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학 중국 특강 - 하버드 석학들의 36가지 질문, 중국의 현재와 미래를 묻다
하버드대학 중국연구소 지음, 이은주 옮김 / 미래의창 / 2018년 3월
평점 :
절판


중국 특유의 제도와 그 산물인 경제 패턴을 이해하면 중국의 도시화를 서구 사회의 시각으로 봐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예를 들어 미국인이 중국의 텅 빈 신도시 풍경과 부동산 가격 폭등 현상을 지켜보면 2007년에 미국 모기지 시장을 강타한 채무 불이행 사태를 떠올릴 것이다. 중국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도 이에 버금가는 폭발력을 지닌 시장 거품을 우려할지 모른다. 그러나 중국인은 미국인과 달리 빚을 내서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저축한 돈으로 투자한다. 중국 부동산 시장이 가격 조정에 취약하기는 하다. 그러나 부채 걱정은 주택 구입자가 아니라 토지를 담보로 대출을 받는 지방 정부와 부동산 업체가 해야 할 몫이다.

중국공산당은 신흥 부자들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국가의 지원을 필요치 않는 독립적 시민 사회 공동체가 생성될 가능성은 일찌감치 차단하려는 의도를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공산당 정권은 사회 환원 활동을 규제하는 한편 중앙 정부가 승인한 부문에서는 더 많은 기부가 이루어지게 하려는 목적으로 ‘중국 자선법‘과 같은 새로운 법률을 통과시켰다.

흥미로운 부분은 기부가 지역 편중적이라는 사실이다. 주로 자신의 활동 근거지 중심으로 기부 활동에 참여한다. 이는 자선 활동을 통해 지역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기 어렵다는 의미다....기부자 대다수는 가장 선호하는 분야인 교육과 같이 한 부문에 집중적으로 기부하는 성향이 강했다. 환경 부문에 관심을 기울이는 자선가는 거의 없었다.

2040년이면 아시아 지역은 인류 역사상 전례가 없던 새로운 인구 통계학적 상황에 직면할 것이다. 그때쯤이면 일본은 60세 이상이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하는 첫 번째 국가가 된다. 중국도 60세 이상의 비율이 25%는 될 것이고, 이 비율은 날이 갈수록 빠르게 증가할 것이다. 또다른 문제는 중국 인구의 4분의 1 이상이 우울증, 불안, 약물남용, 치매, 기타 정신건강상의 문제를 겪게 될 것이란 점이다.

시진핑 집권 후 정치적 통제가 점점 심해지는 상황에서 학생들은 매주 몇 시간을 공허한 정치 구호를 듣는 일에 허비해야 한다. 이러한 강압적 교육 환경에서 중국의 대학은 결국 냉소주의자와 기회주의자라는 두 종류의 지도자를 양성하고 있는 셈이다. 미국 대학은 여전히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지도자를 양성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라는 명성을 누리고 있다. 중국의 지도자들도 자녀를 미국 대학에 보내고 있으며, 그 수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중국 최고 명문이라는 베이징대학과 칭화대학도 미국 대학에 학생들을 빼앗기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