안 너무 지쳤던 거다. 사람들은 로맹 가리의 실재가 아닌 자기들이 안다고 믿는 로맹 가리를 믿었고 이러한 부조화는 감수성이 예민한 소설가들에게 언제나 큰 상처를 안겨주기 마련이었다. 이른바 가면의 생. 평범한 사람이라면 자기의 얼굴에 딱 달라 붙어 숨통을 조여오는 가면에 질식하고 말지만 이 모험심 넘치는 노인은 달랐다. 자기의 또 다른 자아, 에밀 아자르를 만들어 낸 것이다.


사람들은 에밀 아자르가 로맹 가리라는 사실을 거의 눈치채지 못했다. 로맹 가리와 에밀 아자르는 경쟁하듯 서로의 소설을 출간했는데 로맹 가리에게 이제 갈 때가 됐다고 혹평을 쏟아낸 비평가들이 에밀 아자르의 소설엔 도저히 신인이라고 볼 수 없는 대가의 풍모가 느껴진다고 찬사를 늘어놨다. 얼마나 신이 났을까? 로맹 가리는 1979년 <에밀 아자르의 삶과 죽음>이라는 짧은 원고를 쓴 뒤 1980년 입 안에 권총을 넣고 방아쇠를 당겨 생을 마감했다. 이 책의 끝에 그 원고가 담겨 있다.


<자기 앞의 생>이 쏟아내는 절망은 너무 설화적이라 오히려 동화 같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그래서인지 나는 이 소설을 읽는 내내 뜬금없이 <어린 왕자>가 떠오르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파리의 창녀와 이슬람교도 사이에서 태어났고, 태어나자마자 부모에게 버림 받은 14살 소년 모모는 어린 왕자와 마찬가지로 사랑을 쫓는다. 하지만 모모에겐 어린 왕자와 같은 수동적 태도가 없다. 이 작은 아이는 자기 동의도 없이 폭력적으로 내던져진 삶에 적극적으로 대항한다. 우스꽝스러운 복장을 입고 거리로 나가 구걸을 하는가 하면 상점에서 개를 훔쳐오고 그 개를 사랑하게되자 개에게 더 행복한 삶을 주기 위해 부자집에 팔아넘긴 뒤 그 거금을 하수구에 버리기도 한다. 사랑하는 걸 떠나 보낼 용기도 없고 그렇다고 사랑한다고 붙잡을 자신도 없는 멍청이 어린 왕자와는 차원이 다른 것이다. 뿐만 아니다. 그는 자신을 길러줬던 로자 아줌마가 치매에 걸렸을 때 그녀 곁에 남아 침대와 속옷에 싼 똥을 묵묵히 치우며 집안을 돌보기까지 한다! 어린 왕자였다면 "아줌마 아파요?", "이제 떠나는 건가요?", "길들여 지는 건 그런 거죠? 상처를 남기는 거죠?", "난 이제 어디로 가요?" 따위의 개수작을 벌일 상황에서 말이다.


모모는 아직 어린 아이였고 아름다운 어린 시절을 누릴 자격이 충분한 아이였지만 삶은 그가 어른이 되기를 강요했다. 죽음이란 게 누구나 쉽게 얻을 수 있는 거라면 얼마나 행복할까? 질병은 오히려 축복이다. 질병은 우리가 더이상 아무 것도 잃지 않아도 되고 아무 것도 걱정할 일이 없는 곳으로 우리를 인도하기 때문이다. 모모는 아직 어린 탓에 죽음과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었다. 그의 앞에 놓인 것은 '생' 뿐이다. 창녀에게서 태어난 고아 이슬람교도에겐 단 한톨의 자비도 내어줄 생각이 없는 삶 말이다.


모모를 도와주는 건 블로뉴 숲에서 남창으로 일하는 여장 남자와 뒷골목을 제패한 아프리카 흑인, 역시 아프리카에서 도망쳐 와 쓰레기 청소부가 된 일단의 무리다. 그들은 "아픈가요?", "산다는 건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다는 거에요." 따위의 개소리를 하는 대신 바나나와 암탉과 망고와 쌀을 가져다 준다. 이 책을 읽으며 나는 내가 정신병자가 아닌가 하는 생각에 걱정이 되기도 했는데 읽으면 읽을수록 <어린 왕자>에 대한 알 수 없는 분노가 치밀어 올랐기 때문이다. 생떽쥐베리도 로맹 가리도 모두 프랑스인이었고 모두 전투기 조종사였다. <어린 왕자>가 추운 겨울 밤 따뜻한 침대에 들어가 켜켜이 저며드는 어둠과 함께 지독히 사치스러운 센티멘털을 느끼며 읽는 책이라면 <자기 앞의 생>은 똑같이 추운 겨울날 송곳처럼 피부를 찌르는 비를 맞으며 쓰레기 더미 위에 앉아 깜빡이는 가로등 불 빛에 의지해 읽는 책이다. 나는 침대 맡에 놓인 <어린 왕자>가 웬지 거짓말처럼 느껴진다. 나는 밖으로 나가 비를 맞으며 모모를 읽겠다. 비에 젖어 뒤틀린 책은 노랗게 변해 딱딱하게 굳을 것이다. 그러면 나는 그 뒤틀린 책을 평생 팔 사이에 끼고 다닐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