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p124~125

유령도시‘의 함정에 빠진 부동산 버블

중국 네이멍구 자치구에는 중국의 두바이시를 꿈꾸며 
건설한 도로와 초현대식 고층건물 쇼핑센터가 즐비하지만.

이도시에 딱 하나 없는게 있다.
바로 캉바스에 거주할 사람들이다. 

캉바스는 100만 명을 목표로 계획된 신도시지만 
주민이 거의 없어서 구이청鬼城, 즉 유령도시라고 불린다.

 캉바스는 우리 돈 1조 원 정도의 공공자금을 종잣돈으로 민간자보을 유치해 2004년 공사에 착수했다. 

2008년 1차 주거시설이 완공됐지만 아무도 살지 않는 텅 빈도시로 남아 있었다. 

지방정부는 이를 비밀리에 붙였지만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발견해 2010년 4월 5일자에 중국 부동산버블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유령도시로 소개했다.

문제는 중국의 유령도시가 캉바스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중국 시사주간지《시대주보는 캉바스뿐만 아니라 허비, 
창저우常州12개 도시가 집만 있고 사람은 없는 
유령도시로 남아 있다고 보도했다. 

알려지지 않은 유령도시까지 합하면 30곳이 넘을 것이라는 추정도 나온다.

더 큰 문제는 베이징에만 빈집이 400만 채나 있을 정도도 빈집이 넘쳐난다는 점이다. 

2018년 11월 블룸버그나 있을 정도로 도시에룸버그 
뉴스에 출연한 노무라증권의 수석 이코너미스트 루팅은 연구를 통해 중국 363개 도시에서 주택의 1/5 수준인 5천만 채가 빈집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일본만큼 고령화가 심화된 나라도 아닌데 어째서 유령도시와 빈집이 넘쳐나게 된것일까?

중국의 도시화 과정은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매우 독특하다.

대부분의 나라는 농촌 인구가 도시로 몰려들면 그에 맞추에 도시가 확장해가는 과정을 겪었다.

하지만 1990년까지만 해도 농지였던 상하이 푸동 지구에 마천루를 세웠더니 사람들이 몰렸고. 이를 본 중국인들은 도시를 먼저 건설해 놓으면
인구대국 중국에선 사람은 언제고 채워질 것이라고 생각하게 됐다.

지금까지 중국 지방정부가 수립한 신도시 건설계획을 모두 합치면 35억 명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다.

지방정부는 농민들에게 푼돈을 두고 강제로 토지를 수용한
뒤 이를 민간업자에게 팔아넘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173

가슴을 연 채로 살면 상처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가슴을 닫은 채로 사는 것만큼 많이 상처받지는않는다.

 우리는 이곳에 무엇을 배우러 왔을까? 사랑이었을까? 
우리의 이미지는 단 한 가지일 것이다. 

‘나‘의 범위를 ‘나‘에게로 한정 지느것 
그래서 ‘나‘이외에는 모두 타인이며 타자라고 믿는 것. 
반면에 공감과 연민은 우리를 더 큰 ‘나‘로 만든다.

어느 명상 센터에서는 이렇게 기도한다.

‘내가 가능한 한 사랑과 연민의 마음을 갖기를, 
만약 내가 이순간에 사랑과 연민의 마음을 가질 수 없다면 친절하기를, 
만약내가 친절할 수 없다면 판단하지 않기를, 
만약 내가 판단하지 않을 수 없다면 해를 끼치지 않기를 
그리고 
만약 내가 해를 끼치지 않을수 없다면 
가능한 한 최소한의 해를 끼치기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93

무언가를 기억하는 행위는 처음 그것을 경험할 때 관여했던 뉴런들을 다시 작동시키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 일이 일어나는 동안 뉴런들은 세상을 표상한다. 

우리가 그것을 다시 떠올릴 때 이 뉴런들은 그 일을 우리 
앞에 다시 나타낸다. 
일단 우리가 이 뉴런들을 원래의 사건이 일어날 당시와 비슷한 방식으로 활성화시키면 우리는 이 사건을 저해상도 재생화면처럼 기억으로 경험하게 된다. 

우리가 이 뉴런 하나하나를 처음 사건이 일어났을 때와
완전히 똑같은 방식으로 활성화시킬 수만 있다면 기억이 
놀라울 정도로 생생하고 현실감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억은 불완전하다. 

어떤뉴런들을 끌어들여서 정확히 어떻게 흥분시켜야 한다는지시 내용이 약화되고 질도 저하되기 때문에
결국 그 표상이 흐릿해져서 실제 경험을 부정확하게 
복제해내는 경우도 많다. 

기억은 허구다. 

사실인 것처럼 행세하지만기억은 왜곡에 대단히 취약하다.

기억은 그냥 ‘재생‘이 아니라 고쳐쓰기 인셈이다.

여기에 어려움을 더하는 사실이 있다. 우리의 경험 중 상당수가 비슷한점을 공유하고 있어서 그 경험을 기억 속에서 재생할 때 여러 항목이 서로 경쟁하는 바람에 
뇌가 속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의 기억은 대부분 질이 떨어진다. 
이는 뇌의 정보 저장 용량이 제한되어 있어서라기보다는 기억 검색의 속성 때문이다

검색은 다른 비슷한 항목들 때문에 쉽게 산만해지고 혼란에 빠진다.
또 다른 문제도 있다. 기억이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다

p94

인간의 기억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자기가 언제 부정확한 기억을 떠올리는지 알기 어렵다는 점이다.

부정확하고 왜곡된 기억을 떠올리면서도 그 기억이 분명ㄴ시 맞다는 것 같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는 경우가 많다.

이런 그릇된 자신감은 상당히 흔하게 나타나며 근절하기도 어렵다.

정리 시스템의 장점은 바깥세상의 물리적 기록 장치를 통해 기억을 외부화해 자신감만 넘치지 정확도는 떨어지는 부정확한 기억에 의존하는 경향을 줄여준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라가 경제적으로 어려울 때 국민이 얼마나 불행한지는 역사가 가르쳐준다.

국민 스스로가 행복을 느끼지 못할 태는 제일 먼저 외국인
(이민자)을 공격한다. 
피부색과 언어가 다르고 종교도 음식도 다른 외국인에게 역겨운 냄새가 난다, 그들이 먹는 음식에도 고약한 냄 새가 난다고 말이다.

반대로 번영하는 나라는 거의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외국인(이민자)을 받아들인다. 
번영하면 마음에 여유가 생기고 타인에게 관대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외국인을 받아들이면 이와 함께 다양성과 새로운 
아이디어, 자본이 들어와서 그 나라는 더욱더번영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짓말하는 국민


한국의 거짓말 문화는 
국제적으로 널리 잘 알려진 사실이다

2014년에만 위증죄로 기소된 사람이 1,400명입니다. 
일본에 172배라고 합니다. 
인구수를 감안한 1인당 위증죄는 일본의 430배나 됩니다

허위 사실에 기초한 고소, 곧 무고 건수는 500배라고 합니다. 
1인당으로 치면 일본의 1,250배입니다. 

보험사기가 만연해 있음은 잘 알려진 일입니다. 

2014년 자동차보험 생명보험, 의료보험 등 보험사기의 총액은 4조 5000억 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어느 경제신문은 미국의 100배라고 했습 니다. 
민간에 대한 정부의 각종 지원금도 사기에 의해 줄줄 새고 있습니다. 

2018년의 국정감사 때 밝혀진 일입니다만, 지적 재산권에
대한 정부지원금의 33%가 사기에 의한 지급이었습니다.

p10~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