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귀고리 소녀
트레이시 슈발리에 지음, 양선아 옮김 / 강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육지가 해수면보다 낮다는 나라 네덜란드의 델프트라는 도시를 구글맵을 통해 찾아봤다. 왜냐구? 지금부터 이야기할 베르메르가 그린 <진주 귀고리 소녀>와 동명의 소설의 배경이 되는 곳이 바로 “델프트”(Delft)이기 때문이다. 미국 출신의 여류작가 트레이시 슈발리에는 특이하게도 책의 첫 부분에 바로 이 델프트 시가도를 소개하고 있다.

1962년에 미국의 워싱턴 DC에서 태어난 작가는, 1984년에 영국으로 이주해서 한동안 북에디터 생활을 하다가 전업 작가로 변신하게 된다. 그녀의 첫 소설은 <버진 블루>(1997)이었지만, 그녀에게 본격적인 작가로서의 명성을 안겨 준 작품은 바로 두 번째 작품인 <진주 귀고리 소녀>(1999)였다. 아마 미술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한 번은 봤음직한 베르메르의 <진주 귀고리 소녀>는 동명의 제목으로 미국 출신의 여배우 스칼렛 요한슨 주연의 영화로도 소개된 바가 있다.

이 책 역시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네덜란드 델프트 출신의 화가 요하네스 베르메르와 그가 그린 작품들이, 작가가 빚어내는 허구와 함께 교묘하면서도 적절하게 배치되면서 팩션 장르의 재미를 더하고 있다. 주인공인 16살 난 그리트는 타일공의 딸로 아버지가 불의의 사고로 실명하고, 직장마저 잃게 되면서 부유한 구교도인 화가이자 길드 대표로 있는 베르메르 집의 하녀로 들어가 일하게 된다.

우리의 주인공 그리트는 영특하면서도 하녀인 자신의 신분에 넘어서지 않는 처신을 구교도 집에서 일하게 되면서 하나씩 배우게 된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유복한 가정에서 불편 없이 지내던 그리트는 가장의 몰락으로 인해, 생활비를 벌기 위해 베르메르네 집안 살림을 도맡아서 하게 된다. 다섯 명이나 되는 아이들 때문에 쉴 새 없이 쏟아져 나오는 빨래에, 시장에 장 보러 가는 것은 물론이고, 주인장의 화실 청소까지 도맡아서 하게 된다.

작가 트레이스 슈발리에는 처음부터 주인공 그리트와 그리트의 주인 베르메르 간의 좁혀질 수 없는 공간을 설정하고, 미묘한 심리전을 구사한다. 특히 베르메르의 주고객으로 거절할 수 없는 상대로 등장하는 반 라위번은 이미 그전에 자기 집에서 일하던 하녀를 임신시킨 전과를 가지고 있는데, 그의 집요한 시선은 그리트의 뒤를 쫓는다.

게다가 베르메르 집안의 실질적인 권력자인 큰 마님 마리아 틴스(베르메르의 장모), 작은 마님 카타리나, 그녀의 말썽꾸러기 딸 코넬리아 그리고 선임 하녀 타네커에 이르기까지 온통 시기와 질투로 대변되는 여성들 간의 알력과 쟁투의 중심에 어느 날 갑자기 내던져지게 된 그리트의 삶은 신산하기만 하다.

마치 살얼음판을 걷는 것 같은 그리트의 삶은 어느 날 그녀가 베르메르의 작업을 비밀리에(물론 마리아 틴스의 방조 아래) 돕게 되면서, 갈등은 증폭되기 시작한다. 어느 누구도 잘못을 저지르거나 혹은 감정의 위험 수위를 넘은 건 아니지만 아슬아슬한 줄타기 같은 전개가 아주 감칠맛이 났다. ‘북구의 모나리자’로 불리는 <진주 귀고리 소녀>의 모티프가 될 만한 순간을 포착한 베르메르는 거침없이, 그리트와 공모해서 필생의 역작을 위한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트레이시 슈발리에는 분명 수년간의 걸친 리서치 작업을 통해, 17세기 근대화에 선두에 서 있던 해양 국구 네덜란드의 시대상을 절묘하게 그리고 있다. 상공업이 서유럽의 그 어느 나라에 비해 발전해 있던 네덜란드의 소도시 델프트와 교역을 통해 부를 이룬 부르주아 계층들의 예술적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화가들의 작업과 거래들을 책의 곳곳에서 찾아볼 수가 있다.

아울러 치열한 독립전쟁을 통해 마침내 종교의 자유를 쟁취한 신교국가 네덜란드에서의 구교도 가톨릭과의 미묘한 갈등 역시 은은하게 표현해내고 있다. 원래 신교도였지만 구교도로 개종한 베르메르 가정에, 하녀로 들어간 주인공 그리트는 신교도로 결코 융화되지 않은 모습으로 비춰진다. 소설의 전개에 있어서 큰 갈등 요인은 아니지만, 부차적으로 해묵은 종교갈등의 요소로 표현해내는 작가의 내공에 새삼 놀랐다.

한편 푸줏간집 아들로 등장하는 엄친아의 모델, 피터는 주인공 그리트를 짝사랑하지만 항상 한걸음 떨어진 곳에서 그녀가 자신에게 마음을 돌리기까지 기다림의 미학을 선사해 준다. 물론 피터가 그리트 집에 제공하는 식육이라는 물질적 시혜 역시 무시할 수 없는 포인트다. 자존감이 강한 그리트는 피터의 그런 행동이 못내 불만스럽지만 그렇다고 해서 보잘 것 없는 자신의 급여만으로는 가족들을 배불리 먹일 수 없다는 현실에 굴복하고 만다.

이런 사소한 이야기들은 베르메르 필생의 역작 <진주 귀고리 소녀> 제작 과정에 벌어지는 갖가지 해프닝 속으로 파묻히게 된다. 누구나 할 수 있는 하녀의 일이 아닌, 전문직 화가인 베르메르의 작업을 돕는 조수로서 색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통해 그리트는 비로소 거듭나게 된다. 아울러 성장소설적인 측면에서도 그녀는 소녀에서 한 명의 어엿한 여인으로 재탄생한다. 대작 <진주 귀고리 소녀>의 모델로 등장하는 그리트는 한사코 자신의 머리카락을 베르메르에게 보여주려고 하지 않는다. 마지 그녀의 순결에 대한 마지노선처럼 말이다.

하지만 그림의 화룡점정처럼 다가온 (카타리나의) 진주 귀고리를 끼기 위해 스스로 값비싼 정향을 사다가 마취시키고, 귀를 뚫는 모험도 마다하지 않는다. 그것은 마치 하녀로서의 비루한 삶 대신, 당당한 한 명의 그림을 위한 모델이라는 자각에 대한 선포처럼 다가온다.

책을 읽고 나서, 다른 사람들과 토론하던 중에 초반부의 전개가 몰입을 방해한다거나 무언가 일어날 것 같은 사건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지루했다는 의견들이 많았다. 그건 아마 소설에 대한 자신들의 모종의 기대가 작가에게 배반당하면서 생긴 반발심의 발로가 아니었을까. 작가의 배신을 즐긴다면 이 소설 <진주 귀고리 소녀>는 다른 차원의 매력을 제공해 줄 것이다. “북구의 모나리자”는 참으로 할 말이 많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