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보내지 마 민음사 모던 클래식 3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스포) 남아있는 나날에 이어 읽은 이시구로의 두번째 작품. 소재는 전혀 달랐지만 1인칭 화자가 자신의 인생을 반추하고 기억을 더듬으며 서술한다는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상당히 유사했다. 


이시구로는 문장이나 표현력도 좋지만 한 편의 소설을 완결된 하나의 예술작품으로서 빚어내는 능력이 너무도 탁월하다. 한 권의 책이지만 마지막 페이지를 읽고 나면 그의 소설은 아름다운 오브제가 되어 입체적인 형태로 내 머릿속에 둥실 떠오른다. 저런 예쁜 것을 나는 읽은 것이다. 줄거리나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한 두줄 문장으로 남는 다른 책들과는 다르다. 사실 일반적인 출판물은 독자의 기억에 그 한두줄 메시지만 남긴다 하여도 성공이다. 이시구로는 급이 다르다. 


'나를 보내지 마'는 장기기증을 위해 태어난 클론들이 단체 기숙학교에서 성장한다는 설정으로 클론인 주인공과 친한 친구 두 명의 인생을 그리고 있다. 이런 종류의 소설에 있게 마련인 과다한 설정 설명 같은 건 전혀 없다. 오히려 이시구로의 스케치가 너무 빠르다 보니 독자들이 이 소설 속 세상의 얼개를 이해하는데 다소간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의 사고는 '클론'이라고 하면 거의 자동적으로 따라오는 '클론이 뛰어난 지능을 가지고 인간을 해칠 것이다'식의 지루한 가설을 절대로 허용하지 않는다. 그가 그리는 세상은 오히려 반대이다. 클론들은 온순하고 순종적이며 자신에게 주어진 인생에 대해 반항을 하지도 않는다. 소설은 주인공과 그의 친구들의 성장과정을 그리며 하나의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흘러가는데, 클론들의 미스테리한 이야기에 홀려 두근거리며 페이지를 넘기던 독자들은 마지막에 가서야 깨닫게 된다. 우리가 지금까지 읽은 것은 클론의 인생이 아니라 인간의 인생이었음을. 


이시구로의 소설 속 인물들은 치밀하게 사고하고 상대와 대화를 주고받을 때는 행간의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는 모습을 보인다. 일본인들의 화법같다고 해야할까? '남아있는 나날'에서는 화자가 '집사'라는 특수한 신분이기에 이런 서술이 어색하지 않았다. 하지만 '나를 보내지 마'의 경우에는 화자가 어린 영국인 소녀인데도 상대방의 행동과 의도 하나하나에 주의를 기울인다는 내용이라 조금 어색하다는 감이 있었다. 일본 소설 '세설'이 연상되었다고 할까? 작가의 민족적인 뿌리가 이런식으로 영향을 미치는건가 싶은데, 그의 나머지 작품들을 더 읽어보며 판단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