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의 일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일주일전 읽었던 책 요조가 쓴 ,오늘도 무사> 라는 책에 김연수 작가의 산문집 <소설가의 일>이 언급되고 있었다. 나 스스로 소설가가 쓴 소설이 아닌 산문집이 궁금했던 건 내 마음 언저리에 소설가에 대한 막연한 동경심이 남아 있어서 그런 건 아닐런지, 그동안 읽었던 소설책들을 보면서 기승전결 매끄럽게 써내려 가는 게 상당히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익히 알고 있듯이 소설가 김연수 작가님은 20년 가까이 소설을 써내려갔으며, 나는 이 책을 통해 그의 인생을 들여다 보고 싶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나는 왜 네이버 창에 알쓸신잡을 썻는지 모르겠다. 소설가 김영하와 소설가 김연수 작가에 대해 서로 착각 하고 있었던 이유는 나도 잘 모르겠다. 


이 책은 소설을 쓰기 위한 과정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물론 책 제목과 주제는 일치해야 하니까, 독자의 기대치를 충족시키는게 소설가의 책무 아니던가, 예술가는 간나한 삶을 살아간다고 하지만, 그렇다 해도 돈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 책에서 저자는 소설을 쓰기 위해서는 내용이 아닌 문장을 보라 말한다. 보편적으로 독후감을 써내려 왔던 기존의 내 생각과 가치관을 헌순간에 무너뜨리고 있다. 수백권으로 이뤄진 문학 전집에는 자신이 쓰고자 하는 소설 내용들이 모두 들어가 있으므로, 이야기를 채워 넣고 욱여 넣어도 특별할 것이 없기 때문에, 소설가로서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문장을 바꿔야 한다. 초고를 다듬고 또 다듬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이 문장은 괜찮은지, 저 문장은 괜찮은지, 단어 선택은 적절한지. 등장인물 사이의 연계는 잘 이뤄지고 있는지,내가 쓴 문장이 다른 곳에 있지 않은지 찾아보는 것은 소설가로서 숙명이 아닌가 싶다. 


작가는 거짓말을 진실처럼 말하는 사람이다. 이때 '진실처럼'이 들어가는 자리에 '핍진성 있게'라는 말을 넣으면 된다. 소설과 비소설의 차이는 이 핍진성에 있다. 비소설에서 진실이란 실제로 벌어진 일을 뜻하지만, 소설에서 진실이란 반박할 부분이 한 곳도 없는 완벽한 이야기를 뜻한다. 물론 소설을 써보면 알겠지만, 반박할 부분이 없는 이야기를 쓰고 나면 실제로 그런 일이 현실에서 벌어졌거나 나중에 벌어지는 걸 확인할 때가 있다. 소설 쓰다가 신 내린 게 아니라 핍진성 있게 쓴다는 말이 워낙 그런 뜻이기 때문이다. 이 차이점을 잘 이해해야 하겠다. (p81)


아직 나는 730권의 절반도 책꽂이에 꽂지 못했다. 신간을 보면 베스트 365에 들지 못하는 책이 태반이다. 펼쳤는데 베스트 365에 들지 못할 것 같은 예감이 든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냥 조용히 책장을 덮을 수 밖에 . 저자와 출판사에는 미안하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아, 이 소설은 꽤 좋구나!" 그런 감탄이 드는 책을 읽고 나서도 막상 서가에 꽂으려고 보면, 앞쪽에는 정말이지 내가 너무나 좋아하는 책들이 꽂혀 있어서 꽂을 자리가 없다. 고심 끝에 꽂아보면 대게 100위권 바깥이다. 내 소설은 과연 어디쯤 꽂힐까? 생각하면 가슴이 덜컹 내려 앉는다. (p168)


이야기를 만드는 건 쉽지 않다. 인생을 사는 게 쉽지 않듯이. 나만의 시야만으로. 일인칭시점만으로 바라보기에 이 인생에는 너무나 많은 사람들의 관점이 얽혀 있다. 대부분의 관점은 그저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려도 상관없다. 남들의 시선 따위는 신경쓰지 말고, 자신이 믿는 바를 곧장 행하면 된다. 문제는 우리가 사랑하는 이들의 시선이다. 그것마저도 무시할 수는 없다. 누구에게나 이런 사람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인생의 일들은 어떤 것도 절대적으로 옳거나 절대적으로 틀리는 일이 없이 중층적이고 복합적으로 재해석된다. 전체 이야기로 보자면 해피엔딩이지만, 관계 이야기로 보자면 불행한 결말이 실제 삶에서는 얼마나 많은가? 그렇다면 소설도 마찬가지다. 일인칭시점에 이인칭시점이 포함돼 있어야 하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p2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